고구려123 [고구려/유적]고구려의 온돌(아차산 유적) 고구려의 온돌 (아차산 유적) ★ 온돌(溫堗) : 구들이라고도 한다. 방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가옥 난방 방법. 한옥의 아궁이에서 불을 피우고, 아궁이에서 생성된 뜨거운 연기가 방바닥에 깔린 구들장 밑을 지나면서 난방이 되고, 그 연기는 구들장 끝 굴뚝으로 빠져나가는 방식이다.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35호. ★ 아차산 일대 보루군 유적 : 서울특별시 아차산을 중심으로 분포한 고구려의 보루군(堡壘群). 17개의 보루중 10여개가 고구려의 보루로 추정된다. 고구려가 5세기 후반에 한강 유역을 지배했으며, 고구려 요새의 구조와 성격, 방위체계 군 편제 등을 보여준다. 밝혀주는 유적이다. 사적 제 45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0. [고구려/공예]고구려의 수막새(와당) 고구려의 수막새(와당) ★ 수막새 : 조건축 지붕의 기왓골 끝에 사용되었던 기와 2019. 2. 9. [고구려/건축]안학궁 치미 안학궁 치미 ★ 안학궁(安鶴宮) : 고구려의 궁. 장수왕이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한 427년(장수왕 15년)에 건립되었다. 평원왕이 평원왕 9년(567년)에 장안성으로 천도할 때까지 고구려의 왕궁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궁의 터만 남아있다.★ 치미(鴟尾) : 고대의 목조건축에서 용마루의 양 끝에 높게 부착하던 장식기와. 2019. 2. 9. [고구려/문화예술]집 모양 토기 집 모양 토기 ★ 집 모양 토기 : 평양 출토. 네모진 지상식 건물에 우진각 지붕이 올려진 형태로 무덤에 넣기 위해 만들어진 명기(明器)로 추정된다. 고구려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높이 8.3cm, 가로 14.1cm, 세로 7.1cm.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8. [고구려/정치]충주 고구려비 충주 고구려비 ★ 충주 고구려비(忠州 高句麗碑, Chungju Goguryeo Monument) : 중원 고구려비하고도 한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유일한 고구려비. 5세기 고구려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입석마을에 있다.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되며, 고구려군이 신라에 주둔하고 영향력을 미쳤음도 알 수 있다. 대한민국의 국보 제20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7. [신라상대/고분유물]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慶州 壺杅塚 出土 靑銅 ‘廣開土大王’銘 壺杅) : 1946년에 발굴한 호우총(140호 고분, 경주 노서동 213번지)에서 출토된 유물. 청동으로 만든 뚜껑이 있는 그릇으로 그릇 바닥에 16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乙卯年國罡(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 이 명문으로 당시 고구려와 신라의 대외 교류 및 정치적 관계를 살펴볼 수 있으며, 희소한 삼국시대의 편년 자료이자(415년) 고구려의 금속공예품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878호.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2019. 2. 7. [고구려/유적]아차산의 고구려 보루 유적 아차산의 고구려 보루 유적 ★ 아차산 일대 보루군 유적 : 서울특별시 아차산을 중심으로 분포한 고구려의 보루군(堡壘群). 17개의 보루중 10여개가 고구려의 보루로 추정된다. 고구려가 5세기 후반에 한강 유역을 지배했으며, 고구려 요새의 구조와 성격, 방위체계 군 편제 등을 보여준다. 밝혀주는 유적이다. 사적 제 45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6. [고구려/유적]백암성(白巖城) 백암성(白巖城) ★ 백암성(白巖城) : 고구려의 성(城). 현재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다. 요하(랴오허 강) 유역에 있으며, 고구려와 당나라 국경 지역이었다. 1차 고-당 전쟁 때(645) 성주 손대음(孫代音)의 항복으로 함락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4. [남북국/발해] 동모 산성 터 동모 산성 터 ★ 동모산(東牟山) : 발해의 초기 도읍지로 알려져 있으며 대조영과 고구려 유민들이 이곳에서 발해를 건국하였다. 