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사진자료실2316

[현대/민주주의발전/제3,4공화국]10·26 사건 10·26 사건 ★ 10·26 사건(박정희 대통령 피격 사건, 궁정동 사건) : 1979년 10월 26일에 대한민국의 중앙정보부 부장 김재규가 박선호, 박흥주 및 안가 경비원들과 함께 박정희 대통령을 사살하고, 차지철 경호실장, 정인형 대통령 경호처장, 안재송 대통령 경호부처장, 김용섭 대통령 경호관, 김용태 대통령 운전기사 등을 살해한 사건. 이 사건을 이후 박정희 정권의 유신 독재 체제는 막을 내렸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8. 27.
[현대/민주주의발전/제3,4공화국]동아투위 위원들의 행진 동아투위 위원들의 행진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동아투위) 위원들이 서울 광화문 동아일보사로부터 종로5가 기독교회관까지 행진을 하고 있다. ★ 동아자유언론수호투쟁위원회(東亞自由言論守護鬪爭委員會, 동아투위) : 박정희 정권의 유신 독재 체제 아래에서 1974년 10월 24일 동아일보 기자들은 신문, 방송, 잡지의 외부 간섭 배제·기관원 출입 거부·언론인의 불법연행 거부 등 3개 조항을 골자로 한 자유언론실천선언을 발표하였다. 이후 정권의 압력으로 그해 12월 말부터 동아일보의 광고가 무더기로 해약되어 광고란을 백지로 내게 되었고, 경영진은 정권에 굴복하여 농성 중이던 동아일보의 기자와 사원들을 내쫓았다(1975.3.17). 해고된 언론인들은 를 결성하여(1975.3.18) 박정희 정권의 언론 탄압에 저.. 2021. 8. 26.
[현대/민주주의발전/제3,4공화국]유신 반대 시위 유신 반대 시위 ★ 유신 반대 운동 : 박정희 정권은 유신 체제는 국민의 격렬한 저항을 불었다. 대학생들은 전국민주청년학생연합(민청학련)을 조직하여 전국적인 연대투쟁을 벌였고, 언론인들은자유언론수호투위를 결성하는 등 저항하였다. 1974년 야당 정치인과 종교인 등이 중심이 되어 '민주회복국민회의'를 결성하여 독재헤 항거하였다. 1979년 일어난 부마항쟁을 시작으로 대규모 저항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유신체제는 10.25 사건으로 박정희가 사망하면서 종말을 고하였으나,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일으킨 12.12 사태로 군사반란으로 군사독재는 계속 이어졌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8. 25.
[현대/민주주의발전/제3,4공화국]이화여대 학생들의 유신 반대 시위 이화여대 학생들의 유신 반대 시위 (1973.10.2) ★ 유신 반대 운동 : 박정희 정권은 유신 체제는 국민의 격렬한 저항을 불었다. 대학생들은 전국민주청년학생연합(민청학련)을 조직하여 전국적인 연대투쟁을 벌였고, 언론인들은자유언론수호투위를 결성하는 등 저항하였다. 1974년 야당 정치인과 종교인 등이 중심이 되어 '민주회복국민회의'를 결성하여 독재헤 항거하였다. 1979년 일어난 부마항쟁을 시작으로 대규모 저항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유신체제는 10.25 사건으로 박정희가 사망하면서 종말을 고하였으나, 전두환을 중심으로 한 신군부가 일으킨 12.12 사태로 군사반란으로 군사독재는 계속 이어졌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8. 24.
장준하의 유골 장준하의 유골 ★ 장준하(張俊河, 1918~1975)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정치가, 종교인(기독교), 언론인, 사회운동가. 일제강점기 교육 운동을 하였고, 일본군에 자원입대하였다가(1944) 탈출하여 중국군에 잠시 몸담았다가 임시정부를 찾아가 한국 광복군 소위로 복무하며 미국 전략첩보대(OSS)에서 활동하였다.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던 중 광복을 맞이하여 귀국하였으며, 1945년 11월 임정 귀국 제1진으로 귀국하여, 이후 김구의 비서로 있다가 이범석의 민족청년단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정계에 입문하였으며 1952년 시사지 를 창간하고 1956년 을 제정하는 등 언론 및 문화 활동도 활발히 전개하였다. 5·16 쿠데타 이후 한일회담 반대운동, 베트남 전쟁 파병반대.. 2021. 8. 23.
[현대/민주주의발전/제3,4공화국]유신 헌법 반대 100만인 서명 운동을 발표하는 장준하 유신 헌법 반대 100만인 서명 운동을 발표하는 장준하 ★ 장준하(張俊河, 1918~1975)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정치가, 종교인(기독교), 언론인, 사회운동가. 일제강점기 교육 운동을 하였고, 일본군에 자원입대하였다가(1944) 탈출하여 중국군에 잠시 몸담았다가 임시정부를 찾아가 한국 광복군 소위로 복무하며 미국 전략첩보대(OSS)에서 활동하였다.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던 중 광복을 맞이하여 귀국하였으며, 1945년 11월 임정 귀국 제1진으로 귀국하여, 이후 김구의 비서로 있다가 이범석의 민족청년단에서 활동하기도 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정계에 입문하였으며 1952년 시사지 를 창간하고 1956년 을 제정하는 등 언론 및 문화 활동도 활발히 전개하였다. 5·16 쿠데타 이후.. 2021. 8. 22.
