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12

[한국지리/경제]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 ★ 새마을 운동(New Village Movement) : 1970년 초 대한민국 농촌의 현대화를 위해 시작되어 박정희 정부 주도로 시행된 운동.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30.
[일제강점기/경제수탈]토지 조사 사업 서류 양식 토지 조사 사업 서류 양식 ★ 조선 토지 조사 사업(朝鮮土地調査事業) :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일본이 한국의 식민지적 토지 소유 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시행한 대규모 조사 사업. 근대적 토지소유권의 확립을 구실로 내세웠으나, 실질적으로는 한국인의 토지 수탈이 목적이었다. 토지 조사 사업 이후, 조선 총독부와 일본인 소유 토지가 대폭 늘어났느며, 대지주 계층이 등장하고 영세 소작농이 대폭 늘었다. 특히 농민들은 세습적 경작권을 빼앗겨 더욱 빈곤해졌다. 2020. 9. 30.
[일제강점기/경제수탈]조선 토지 조사 사업 조선 토지 조사 사업 ★ 조선 토지 조사 사업(朝鮮土地調査事業) : 1910년부터 1918년까지 일본이 한국의 식민지적 토지 소유 관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시행한 대규모 조사 사업. 근대적 토지소유권의 확립을 구실로 내세웠으나, 실질적으로는 한국인의 토지 수탈이 목적이었다. 토지 조사 사업 이후, 조선 총독부와 일본인 소유 토지가 대폭 늘어났느며, 대지주 계층이 등장하고 영세 소작농이 대폭 늘었다. 특히 농민들은 세습적 경작권을 빼앗겨 더욱 빈곤해졌다. 2020. 9. 30.
[일제강점기/경제수탈]동양척식주식회사 동양척식주식회사 ★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 Oriental colonization Company) : 1908년 12월 18일에 설립된 일본의 기업. 일제가 조선의 경제 독점과 토지·자원의 수탈을 목적으로 세운 국책회사로 영국의 동인도 회사를 본뜬 식민지 수탈기관이다. 1945년 11월 10일 미군정에 의해 신조선회사로 개편되었다가, 1946년 2월 21일 신한공사(新韓公社)를 창립하였다. 2020. 9. 30.
[한국지리/SOC]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호선) :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대한민국 최장거리의 고속도로이기도 하며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를 이룬다.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완공되었다.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등 3개의 광역시를 거친다. 또한 수도권 대도시, 지역 거점 도시들을 거치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국토의 대동맥’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9.
[한국지리/SOC]경부고속도로 건설 경부고속도로 건설 ★ 경부고속도로(京釜高速道路, 고속국도 제1호선) : 부산광역시 금정구를 기점으로, 서울특별시 서초구를 종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대한민국 최장거리의 고속도로이기도 하며 아시안 하이웨이 1호선의 일부를 이룬다. 1968년 2월 1일에 착공하여 1970년 7월 7일 완공되었다.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등 3개의 광역시를 거친다. 또한 수도권 대도시, 지역 거점 도시들을 거치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는 ‘국토의 대동맥’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9.
[일제강점기/1940년대]아베 노부유키 아베 노부유키 ★ 아베 노부유키(阿部 信行, 1875~1953) : 일본의 육군 군인·정치인. 제36대 총리대신과 마지막 조선총독을 지냈다. 2020. 9. 29.
[일제강점기/1940년대]고이소 구니아키 고이소 구니아키 ★ 고이소 구니아키(小磯 國昭, 1880~1950) : 일본의 육군 군인, 정치인. 제41대 일본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였으며, 1942년부터 1944년까지 8대 조선 총독을 지냈다. 2020. 9. 29.
[일제강점기/1930년대이후]미나미 지로 미나미 지로 ★ 미나미 지로(南 次郎, 1874~1955) : 일본의 군인, 정치가. 1936년부터 1942년까지 제7대 조선총독을 역임하였으며, 총독 재직 중 내선일체와 창씨개명령을 시행하였다. 창씨개명 정책에 대한 혼선과 조선인의 반발로 1942년 총독직에서 해임되었다. 1945년 일본의 패전 이후 A급 전범의 한사람으로 지목되었다. 2020. 9. 29.
