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사진자료실/현대293

[현대/6.25전쟁]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仁川上陸作戰, Operation Chromite) : 한국 전쟁이 중인 1950년 9월 15일 UN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주도로 진행된 상륙작전. 작전 암호명은 크로마이트 작전(Operation Chromite). 7만 5천여 명의 병력과 261척의 해군 함정이 투입되어 2주 후 유엔군은 서울을 점령하였다. 었다. 당시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은 남쪽인 낙동강 방어선에서 힘겨운 방어전을 벌이고 있었는데, 인천은 낙동강과 부산 교두보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북한국의 방어가 허술했다. 인천에 기습 상륙 작전을 개시함으로써, 유엔군은 손쉽게 인천을 점령하여 서울까지 탈환하고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여, 전세가 한국과 UN군에 유리하게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2021. 4. 30.
[현대/6.25전쟁]남침하는 북한군 남침하는 북한군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2021. 4. 29.
[현대/6.25전쟁]서울에 진입한 북한군의 탱크(6.25전쟁) 서울에 진입한 북한군의 탱크 (6.25전쟁)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2021. 4. 27.
[현대/광복~정부수립]여수·순천 사건 당시 희생된 민간인들 여수·순천 사건 당시 희생된 민간인들 ★ 여수·순천 사건(麗水順天事件) : 여순사건(麗順事件)이라고도 부른다. 1948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전라남도 여수·순천 지역에서 국군 제14연대 소속이자 남로당 소속의 김지회·지창수가 주동하여 일어난 군사반란과 여기에 호응한 좌익계열 시민들이 가담한 사건. 국군, 해군, 경찰에 의해 반란군 2,000여 명이 전멸하였고, 이 과정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무고한 민간인들이 다수 희생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이승만 정부는 1948년 12월 1일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고 반공주의 기치를 강화하였다. 2021. 4. 26.
[현대/광복~정부수립]3,5인조 투표행렬(5.10 총선거) 3,5인조 투표행렬 (5.10 총선거) ★ 5.10 총선거 : 라고도 한다. 1948년 5월 10일 한국의 제헌국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실시된 국회의원 총선거. 한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지만, 남한만의 선거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한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료와 일본의 패망으로 광복을 맞이하였지만, 열강의 간섭에 휘둘였다. 38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이 진주하고 모스크바 3상회의(이하 3상회의)에서는 한반도의 신탁통치를 결정하였고, 이것은 한국을 극심한 혼란으로 몰아넣었다. 3상회의 합의로 설치된 에서 여러번 한국 문제는 토의하였으나 양측의 의견 차이로 합의가 되지 않자, UN은 한국인의 총선거를 결정하고 한국임시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임시위원회가 한국에 입국하였으나 소련의 거부로 총선거가 불가능해지.. 2021. 4. 25.
[현대/광복~정부수립]반민특위에 체포된 최린 반민특위에 체포된 최린 ★ 반민특위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줄여서 ‘반민특위’라고 부른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헌국회에서 설치한 특별위원회. 1948년 9월 7 반민족행위처벌법을 통과시켰으며, 국권강탈에 적극 협력한 자, 일제치하의 독립운동가나 그 가족을 악의로 살상·박해한 자 등을 처벌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반민특위는 친일파들을 색출하였으나, 친일파를 대거 기용한 이승만 정부의 반대와 미국의 방해로 활동이 지지부진하였다. 1949년 6월 6일 반민특위 산하의 특별경찰대가 강제 해산당하면서 사실상 기능을 상실하였고, 곧 국회 중도파가 특위기간을 단축하였고 동년 10월에 완전히 해체되어 친일청산에 실패하고 말았다. 2021. 4. 23.
[현대/광복~정부수립]반민특위 재판부의 공판 반민특위 재판부의 공판 ★ 반민특위 :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反民族行爲特別調査委員會), 줄여서 ‘반민특위’라고 부른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에 적극적으로 협조한 자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헌국회에서 설치한 특별위원회. 1948년 9월 7 반민족행위처벌법을 통과시켰으며, 국권강탈에 적극 협력한 자, 일제치하의 독립운동가나 그 가족을 악의로 살상·박해한 자 등을 처벌하는 것이 목적이었다. 반민특위는 친일파들을 색출하였으나, 친일파를 대거 기용한 이승만 정부의 반대와 미국의 방해로 활동이 지지부진하였다. 1949년 6월 6일 반민특위 산하의 특별경찰대가 강제 해산당하면서 사실상 기능을 상실하였고, 곧 국회 중도파가 특위기간을 단축하였고 동년 10월에 완전히 해체되어 친일청산에 실패하고 말았다. 2021. 4. 23.
[현대/광복~정부수립]5.10 총선거 5.10 총선거 ★ 5.10 총선거 : 라고도 한다. 1948년 5월 10일 한국의 제헌국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실시된 국회의원 총선거. 한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지만, 남한만의 선거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한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료와 일본의 패망으로 광복을 맞이하였지만, 열강의 간섭에 휘둘였다. 38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이 진주하고 모스크바 3상회의(이하 3상회의)에서는 한반도의 신탁통치를 결정하였고, 이것은 한국을 극심한 혼란으로 몰아넣었다. 3상회의 합의로 설치된 에서 여러번 한국 문제는 토의하였으나 양측의 의견 차이로 합의가 되지 않자, UN은 한국인의 총선거를 결정하고 한국임시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임시위원회가 한국에 입국하였으나 소련의 거부로 총선거가 불가능해지만 남한만 선거를 실시하.. 2021. 4. 22.