[현대/민주주의발전/제3,4공화국]유신 시대의 미니스커트 단속 유신 시대의 미니스커트 단속 박정희 정권은 장발, 미니스커트 단속, 야간 통행 금지 등으로 국민들의 자유를 탄압하였다. 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8. 21.
[현대/민주주의발전/제3,4공화국]10월 유신 10월 유신 ★ 10월 유신 : 1972년 10월 17일에 대통령 박정희가 위헌적 계엄과 국회해산 및 헌법정지 등을 골자로 하는 대통령 특별선언을 발표하고, 이후 헌법을 개정하여 제 4공화국 시대를 열었다. 이때의 헌법을 유신 헌법이라 하며, 이 헌법이 발효된 기간을 유신체제라 부른다. 박정희는 장기 집권을 위해 전국에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국회 해산, 정당 활동 중지, 일부 헌법의 효력 정지 등의 비상조치를 발표하고 통일주체국민회의를 구성하여 간접선거로 대통령을 선출하도록 하였으며, 대통령이 국회의원의 3분의 1과 모든 법관을 임명하고, 긴급조치권 및 국회해산권을 가지며, 임기 6년에 횟수의 제한 없이 연임할 수 있도록 바꾸었다. 유신 체제는 행정·입법·사법의 3권을 모두 쥔 대통령이 종신 집권할 수 .. 2021. 8. 20.
[현대/민주주의발전/제3,4공화국]베트남 파병 베트남 파병 ★ 대한민국 국군의 베트남 파병 : 베트남 전쟁(1955~1975)이 내전에서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진영의 대립으로 확대되었고, 1964년 미국이 개입으로 국제전으로 변모하였다. 미군의 사상자가 늘어나자 미국은 한국군의 파병을 요청하였고, 박정희 정권은 반공주의를 내걸고 베트남에 파병하였다(1965). 당시 북한 침공시 미국의 즉각 출병하도록 한미방위조약으로 개정하고 한국의 남베트남 시장 진출 보장 등을 협상을 하였다. 파병된 한국군의 병력은 32만명에 달했으며, 파병이 최고조에 달했던 1968에는 5만명의 한국군이 베트남에 주둔하였다. 파리 평화 협정(1973)으로 미군이 철수하면서 대한민국 역시 철군하였다. 당시 미국은 한국군 병사에게 2억 3600만 달러를 지불하였고, 대한민국은 파병의 .. 2021. 8. 19.
[현대/민주주의발전/제1공화국]경향신문 폐간 사건 경향신문 폐간 사건 경향신문 폐간 조치 알리는 벽보를 읽는 시민들(1959. 4. 30, 서울 경향일보 사옥 앞) ★ 경향신문 폐간 사건(京鄕新聞廢刊事件) : 1959년 대한민국 신문 의 칼럼 '여적'(餘滴)에 실린 글로 인해 관련자들이 내란선동 혐의로 기소되고 경향신문이 폐간 명령을 받은 사건. 여적 필화 사건(餘滴筆禍事件)이라고도 한다. 은 무기명 칼럼으로 선거가 제 역할 하지 못하면 진정한 다수의 의사를 강제로 전달하는 폭력 혁명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내용이었다. 원론적이지만 뼈가 있는 내용이 들어 있었다. 당시 가톨릭 재단이 소유한 경향신문은 이승만과 자유당 정권에 비판적이었다. 이 칼럼으로 편집국장과 사장, 필자로 밝혀진 민주당 국회의원 주요한 등이 기소되었다. 이승만 정권은 허위사실 보도와 폭.. 2021. 8. 18.
[현대/민주주의발전]5·16 군사정변 5·16 군사정변 ★ 5·16 군사정변(5·16 軍事政變) : 1961년 5월 16일 박정희 육군 소장과 김종필 등 정군파(整軍派) 장교 중심으로 이루어진 군사 쿠데타. 4·19혁명으로 수립된 제 2 공화국이 무너지고 국가재건최고회의 체제를 거쳐 제 3공화국이 수립되었으며, 이후 30년 동안 군사독재가 지속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8. 10.
[현대/민주주의발전/정부수립]장면 장면 ★ 장면(張勉, 1899~1966) : 대한민국의 정치인, 종교가, 교육자. 제 1공화국의 4대 부통령(1956~1960), 국무총리(1950~1952)를 역임하였으며, 6.25 전쟁 당시 미국과 UN의 참전을 성사시켰다. 4.19 혁명으로 수립된 제 2공화국의 국무총리로 선출되었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 대한민국 제2공화국(大韓民國第二共和國) :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불과 11개월간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두 번째 공화 헌정체제.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1공화국이 붕괴된 후, 제1차 과도 권한대행 체제(1960년 4월 27일 ~ 6월 14일)를 거쳐 6·15 개헌에 의해 설립된 대한민국 역사상 유일한 양원제 의원내각제 기반의 .. 2021. 7. 31.
