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사진자료실/조선726

[조선/국방]철신포 철신포 ★ 철신포 : 고려 때부터 사용한 신호용 화포. 일반적으로 봉화대에서 연기를 이영하여 긴급시에 신호를 했는데,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올 때 주로 사용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
[조선/임진왜란]천자총통 천자총통 ★ 천자총통(天字銃筒) : 조선시대 대형 총통 중에서 가장 큰 총통으로 대형 화포였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세종 대에 처음 등장하며(세종 7년, 1452), 임진왜란 때는 여러 화포와 함께 사용되었고 거북선과 판옥선에 탑재되기도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
[조선/임진왜란]조총(鳥銃) 조총(鳥銃) ★ 조총(鳥銃) : 전근대 조선과 중국에서 사용된 화승총. 탄자와 추진제를 총포구를 통해, 즉 화기의 앞쪽을 통해 넣는 전장총포(前裝銃砲, muzzleloader)로 현대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일본은 포루투갈로부터 조총을 받아들여 전국시대 내전과 임진왜란 때 사용하였다. 임진왜란 이후 조선에도 유입되어 사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2.
[조선/의학]조선의 침구 조선의 침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
[조선/의학]산삼(조선의 약재) 산삼 (조선의 약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
[조선후기/사회문화]투전(조선 후기의 도박) 투전 (조선 후기의 도박) ★ 투전(鬪牋) : 한국의 민속놀이. 참가자 수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식의 놀이가 있다. 조선 후기로 가면 갈수록 성행하여, 기방 등에 도박장을 차려 놓고 영업하기도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30.
[조선후기/사회문화]쌍륙(조선 후기의 도박) 쌍륙 (조선 후기의 도박) ★ 쌍륙(雙六) : 두 사람이 말 열두 개씩 가지고 노는 한국의 민속놀이. 24개의 말과 주사위 2개, 말판 등이 사용된다. 정약용의 에 도박으로 기록되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30.
[조선후기/사회문화]골패(조선 후기의 도박) 골패 (조선 후기의 도박) ★ 골패(骨牌) : 놀이 도구의 하나. 상아나 짐승뼈를 대쪽에 붙여 만들고 수를 새긴 크고 작은 구멍을 새긴다. 골패의 모양은 오늘날 마작과 비슷하다. 정약용의 에 “강패”(江牌)라 하며 도박으로 여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30.
[조선/사회와문화]혼례 (婚禮) 혼례 (婚禮)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9.
제수의 형태 제수의 형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9.
[조선전기/경제]조선통보 조선통보 ★ 조선통보(朝鮮通寶) : 조선 전기 세종대와 중기 인조대에 법화(法貨)로 주조, 유통된 주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8.
[조선전기/정치]조광조 적려 유허비 조광조 적려 유허비   ★ 조광조 적려 유허비 : 기묘사화(1519)로 조광조가 귀양 온 것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비석.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남정리 소재. 2020. 4. 28.
[조선전기/정치] 조광조(趙光祖) 조광조(趙光祖)  ★ 조광조(趙光祖, 1482~1520) 조선 중종 대의 문신, 사상가이자 교육자, 성리학자, 정치가. 김종직의 학통을 이어받은 김굉필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 사림파의 정계 진출을 확립하였다. 중종의 훈구파 견제 정책에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성리학적 도학 정치 이념을 구현하려 했으나 훈구 세력의 반발로 실패하였다. 반정공신들의 음해로 역적으로 몰려 전라남도 화순으로 유배되었다가 사사되었다. 사후 인종 때 복관되고 문묘에 종사되었으며, 후대의 유림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2020. 4. 28.
정주성 공위도 정주성 공위도 ★ 정주성(定州城) : 북한 평안북도 정주군 정주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읍성. 홍경래의 난(1811)이 일어났을 때, 홍경래가 난군을 직접 지휘한 장소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7.
조선왕실의 천자문 교재 조선왕실의 천자문 교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7.
정조의 <만기지가> 도장 정조의 도장 ★ 만기지가(萬機之暇) : ‘만가지 일을 처리하는 여가에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국왕의 독서를 의미한다. 규장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7.
정조가 어린 시절 공부한 소학 정조가 어린 시절 공부한 소학 ★ 영조가 첫돌을 맞은 사조세자에게 하사한 책으로, 사도세자는 아들 정조가 첫돌은 맞이하자 하사하였다. ★ 소학(小學) : 1187년에 완성된 중국 송나라의 유자징이 지은 수양서. 동아시아에 널리 유포되었으며, 주로 어린이들의 교육에 활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6.
정조의 수결 정조의 수결 ★ 정조 수결 : 수원 유수 채제공에게 내린 전령에서 인용. 개인 소장. ★ 수결(手決) : 신분의 증명이나 확인을 위하여 이름이나 직함 아래에 자필로 쓰던 부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6.
정조의 어릴 적 서체 정조의 어릴 적 서체 ★ 정조(正祖, 1752~1800, 재위 1776~1800) : 조선 제22대 왕이자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 생부 사도세자(장조)가 임오화변으로 죽은 뒤 요절한 효장 세자(영조의 장자)의 아들로 입적되어 왕위를 계승하였다. 영조의 탕평책을 이어 발전시켰으며 다양한 개혁 정책을 펼쳤다. 조선의 중흥을 이룬 왕으로 평가받는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6.
[조선후기/정치]정인홍의 묘 정인홍의 묘 ★ 정인홍(鄭仁弘, 1535~1623) : 조선중 ․ 후기(선조~광해군 대)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당색으로는 동인이었다가, 정철의 처벌을 놓고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나뉠 때는 강경파로 북인이었다. 광해군을 지지하여 영창대군 제거를 주장하였으며, 인조반정 이후 참형에 처해졌다. 경상남도 합천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