[한국지리/경제]농지 개혁 농지 개혁 ★ 농지개혁(農地改革) :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실시된 토지 개혁. 제헌국회에서 법 제정과 개정을 거쳐 1950년부터 실시되었으나 6.25 전쟁으로 연기되어, 1953년부터 본격적으로 시행되었다. 유상몰수 유상분배를 원칙으로 하였으며, 1가구가 소유할 수 있는 농지를 제한하고 불하받은 농민은 5년에 걸쳐 상환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8.
[한국지리/경제]6.25 전쟁 직후의 천막 학교 6.25 전쟁 직후의 천막 학교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8.
[일제강점기/1920년대]야마나시 한조 야마나시 한조 ★ 야마나시 한조(山梨 半造, 1864~1944) : 일본의 육군 대장으로, 1927년부터 1929년까지 4대 조선 총독을 지냈다. 2020. 9. 28.
[일제강점기/1920년대]우가키 가즈시게 우가키 가즈시게 ★ 우가키 가즈시게(宇垣 一成, 1868~1956) : 일본의 군인이며 정치인. 일본육군사관학교 출신 군인으로, 1927년 조선 총독을 역임했고, 1923년~1927년, 1929년~1931년에는 육군대신을 지냈다. 육군 대장으로 예편하였으며, 1931년부터 1936년까지 6대 조선 총독을 역임했다. 2020. 9. 28.
[일제강점기/1920년대]사이토 마코토 사이토 마코토 ★ 사이토 마코토(齋藤 實, 1858~1936) : 일본의 해군 군인이자 관료, 정치가. 해군 대장과 해군 대신을 역임했다. 1919년부터 1927년까지 제3대, 1929년부터 1931년까지 제5대 조선총독부 총독을 지냈다. 2020. 9. 28.
[한국지리/경제]6.25 전쟁의 피해 6.25 전쟁의 피해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7.
[한국지리/신재생에너지]울돌목 시험 조류 발전소 울돌목 시험 조류 발전소 ★ 울돌목 시험 조류 발전소 : 전라남도 해남군의 울돌목(명량해협)에 지어진 조류 발전소. 아시아에서 유속이 가장 빠른 울돌목에 있다. 현재는 시험운용 상태로 발전량은 1천㎾급이며, 이는 400가구가 1년간 사용할 수 있는 규모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7.
[일제강점기/1910년대]하세가와 요시미치 하세가와 요시미치 ★ 하세가와 요시미치(長谷川好道, 1850~1924) : 일본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 일본 제국 육군 원수를 역임했고, 1916년부터 1919년까지 제2대 조선총독을 지냈다. 2020. 9. 27.
[일제강점기/1910년대]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 ★ 데라우치 마사타케(寺内 正毅, 1852~1919) : 일본의 육군 군인, 정치가, 외교관. 제18대 내각총리대신을 지냈다. 1910년 5월부터는 제3대 한국통감이었고, 한일 강제 병합 이후부터 1916년 10월 14일까지 초대 조선총독이었다. 2020. 9. 27.
[일제강점기]조선총독부 조선총독부 ★ 조선총독부(朝鮮総督府) : 일본이 1910년 8월 29일 한국을 강제 병합한 뒤 1945년 9월 2일까지 한반도에 대한 통치를 위해 운영하던 직속기관. 조선총독부는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전한 이후에도 당분간 한반도 지역을 계속 통치하였고, 1945년 9월 3일부로 38도선 이남 지역을 미군정에게 인계하였고, 1945년 9월 28일 공식적으로 소멸되었다. 청사는 1995년 철거하였다. 2020. 9. 27.
[일본사/중 · 근세]조카마치 조카마치 ★ 조카마치(城下町) : 일본에서 센고쿠 시대 이래로 영주의 거점인 성을 중심으로 형성된 도시. 성의 방위시설이자 행정도시, 상업도시의 역할을 하였다. '성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는 뜻이지만, 에도 시대 이후에는 성이 아닌 행정시설인 진야를 중심으로 생겨나기도 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6.
[일본사/중세/전국시대]세키가하라 전투 세키가하라 전투 ★ 세키가하라 전투(関ヶ原の戦い) : 1600년 음력 9월 15일(10월 21일)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에 일어난 야전이다. 전투의 본질은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후 동군과 서군의 다툼이었고, 일본 전국의 다이묘가 두 세력으로 나뉘어 싸운 결과 동군 측이 승리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이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면서 사실상 확고부동한 패자(覇者)의 자리에 올라 에도 막부를 세우는 발판을 다지게 되었다. 또한 이 전투를 끝으로 일본의 센고쿠 시대가 사실상 막을 내렸다고 할 수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6.