[현대/민주주의발전/정부수립]윤보선 윤보선 ★ 윤보선(尹潽善, 1897~1990) : 대한민국의 제4대 대통령, 정치인. 국회의원과 서울 시장을 역임하였고, 3.15 부정선거로 촉발된 4.19 혁명 후 수립된 제 2공화국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그러나, 5.16 군사 정변(1961년 5월 16일)으로 하야하여 임기를 1년도 채우지 못하였다. 이후 박정희 정권 하에서 반독재 야당 지도자로 활동하였고, 제 5, 6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하였다. ★ 대한민국 제2공화국(大韓民國第二共和國) : 1960년 6월 15일부터 1961년 5월 16일까지 불과 11개월간 존속했던 대한민국의 두 번째 공화 헌정체제. 1960년 4·19 혁명으로 대한민국 제1공화국이 붕괴된 후, 제1차 과도 권한대행 체제(1960년 4월 27일 ~ 6월 14일)를 거.. 2021. 7. 30.
[현대/민주주의발전/정부수립]제헌 국회의 의석 비율 제헌 국회의 의석 비율 ★ 대한민국 제헌 국회(大韓民國制憲國會) :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국민의 직접 투표로 선출된 국회의원을 구성원으로 한 국회로, 1948년 5월 31일 구성되고 1950년 5월 30일까지 활동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7. 29.
[현대/민주주의발전/제1공화국]4.19 혁명 승리 후 계엄군의 탱크에 올라 환호하는 시민들 4.19 혁명 승리 후 계엄군의 탱크에 올라 환호하는 시민들 ★ 4·19 혁명(四一九革命) : 4월 혁명(四月革命)이라고도 한다. 1960년 3월 15일에 실시된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에서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공권력과 정치깡패를 동원하여 야부정선거와 개표조작을 자행하였다. 이에 반발하여 학생과 시민들이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며 대규모의 시위를 일으켰다. 3·15 마산의거에 참여한 마산상고 김주열 학생이 실종된 지 27일 후인 4월 11일 마산 중앙부두 앞바다에서 왼쪽 눈에 경찰이 쏜 최루탄이 박힌 채 시신으로 떠오른 것이 부산일보에 보도되면서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4월 19일 경찰이 대통령 관저인 경무대로 몰려드는 시위대를 향해 발포하였고, 발포 이후 시위대.. 2021. 7. 25.
[현대/민주주의발전/제1공화국]제 4대 정.부통령 선거 포스터가 걸린 서울 시내(1960) 제 4대 정.부통령 선거 포스터가 걸린 서울 시내(1960)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7. 24.
[현대/민주주의발전/제1공화국]제 3대 정.부통령 선거 포스터(1956) 제 3대 정.부통령 선거 포스터(1956)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7. 23.
[현대/광복~정부수립]38선이 표시된 길 38선이 표시된 길 ★ 38선(군사분계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기 위해 그은 군사분계선으로 북위 38도에 설정되었다. 6.25 전쟁의 정전협정 이후 동서로 약간 기운 정도로 변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7. 22.
[현대/민주주의발전/제1공화국]하야 후 하와이로 도피하는 이승만 하야 후 하와이로 도피하는 이승만 ★ 이승만(李承晩, 1875 ~ 1965) : 조선·대한제국·일제 강점기의 개화파·독립운동가·언론인·정치인·교육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자 마지막 주석,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일제강점기에 한성정부 집정관총재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임시대통령, 국무위원,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 등을 지내며 주로 미국에서 외교 활동을 벌이며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광복 이후 신탁통치를 반대하고 대한민국의 정부 수립을 주도하였으며, 초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취임하여 12년 동안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지냈다. 대통령으로 재임하는 동안 여러 가지 업적을 남기기도 했으나, 친일 청산 방해, 독재 권력 추구, 6.25 전쟁 중 도주 등으로 많은 오점을 남겼다. 1960년 3.15.. 2021. 7. 17.
[현대/민주주의발전/제1공화국]4.19 혁명 이후 철거된 이승만 동상 4.19 혁명 이후 철거된 이승만 동상 ★ 4·19 혁명(四一九革命) : 4월 혁명(四月革命)이라고도 한다. 1960년 3월 15일에 실시된 대통령과 부통령 선거에서 자유당 정권이 이기붕을 부통령으로 당선시키기 위한 공권력과 정치깡패를 동원하여 야부정선거와 개표조작을 자행하였다. 이에 반발하여 학생과 시민들이 부정선거 무효와 재선거를 주장하며 대규모의 시위를 일으켰다. 3·15 마산의거에 참여한 마산상고 김주열 학생이 실종된 지 27일 후인 4월 11일 마산 중앙부두 앞바다에서 왼쪽 눈에 경찰이 쏜 최루탄이 박힌 채 시신으로 떠오른 것이 부산일보에 보도되면서 시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4월 19일 경찰이 대통령 관저인 경무대로 몰려드는 시위대를 향해 발포하였고, 발포 이후 시위대는 무장하여 경찰과 총.. 2021. 7.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