[현대/광복~정부수립]대한민국 정부 수립 대한민국 정부 수립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한국은 1945년 35년 간의 일본 식민 통치에서 해방이 되었으나, 강대국의 냉전에 휘말렸다. 광복 직후 북위 38°선을 경계로 남쪽과 북쪽을 각각 미군과 소련군이 점령 지배함으로써 민족과 국토가 양분되었고, 3년 동안 점령국인 미·소의 대립과 남과 북의 지도자들 간의 반목과 불화로 통일 정부의 수립이 무산되었고, 남과 북에 별도의 분단 국가가 수립되었다. 분단이 확정되면서 38°선 이남 지역에 국제 연합(UN)의 결의에 의해 1948년 5월 10일 제헌 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선거가 실시되었고, 동년 5월 31일에 처음으로 개원한 제헌 의회는 7월 17일에 새 공화국의 헌법을 제정했다. 1948년 8월 15일 새 공화국의 헌법에 근거하여 새 정부의 수.. 2021. 4. 18.
[현대/광복~정부수립]남북 협상에 참석하기 위해 3.8선을 넘어가는 김구 남북 협상에 참석하기 위해 3.8선을 넘어가는 김구 ★ 남북협상(南北協商) :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全朝鮮諸政黨社會團體代表者連席會議), 남북 연석회의(南北連席會議)하고도 한다. 남한만의 단독정부(현 대한민국) 수립을 반대하는 남북의 정당·사회단체 대표들이 5·10 단독선거를 저지하고 통일민주국가 수립을 위해 대책을 논의한 회담으로 1948년 4월~5월에 걸쳐 진행되었다. 김구, 김규식 등 남한 단독 총선에 반대하는 남한 일부 정파 대표들과, 소련의 대리인으로 북한의 실질 권력을 장악해 가던 김일성 및 김두봉과 같은 남북의 인사들이 다수 참석하였으나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났다. 2021. 4. 17.
[현대/광복~정부수립]제주 4·3 사건에 희생된 민간인들 제주 4·3 사건에 희생된 민간인들 ★ 제주 4·3 사건(濟州四三事件) :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남로당 무장대와 토벌대 간의 무력충돌과 토벌대의 진압과정에서 다수의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 2021. 4. 16.
광복 이후 좌우 세력의 동향과 활동 광복 이후 좌우 세력의 동향과 활동 2021. 4. 13.
[현대/광복~정부수립]신탁통치 반대 시위와 찬성 시위 신탁통치 반대 시위와 찬성 시위 ★ 신탁 통치 반대 운동(信託統治反對運動) : 1945년 12월 모스크바 3상회의에서 “한국을 신탁통치한다”고 결정한 것이 알려지자 신탁 통치에 반대하여 일어난 국민운동. 김구를 비롯한 임시정부 세력은 신탁통치 반대운동 '제2의 독립운동'으로 간주하고 국민들의 참여를 독려하였으며, 남한 지역은 신탁통치에 대한 찬반 논란으로 극심한 갈등이 일어났다. 2021. 4. 13.
[현대/광복~정부수립] 광복 광복 ★ 광복(光復) : 태평양 전쟁 말기, 일본이 연합국의 항복 요구를 거부하였다. 연합국은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자(1945년 8월 6일, 9일) 일본은 1945년 8월 15일 항복을 선언하였다. 일본의 항복으로 2차대전이 막을 내렸고 일본의 식민지는 모두 해방되거나 연합국에게 넘어갔다. 한국은 일본의 항복 선언과 함께 해방되었으며, 조선총독부는 미군정와 소련군정에 행정권을 인수인계한 뒤 해체되었다(1945년 9월 28일). 이후 한국은 8월 15일 ‘광복절’로 기념하고 있다. 2021. 4. 12.
[현대/광복~정부수립]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 ★ 모스크바 삼국 외상 회의(-三國外相會議) : 모스크바 삼상 회의라고도 한다. 1945년 12월 16일~26일까지 소련의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미국 · 영국 · 소련의 외무장관 회의로 제2차 세계대전 뒤의 일본 점령지구에 대한 관리 문제 및 얄타회담에 따른 대한민국의 독립 문제를 거론하였다. 이 회의에서 미국과 소련은 첨예하게 대립하였으나, 결국 합의를 이루어 12월 27일 4대 조로 이루어진 합의문을 발표하였다. 합의문에는 포함하였는데, 5년동안 4개국(미, 영, 중, 소)이 한국을 신탁통치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모스크바 삼상회의의 결과는 곧바로 한국에 전해져 좌익과 우익의 극심한 분열을 가져왔다. 2021. 4. 12.
한국의 출산률 감소 한국의 출산률 감소 2017. 7. 12.
한국의 인구 고령화 한국의 인구 고령화 2017. 7. 11.
탈북자 증가 탈북자 증가 2017. 7. 10.
복지 예산 증가 추이 복지 예산 증가 추이 2017. 7. 9.
비정규직 근로자 증감 추이 비정규직 근로자 증감 추이 2017. 7.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