[한국지리/SOC]시화호 조력 발전소 시화호 조력 발전소 ★ 시화호 조력 발전소(始華湖潮力發電所, Sihwa Lake Tidal Power Station)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대부동동에 위치한 조력발전소로 화방조제의 중앙에 있다. 2004년 착공하여 2011년 완공하였다. 조력발전 시설용량은 254MW로 세계 최대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6.
[한국지리/SOC]새만금 방조제 새만금 방조제 ★ 새만금 방조제(새萬金 防潮堤) : 새만금 간척 사업을 위해 만들어진 세계 최장의 방조제. 총 33.9 km이며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로 기네스북에 기록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6.
[일제강점기]일장기가 걸린 경복궁(1910년) 일장기가 걸린 경복궁(1910년) 2020. 9. 26.
[개화기/열강의침략]한일 병합 조약 한일 병합 조약 ★ 한일 병합 조약(韓日倂合條約) : 1910년 8월 22일에 조인되어 8월 29일 발효된 대한제국과 일본 제국 사이에 이루어진 합병조약. 한일 합방 조약(韓日合邦条約), 한국 병합에 관한 조약(韓国併合に関する条約) 등으로도 불리며, 한국에서는 국권피탈(國權被奪), 경술국치(庚戌國恥) 등으로 칭하기도 한다. 대한제국의 내각총리대신 이완용과 제3대 한국 통감인 데라우치 마사타케가 형식적인 회의를 거쳐 조약을 통과시켰으며, 조약의 공포는 8월 29일에 이루어졌고, 이날 일본 제국 천황이 한국의 국호를 고쳐 조선이라 칭하는 건과 한국 병합에 관한 조서를 공포함으로서 대한제국은 일본 제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2020. 9. 26.
[개화기/정치]태극기 태극기 ★ 태극기(太極旗) : 대한민국의 국기. 1882년 고종이 조선의 군주을 상징하는 어기(御旗)인 '태극 팔괘도'를 일부 변형하여 만들었고, 조미 수호 통상 조약과 박영효 등 일본 수신사 일행이 사용하였다. 이후 태극기는 조선, 대한제국,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공식 국기로 사용되었고,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계속 정식 국기로 사용되고 있다. 2020. 9. 26.
[일본사/중세]도조 이삼평 비 도조 이삼평 비 ★ 이삼평(李參平, ? ~ 1655) : 조선 시대의 도공. 충청도 금강(충청남도 공주시) 출신으로, 임진왜란 때 일본 규슈로 끌려가 아리타 자기(또는 이마리 자기)의 모태를 만든 인물로 알려져 있다. 일본명은 가네가에 산베에(金ヶ江三兵衛)이다. 1917년 아리타 자기 창업 300년을 기념하여 도잔 신사에〈도조 이삼평 비〉가 건립됐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5.
[일본사/중 · 근세]히젠 나고야 성 히젠 나고야 성 ★ 히젠 나고야 성(肥前 名護屋城) : 히젠 국 마쓰라 군 나고야에 있었던 성. 현재 사가현 가라쓰시에 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임진왜란을 일으키기 직전 축성한 성이기도 하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5.
[한국지리/SOC]소양강댐 소양강댐 ★ 소양강댐(昭陽江 dam) : 강원도 춘천시 신북읍과 동면의 소양강에 위치한, 북한강 유역의 유일한 다목적 댐. 1967년 착공되어 1973년 완공되었다. 흙과 돌로 만들어진 사력(砂礫) 댐으로, 댐의 길이는 530m, 높이는 123m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사력식댐으로, 저수량이 29억 톤인 인공 호수 소양호가 위치해 있다. 다목적 댐 그리고 호수 전체를 한 바퀴 도는 유람선과 청평사로 가는 유람선이 운행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5.
[한국지리/SOC]섬진강댐 섬진강댐 ★ 섬진강댐(蟾津江댐) : 전라북도 임실군 강진면 옥정리에 위치하는 대한민국의 첫 다목적댐. 1940년 착공하였으나 2차대전과 6.25 전쟁으로 착공이 중단되었다가 1961년 8월에 제1차 경제개발계획의 일환으로 다시 기공되어 되어 1965년 준공되었다. 취수된 물은 수력 발전, 농업 용수 등으로 이용되며 홍수 방지 역할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