현재의 중국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둔화 시 일대로 추정된다. 2019. 2. 3. 광개토대왕릉비 광개토대왕릉비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2. 광개토대왕릉비 탁본 광개토대왕릉비 탁본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2. [고구려/유적]국내성 유적(현재) 국내성 유적(현재) ★ 국내성(國內城) :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로, 졸본성(卒本城) 천도하였다(유리왕 22, AD3). 장수왕이 평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고구려의 수도였으며(3~427), 이곳을 중심으로 영토를 넓히고 강력한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의 틀을 갖추어 나갔다. 위치는 중국 길림성 집안의 통구성(吉林省 集安 通溝城)으로 추정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 [고구려/유적]국내성 유적(1930년대) 국내성 유적(1930년대) ★ 국내성(國內城) :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로, 졸본성(卒本城) 천도하였다(유리왕 22, AD3). 장수왕이 평양으로 수도를 옮기기 전까지 고구려의 수도였으며(3~427), 이곳을 중심으로 영토를 넓히고 강력한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의 틀을 갖추어 나갔다. 위치는 중국 길림성 집안의 통구성(吉林省 集安 通溝城)으로 추정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 [고구려/정치행정]오녀 산성 오녀 산성 ★ 오녀산성(五女山城) : 고구려의 첫 도읍지인 졸본성(卒本城)으로 추정한다. 홀본성(忽本城), 흘승골성(紇升骨城)이라는 기록도 있다. 중국 요녕성 번시시 환인현 오녀산(遼寧省 本溪市 桓仁縣 五女山)에 위치한 산성으로 해발 800m 높이의 절벽의 천연 지세를 이용하여 쌓은 고구려 특유의 테뫼식 산성이다. 압록강의 지류로 비류수(沸流水)로 비정되는 혼 강(渾江 유역에 위치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31. [고구려/삼국의경쟁]고국원왕 전사(371) 고국원왕 전사(371) ★ 고국원왕(故國原王, ? ~ 371, 재위 331~ 371) : 고구려의 제16대 국왕. 국강상왕(國罡上王)이라고도 하며 미천왕의 아들이다. 백제 근초고왕과의 전투중에 전사하였다(371).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3. [고구려/정치행정]고구려의 천도 고구려의 천도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5. 11. 15. [삼국]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 ★ 신라의 삼국통일 : 신라가 나제동맹을 배신하고 한강 유역을 차지한 뒤(554), 신라는 국제적으로 고립되었고, 백제의 공격으로 위기에 처하였다(642). 신라는 당에 도움을 청하여 나당연합을 결성하였다. 나당연합은 내부적 혼란으로 국력이 쇠한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멸망시켰다(660, 668). 당은 대동강 북쪽 지역을 점령하겠다는 신라와의 약속을 저버리고 신라마저 지배하려 하자, 신라는 당나라 군을 몰아내고 대동강 이남 지역의 영토를 차지하였다(676). 고구려 지역은 당의 지배를 받다가 30여년 후 발해가 건국되어 신라와 남북국을 이루었다. 2015. 10. 29.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 ★ 신라의 삼국통일 : 신라가 나제동맹을 배신하고 한강 유역을 차지한 뒤(554), 신라는 국제적으로 고립되었고, 백제의 공격으로 위기에 처하였다(642). 신라는 당에 도움을 청하여 나당연합을 결성하였다. 나당연합은 내부적 혼란으로 국력이 쇠한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멸망시켰다(660, 668). 당은 대동강 북쪽 지역을 점령하겠다는 신라와의 약속을 저버리고 신라마저 지배하려 하자, 신라는 당나라 군을 몰아내고 대동강 이남 지역의 영토를 차지하였다(676). 고구려 지역은 당의 지배를 받다가 30여년 후 발해가 건국되어 신라와 남북국을 이루었다. 2015. 10. 24. [삼국/국제관계]6~7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6~7세기 동아시아 국제관계 2015. 10. 18. [삼국]신라의 삼국통일 신라의 삼국통일 (삼국의 전성기) 2015. 10. 17. 이전 1 ··· 3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