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구려115

살수대첩 살수대첩 ★ 살수대첩(612) : 제 2차 여수전쟁 중 고구려가 수나라의 별동대를 섬멸한 전투. 귀주대첩, 행주대첩, 한산도대첩과 함께 한민족 4대첩의 하나로 불린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6.
[고구려/경제]부경 부경 ★ 부경(桴京) : 고구려의 전통적 창고. 삼국지 위서 동이전(三國志 魏書 東夷傳)에 관련 기록이 있으며, 목재를 엮어 다락식으로 지은 고상 창고이다. 지금도 옛 고구려 지역(만주)에서 볼 수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6.
[고구려/대외관계]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의 고구려 사신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의 고구려 사신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Afrasiab Painting) : 1965년에 우즈베키스탄의 옛 사마르칸트 지역에서 발굴된 스키타이-소그드의 대표적인 예술 유적. 7세기 중반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서쪽 벽화의 중앙 부분에서 고구려 사신들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6.
[고구려/껴묻거리]부뚜막(쇠화덕) 부뚜막(쇠화덕) ★ 고구려의 부뚜막(쇠화덕) : 평안북도 운산군 동신면 용호동 1호분(돌방무덤)에서 출토되었다. 조사 당시(1918) 무덤의 널방(玄室)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출토되었다. 쇠를 녹여 주조하여 만들었으며, 안악3호분 부엌 그림의 부뚜막과 비슷한 형태이다. 실제 사용한 것이라기 보다는 죽은 이를 위한 명기(明器)로 추정한다.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5.
[고구려/유물]고구려의 쇠보습 고구려의 쇠보습 ★ 보습 : 땅을 갈거나 뒤엎어 농사를 지을 때 사용된 도구. 농경이 시작된 신석기 시대에 발명되었으며, 선사시대에는 돌로, 철기 시대 이후 쇠로 만들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5.
[고구려/공예]세발뚜껑단지(有蓋三脚壺) 세발뚜껑단지(有蓋三脚壺)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4.
[고구려/공예]두귀단지(兩耳附壺) 두귀단지(兩耳附壺) 삼국시대-고구려 5~6세기 평안남도 대동군 송산리 출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4.
[삼국시대/고구려]동맹(東盟) 동맹(東盟) ★ 동맹(東盟) : 고구려에서 10월에 행하던 제천 의식. ‘동명(東明)’이라고도 한다. 농경의례로서 부족 공동체의 추수감사제에서 발전하여 국가적 행사가 되었다. , , , 등에 기록이 전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3.
금동 장식 금동 장식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2.
[고구려/공예]금동 봉황 장식 금동 봉황 장식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2.
금동보살입상(보물333호) 금동보살입상 (보물333호) 15.1㎝. 보물 제333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1.
[고구려/유적]고구려의 온돌(아차산 유적) 고구려의 온돌 (아차산 유적) ★ 온돌(溫堗) : 구들이라고도 한다. 방 바닥을 따뜻하게 하는 한국의 전통적인 가옥 난방 방법. 한옥의 아궁이에서 불을 피우고, 아궁이에서 생성된 뜨거운 연기가 방바닥에 깔린 구들장 밑을 지나면서 난방이 되고, 그 연기는 구들장 끝 굴뚝으로 빠져나가는 방식이다. 대한민국의 국가무형문화재 제135호. ★ 아차산 일대 보루군 유적 : 서울특별시 아차산을 중심으로 분포한 고구려의 보루군(堡壘群). 17개의 보루중 10여개가 고구려의 보루로 추정된다. 고구려가 5세기 후반에 한강 유역을 지배했으며, 고구려 요새의 구조와 성격, 방위체계 군 편제 등을 보여준다. 밝혀주는 유적이다. 사적 제 45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0.
[고구려/공예]고구려의 수막새(와당) 고구려의 수막새(와당) ★ 수막새 : 조건축 지붕의 기왓골 끝에 사용되었던 기와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9.
[고구려/건축]안학궁 치미 안학궁 치미 ★ 안학궁(安鶴宮) : 고구려의 궁. 장수왕이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한 427년(장수왕 15년)에 건립되었다. 평원왕이 평원왕 9년(567년)에 장안성으로 천도할 때까지 고구려의 왕궁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궁의 터만 남아있다. ★ 치미(鴟尾) : 고대의 목조건축에서 용마루의 양 끝에 높게 부착하던 장식기와.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9.
기와집 모양 토기 기와집 모양 토기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8.
[고구려/문화예술]집 모양 토기 집 모양 토기 ★ 집 모양 토기 : 평양 출토. 네모진 지상식 건물에 우진각 지붕이 올려진 형태로 무덤에 넣기 위해 만들어진 명기(明器)로 추정된다. 고구려의 형태를 짐작할 수 있다. 높이 8.3cm, 가로 14.1cm, 세로 7.1cm.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8.
[고구려/정치]충주 고구려비 충주 고구려비 ★ 충주 고구려비(忠州 高句麗碑, Chungju Goguryeo Monument) : 중원 고구려비하고도 한다. 한반도에서 발견된 유일한 고구려비. 5세기 고구려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 입석마을에 있다. 장수왕이 남한강 유역의 여러 성을 공략하여 개척한 후 세운 기념비로 추정되며, 고구려군이 신라에 주둔하고 영향력을 미쳤음도 알 수 있다. 대한민국의 국보 제20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7.
[신라상대/고분유물]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 ★ 경주 호우총 출토 청동 ‘광개토대왕’명 호우(慶州 壺杅塚 出土 靑銅 ‘廣開土大王’銘 壺杅) : 1946년에 발굴한 호우총(140호 고분, 경주 노서동 213번지)에서 출토된 유물. 청동으로 만든 뚜껑이 있는 그릇으로 그릇 바닥에 16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乙卯年國罡(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 이 명문으로 당시 고구려와 신라의 대외 교류 및 정치적 관계를 살펴볼 수 있으며, 희소한 삼국시대의 편년 자료이자(415년) 고구려의 금속공예품이다. 대한민국의 보물 제1878호.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 2019. 2. 7.
[고구려/유적]아차산의 고구려 보루 유적 아차산의 고구려 보루 유적 ★ 아차산 일대 보루군 유적 : 서울특별시 아차산을 중심으로 분포한 고구려의 보루군(堡壘群). 17개의 보루중 10여개가 고구려의 보루로 추정된다. 고구려가 5세기 후반에 한강 유역을 지배했으며, 고구려 요새의 구조와 성격, 방위체계 군 편제 등을 보여준다. 밝혀주는 유적이다. 사적 제 455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6.
[고구려/유적]백암성(白巖城) 백암성(白巖城) ★ 백암성(白巖城) : 고구려의 성(城). 현재 중국 요령성(遼寧省)에 있다. 요하(랴오허 강) 유역에 있으며, 고구려와 당나라 국경 지역이었다. 1차 고-당 전쟁 때(645) 성주 손대음(孫代音)의 항복으로 함락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