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사진자료실/근대509

[일제강점기/여성운동]<근우> 창간호 창간호 ★ 근우회(槿友會) : 일제 강점기 중반에 조직된 여성 단체. 1927년 한국의 여성운동가들이 좌우를 초월하여 설립한 단체이며 신간회의 자매 단체였다. 김활란, 고황경, 박차정, 정칠성, 박순천 등이 주요 인물이었으며, 전국적 규모의 조직이었다. 근우회의 목표는 ‘여성의 지위 향상 도모’였고 봉건적 구습 타파 및 여성 파별 철폐, 여성 교육 등을 주장하였다. 1931년 신간회 일부 지부가 해소를 결의하고, 일제의 탄압과 여러 계열이 혼재된 구성 등으로 한계에 부딪혀 해체되었다. ★ 근우 : 1927년 조직된 여성 단체 의 기관지. 2021. 4. 4.
[일제강점기/인적수탈] 일제의 강제 징용 피해자 자료 일제의 강제 징용 피해자 자료 강제징용 피해자 전우석씨의 사진과 사망진단서(1943년 사망)와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자료들 (사진출처 : 뉴시스) ★ 일제강점기의 강제 징용 :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인력 확보를 위해 많은 한국인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1938년 을 공포하고 실시하였다. 한국 노동자들의 직업 선택권을 빼앗고 일본의 필요에 따라 강제 노동을 시켰다. 한국 노동자들은 사할린 섬이나 동남아시아, 남양군도 등에서 탄광, 군사기지 및 철도 건설에 동원되어 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과중한 노동에 시달렸다. 이들 중 많은 이들이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였으며, 전후 전범으로 희생되기도 했다. 일본은 현재까지 일제의 강제징용을 부인하고 있다. 2021. 4. 3.
[일제강점기/민족말상정책]일본어 독본을 읽은 어린이들 일본어 독본을 읽은 어린이들 ★ 일제강점기 후반 일본이 실시한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와 한글을 금지하고 일본어 사용을 강요하였다. ★ 민족말살정책(民族抹殺政策) : 일본이 일제강점기 193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한민족의 정체성을 사라지게 하여 최후까지 전쟁협력을 얻기 위해 취한 정책. 와 등을 내세우며 , 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한국인의 정치 참여와 교육 확대 등은 외면하고 차별은 개선하지 않았다. 2021. 4. 3.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일제강점기 한일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 시간 차이 일제강점기 한일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 시간 차이 2021. 4. 3.
[일제강점기/독립운동] 성진회 성진회 ★ 성진회(醒進會) : 1926년 전라남도 광주에서 조직되었던 항일학생운동단체로 비밀단체였다. 광주보통학교와 광주농업학교 학생들이 모여 조직하였으며, 한국의 독립과 민족 해방을 목표로 하였다. 1927년 조직의 비밀 누설을 염려하여 해체하였으나, 주요구성원을 중심으로 ‘독서회’로 재편되어 사회과학을 연구하였다. 1929년 일어난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전국적 확산의 기폭제가 된 2차 광주시위운동(1929년 11월 12일)을 주도하였다. 2021. 4. 2.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조선의용군의 군사 훈련 조선의용군의 군사 훈련 ★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Korean Volunteers Army) : 조선항일의용군(朝鮮抗日義勇隊), 국제여단(國際旅團)이라고도 불렀다. 대장 김원봉과 조선민족혁명당의 주도로 1938년 10월 10일 중국 후베이성 한커우(漢口, 현재 우한)에서 결성된 독립군이다. 조선민족전위동맹 산하의 단체로 분류된다.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중국 본토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며, 게릴라전과 선전업무를 맡기도 했다. 1941년 의용대 일부가 화북으로 이동하여 분열되자 조선의용군(朝鮮義勇軍)으로 개칭하였으며, 1942년 김원봉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자 의용대의 일부는 광복군 제1지대로 편입되었고, 김원봉은 군무부장에 취임했다. 2021. 4.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한중호조사의 임시정부 대표들 한중호조사의 임시정부 대표들 ★ 한중호조사(韓中互助社) : 1921년 중국 각지에서 한국 독립운동가들과 중국의 민간인들이 한중친선과 한국독립 지원, 반제국주의 활동 등을 목적으로 결성한 민간단체. 2021. 4.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피난선과 이삿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피난선과 이삿짐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만주사변(1932), 이봉창 의거와 윤봉길 의거(1932), 중일 전쟁(1937) 등으로 1932년부터 1940년 충칭에 정착할 때까지 여러 차례 본거지를 옮겼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 2021. 4. 1.
[일제강점기/해외독립운동]만주와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단체 만주와 연해주 지역의 독립운동 단체 2021. 4. 1.
