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사진자료실/삼국~남북국379

[고구려/고분]장군총(將軍塚) 장군총(將軍塚) ★ 장군총(將軍塚) : 고구려 시대의 돌무지무덤(積石塚). 중국 지린성 퉁화시 지안시 퉁구의 토구자산 중허리에 있으며, 산 아래에 광개토왕릉비가 있다. 중국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양식으로 규모가 장대하다. 학계에서는 광개토왕 또는 장수왕의 무덤으로 추정하고 있다. 7층의 단계식 피라미드로 이루어져 있으며, 평면은 장방형으로서 한 변의 길이는 31.5~33m이다. 현재 14m로 아파트 5층 높이에 달한다. 기단에는 적석의 밀림을 방지하는 호석(護石)이 배치되어 있다. 정상에는 건축물이 있었던 흔적이 있고, 내부 묘실은 횡혈식으로 벽화가 그려졌던 흔적이 있다. 부장품은 남아 있지 않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21.
[삼국시대/고분]굴식돌방무덤의 구조 굴식돌방무덤의 구조 ★ 굴식 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 : 돌로 1개 이상의 널방을 짜고 그 위에 흙으로 덮어 봉분을 만든 무덤. 일반적으로 2개의 방(앞방과 널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무덤 입구와 두 방은 널길(통로)로 이어져 있다. 방과 널길의 벽과 천장에 벽화를 그리기도 했다. 고구려 고분 중에 많으며 평양, 황태도, 만주 집안 지역 등에 많이 분포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20.
[삼국시대/고분]돌무지 무덤 돌무지 무덤 ★ 돌무지 무덤(積石塚, Burial cairn) : 돌들을 무더기로 쌓아 만든 무덤. 청동기 시대부터 삼국 시대까지 만들어졌으며, 주로 고구려, 백제에서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가공하지 않은 돌을 쌓았으나, 점점 돌을 벽돌 형태로 다듬어 쌓아 올렸다. 대표적인 무덤으로는 장군총이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20.
[고구려/고분]동명왕릉과 제당(평양) 동명왕릉과 제당(평양) ★ 동명왕릉(東明王陵) :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에 위치한 고구려 시조 동명왕의 무덤. 427년에 고구려가 평양으로 천도하면서 왕릉을 이장했다고 추정한다. 고구려 무덤 중 규모가 가장 크며 계단식 돌기단 위에 흙으로 쌓은 돌칸흙무덤이며, 내부에는 널길과 널방이 있고 벽화 흔적이 남아있다. 왕릉 주변에는 10여 기의 고구려 무덤이 있고, 100m 정도 떨어진 곳에 능사인 정릉사가 있다. 1993년에 북한이 대대적으로 개건하였다. 북한 국보 제 36호. 유네스코 지정 세계 문화유산.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9.
[고구려/건축]대동강 다리(복원도) 대동강 다리(복원도) ★ 대동강 다리 : 삼국시대 고구려의 대동강에 있었던 나무 다리(木橋). 길이 375m, 폭 9m에 달한다. 1981년 북한의 평양직할시 대동강구역에서 발견하였으며, 골조와 교각 기둥, 기와 및 질그릇 조각 등이 출토되었다. 고구려가 수도를 평양으로 옮긴 427년(장수왕 15) 이후에 쌓은 것으로 추정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9.
[고구려/인물]을지문덕 을지문덕 ★ 을지문덕(乙支文德, ?~?) : 고구려 영양왕(재위 590~618) 때의 장군. 수나라의 제2차 침입을 물리쳤다. 612년 수 양제가 대규모 군대를 이끌고 고구려를 공격했는데 살수(薩水,청천강)에서 수나라 군대를 궤멸시켰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8.
[고구려/불교미술]영강 7년명 주형 광배 영강 7년명 주형 광배 ★ 영강 7년명 주형 광배(永康七年銘舟形光背) : 1947년 평양의 절터에서 발견된 불상의 광배. 높이 21㎝, 너비 14㎝. 윗부분이 뾰족하고 폭이 넓은 배 모양(舟形)으로, 가운데에 연꽃무늬가 있고 주위에 불꽃 무늬가 둘러싸고 있다. 영강 7년(永康七年)이라는 연대가 새겨져 있으나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8.