[근현대/영토와역사문제]간도 지역 간도 지역 ★ 간도(間島) : 압록강 상류와 두만강 북쪽의 조선인 거주 지역을 일컫는 말로, 범위에 관하여는 여러 이견이 있다. 일반적으로 간도라 하면 현재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지역을 가리키며, 두만강 북쪽 연변 지역을 ‘북간도’, 서쪽인 압록강 북쪽 지역을 '서간도'라 부르기도 한다. 19세기 말, 조선과 청나라가 백두산정계비에 쓰여진 "토문(土門)"을 서로 달리 해석하면서 이 지역(북간도)에 대한 귀속 문제가 불거졌고, 1903년(광무 7년) 대한제국은 간도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며 간도관리사 파견하였다. 일본이 을사조약으로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한 뒤(1905), 1909년 일본은 청나라와 간도 협약을 체결하여 이 지역에 대한 청나라의 법적 권한을 인정하여 한국은 간도를 빼앗겼다. 1962년 북.. 2021. 4. 1.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조선혁명선언 조선혁명선언 ★ 조선혁명선언(朝鮮革命宣言) : 1923년 중국에 망명중이던 신채호(申采浩)가 비밀 항일결사 단체인 의열단(義烈團)의 선언문으로 작성한 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외교노선주의론에 반대하고 폭력투쟁적 항일투쟁노선을 정당화하고 아나키즘의 영향을 받은 민중의 직접 혁명 이념을 제시하였으며 반제국주의 노선을 명백하게 드러내었다. 삼일 독립선언문 이후 가장 큰 역사적 의의를 지닌 독립사상을 밝힌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2021. 3. 31.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한인국방경비대 한인국방경비대 ★ 한인국방경비대(韓人國防警備隊) : 1942년 2월 미국의 로스앤젤레스에서 조직된 한인 군사조직. 1941년 태평양전쟁이 일어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일선전포고를 하자 미주 한인사회는 한국 광복을 지원하고 대일전선 참여하고 미군 후원 활동을 전개하였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서 한인국방군편성계획을 미육군사령부에 제출하여 허가를 얻어 1942년 한인국방경비대를 창설하였으며, 9월 한국광복군으로 정식 편입되어다. 1943년 미국 육군의 방침에 따라 군사조직으로의 권리를 상실하고 해산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설립 기념식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설립 기념식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구속된 사상범들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구속된 사상범들 ★ 치안유지법(治安維持法) : 일제의 대표적인 언론 탄압법으로 1925년부터 시행되었다. 한국의 독립운동 탄압을 비롯하여 민주주의 및 사회주의 운동, 공화제 운동을 탄압하는 목적도 있었다. 처음에는 징역이나 금고형이었으나 1928년 사형까지 가능하도록 개정되었으며, 일본과 일본의 식민지 전체에 적용되었다. 광복 후, 1945년 10월 15일에 폐지되었다. 2021. 3. 29.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이상 이상 ★ 이상(李箱, 1910~1937) : 일제 강점기의 시인, 작가,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작가이자 아방가르드 문학가. 본명은 김해경(金海卿). 소설 , , 수필 , 시 , 등을 저술하였다. 1937년 폐결핵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사후에 시대를 앞선 천재문학사로 평가받았으며 1977년부터 을 시상하고 있다. 2021. 3. 29.
[일제강점기/친일파] 이광수 이광수 ★ 이광수(李光洙, 1892~1950) : 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문학가, 번역가. 애국 계몽 운동을 하였으며, 신한청년당으로 활동하고 2.8독립선언에 참여하는 등의 독립운동을 하였으나, 1930년대 후반부터 친일 성향을 보이며 창씨개명과 황민화 운동을 지지하는 등의 친일행각을 벌였다. 광복 후 반민특위에 기소되었으나 석방되었고, 한국전쟁 때 서울에 침입한 북한군에 납북되었다. 1950년 북한 만포에서 병사하였다. 작품으로 , , 등이 있으며, 친일 논문 등을 저술하였다. 2021. 3. 29.
[일제강점기/문화예술] 상록수 상록수 ★ 상록수(常綠樹) : 작가 심훈이 1935년에 발표한 장편 소설로 동아일보 창간 15주년을 기념하는 장편 소설 공모에 1등으로 당선되었으며, 2년에 걸쳐 연재되며 대중의 많은 사랑을 받았다. 농촌계몽운동을 하다 숨진 “최용신”을 모델로 한 소설로 1930년대의 이 잘 표현되어 있다. 2021. 3. 28.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최용신 최용신 ★ 최용신(崔容信, 1909~1935)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농촌계몽운동가.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사리(현재 경기도 안산시 본오동)에서 봉사하였다. 3.1운동에 참여하여 옥고를 치렀으며 1931년부터 농촌계몽운동에 투신하여 농촌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일본의 방해와 탄압으로 한계를 느끼고 일본에 유학하였는데, 병을 얻어 귀국하였다. 병마를 무릅쓰고 농촌계몽운동을 하다 병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소설가 심훈의 대표작인 의 모델이 된 인물이다. 2021. 3. 28.
[근현대/인물] 장준하와 친구들 장준하와 친구들 ★ 장준하(張俊河, 1915~1975)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대한민국의 정치가, 종교인, 언론인, 사회운동가. 일제 강점기에 교육 활동을 하였고, 일본군 '쓰가다 부대'에 자원입대하였다가, 중국 장쑤성 쑤저우에서 탈출, 중국 중앙군관학교에서 훈련을 받고 중국군 중앙군 준위가 되었다. 1945년 중국 쓰촨성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찾아가 한국광복군 소위로 복무하였으며 미국 전략첩보대(OSS)에서 활동하며 국내 진공작전에 가담하였으나, 8.15 광복을 맞이하여 귀국하였다. 김구의 비서로 있다가 대한민국정부수립 후 정치에 입문하였으며 4.19 혁명의 단초가 된 교양지 를 창간하기도 했다. 2, 3 공화국 도안 여러 직책을 거쳤으며, 박정희 정권의 유신독재에 항거하다 1975년 의문.. 2021. 3.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