[고구려/불교미술]금동 연가 7년명 여래 입상 연가 7년명 금동여래 입상 ★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金銅延嘉七年銘如來立像) : 고구려 때 만든 금동 불상으로 1963년에 경상남도 의령군 대의면 하촌리에서 발견되었다. 높이 16.2cm, 석가여래가 연화대좌 위에 직립한 형태이며 광배가 있다. 광배의 뒷면에 4행 47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으며, 명문 중 연가 7년(539)이라는 연명이 있어 제작 시기를 알 수 있는 희귀한 불상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8.
[고구려/유적]안학궁 배치도 안학궁 배치도 ★ 안학궁(安鶴宮) : 고구려의 궁. 장수왕이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한 427년(장수왕 15년)에 건립되었다. 평원왕이 평원왕 9년(567년)에 장안성으로 천도할 때까지 고구려의 왕궁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궁의 터만 남아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7.
[고구려/유적]안학궁 복원도 안학궁 복원도 ★ 안학궁(安鶴宮) : 고구려의 궁. 장수왕이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한 427년(장수왕 15년)에 건립되었다. 평원왕이 평원왕 9년(567년)에 장안성으로 천도할 때까지 고구려의 왕궁으로 사용되었다. 현재는 궁의 터만 남아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7.
[고구려/대외관계]안시성 전투 안시성 전투 ★ 안시성 전투(安市城 戰鬪,645, 보장왕 4년) : 제 1차 고구려-당 전쟁 중에 당나라 태종이 지휘하는 군대가 대규모로 고구려를 침공하여 3개월 가량 안시성을 포위하고 공격했으나 끈질긴 항전으로 이를 물리치고 고구려가 승리한 싸움.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7.
[고구려/대외관계]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의 고구려 사신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의 고구려 사신 ★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Afrasiab Painting) : 1965년에 우즈베키스탄의 옛 사마르칸트 지역에서 발굴된 스키타이-소그드의 대표적인 예술 유적. 7세기 중반에 완성된 것으로 추정한다. 서쪽 벽화의 중앙 부분에서 고구려 사신들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6.
살수대첩 살수대첩 ★ 살수대첩(612) : 제 2차 여수전쟁 중 고구려가 수나라의 별동대를 섬멸한 전투. 귀주대첩, 행주대첩, 한산도대첩과 함께 한민족 4대첩의 하나로 불린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6.
[고구려/경제]부경 부경 ★ 부경(桴京) : 고구려의 전통적 창고. 삼국지 위서 동이전(三國志 魏書 東夷傳)에 관련 기록이 있으며, 목재를 엮어 다락식으로 지은 고상 창고이다. 지금도 옛 고구려 지역(만주)에서 볼 수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6.
[고구려/유물]고구려의 쇠보습 고구려의 쇠보습 ★ 보습 : 땅을 갈거나 뒤엎어 농사를 지을 때 사용된 도구. 농경이 시작된 신석기 시대에 발명되었으며, 선사시대에는 돌로, 철기 시대 이후 쇠로 만들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5.
[고구려/껴묻거리]부뚜막(쇠화덕) 부뚜막(쇠화덕) ★ 고구려의 부뚜막(쇠화덕) : 평안북도 운산군 동신면 용호동 1호분(돌방무덤)에서 출토되었다. 조사 당시(1918) 무덤의 널방(玄室)으로 추정되는 곳에서 출토되었다. 쇠를 녹여 주조하여 만들었으며, 안악3호분 부엌 그림의 부뚜막과 비슷한 형태이다. 실제 사용한 것이라기 보다는 죽은 이를 위한 명기(明器)로 추정한다.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5.
[고구려/공예]세발뚜껑단지(有蓋三脚壺) 세발뚜껑단지(有蓋三脚壺) 국립 중앙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4.
[고구려/공예]두귀단지(兩耳附壺) 두귀단지(兩耳附壺) 삼국시대-고구려 5~6세기 평안남도 대동군 송산리 출토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4.
[삼국시대/고구려]동맹(東盟) 동맹(東盟) ★ 동맹(東盟) : 고구려에서 10월에 행하던 제천 의식. ‘동명(東明)’이라고도 한다. 농경의례로서 부족 공동체의 추수감사제에서 발전하여 국가적 행사가 되었다. , , , 등에 기록이 전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3.
금동 장식 금동 장식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2.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