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08

오늘도 잘 먹고 산다 오늘도 잘 먹고 산다 2021. 6. 14.
[현대/광복~정부수립]한국의 친일 청산과 프랑스의 나치 처벌 비교 한국의 친일 청산과 프랑스의 나치 처벌 비교 2021. 6. 14.
[현대/광복~정부수립]김구 암살 사건 김구 암살 사건 ★ 김구암살사건(金九暗殺事件) : 1949년 6월 26일 백범 김구(白凡 金九)가 서울 경교장에서 안두희(安斗熙)에게 암살당한 사건. 당시 정부는 안두희가 김구가 이끌던 한국독립당 당원이었던 것을 빌미로 암살 사건을 한국독립당의 내분으로 몰아갔고, 암살범 안두희는 재판 중 2계급 특진을 하고 사건 1년여 만에 형 면제 처분을 받고 군에 복귀하였다. 이후 민주화가 진행되면서 1990년대부터 김구 암살사건에 대한 진상규명이 시작되었다. 은 우발적 범행이 아니라 군부와 서북청년단이 깊숙이 개입하한 정권 차원의 범죄이며 이승만의 묵인 하에 일어났음이 밝혀졌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6. 13.
[현대/광복~정부수립]김구와 이승만 김구와 이승만 (1946년, 창덕궁) ★ 김구(金九, 1876~1949)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대한민국 정치인, 남북통일 활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무부위원, 경무국장, 주석 등을 지냈으며, 항일비밀결사인 한인애국단을 이끌었고 한국 광복군을 조직하였다. 광복 후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임정 법통 운동을 추진하였다. 분단을 막기 위해 남북협상에 참여하는 등(1948) 노력하였으나, 분단을 막지 못했다. 1949년 6월 26일 안두희의 총격에 서거하였다. ★ 이승만(李承晩, 1875 ~ 1965) : 조선·대한제국·일제 강점기의 개화파·독립운동가·언론인·정치인·교육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자 마지막 주석,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일제강점기에 한성정부 집.. 2021. 6. 11.
[현대/광복~정부수립]이승만 대통령 취임식 이승만 대통령 취임식 (1948년 7월 24일) ★ 이승만(李承晩, 1875 ~ 1965) : 조선·대한제국·일제 강점기의 개화파·독립운동가·언론인·정치인·교육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자 마지막 주석,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일제강점기에 한성정부 집정관총재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초대 임시대통령, 국무위원, 주미외교위원부 위원장 등을 지내며 주로 미국에서 외교 활동을 벌이며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광복 이후 신탁통치를 반대하고 대한민국의 정부 수립을 주도하였으며, 초대 대한민국 대통령에 취임하여 12년 동안 대한민국의 대통령을 지냈다. 대통령으로 재임하는 동안 여러 가지 업적을 남기기도 했으나, 친일 청산 방해, 독재 권력 추구, 6.25 전쟁 중 도주 등으로 많은 오점을 남겼다. 19.. 2021. 6. 10.
해넘이 115 해넘이 115 2021년 6월 4일 2021. 6. 4.
해넘이 114 해넘이 114 2021년 5월 30일 해질녘, 하늘이 우울하더니 지금은 비가 내린다 2021. 5. 30.
우울한 하늘 우울한 하늘 하늘도 내 기분처럼 우울하군.... 2021. 5. 29.
해넘이 113 해넘이 113 2021년 5월 28일 2021. 5. 28.
여름 장미 여름 장미 초여름, 따가운 태양 아래 장미가 활짝 피었다 2021. 5. 27.
해넘이 112 해넘이 112 2021년 5월 21일 2021. 5. 24.
북한의 수상으로 선출된 김일성 북한의 수상으로 선출된 김일성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입 선포 전날인 1948년 9월 8일에 최고인민회의 제 1차 회의에서 북조선인민위원회 위원장이었던 김일성이 초대 수상으로 선출되었다. 원래 사진(위)에는 박헌영이 있었으나, 숙청된 후 수정된 사진(아래)에서 사라졌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24.
해넘이 111 해넘이 111 2021년 4월 4일 2021. 5. 23.
[현대/광복~정부수립]북조선 인민 위원회 북조선 인민 위원회 ★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 People's Committee of North Korea) : 38선 북쪽 지역에서 소련의 군정이 끝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모태가 된 기관으로 사실상의 정부로서 운영되었다. 토지개혁과 전 산업의 당소유화 등을 단행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냉전 체제가 형성되고 남북간의 접촉이 단절되면서, 1948년 7월, 태극기를 인공기로 교체하고 애국가를 개정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23.
해넘이 110 해넘이 110 2021년 5월 19일 2021. 5. 22.
[현대/광복~정부수립]북조선 인민 위원회수립 경축식 북조선 인민 위원회수립 경축식 (1946년 2월 8일) ★ 북조선인민위원회(北朝鮮人民委員會, People's Committee of North Korea) : 광복 이후 소련의 6개월 간의 군정이 끝나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모태가 된 기관으로, 사실상의 정부로서 운영되었다. 토지개혁과 전 산업의 당소유화 등을 단행하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냉전 체제가 형성되고 남북간의 접촉이 단절되면서, 1948년 7월, 태극기를 인공기로 교체하고 애국가를 개정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22.
해넘이 109 해넘이 109 2021년 5월 13일 2021. 5. 21.
[현대/광복~정부수립]좌우합작 운동의 주요 인물들 좌우합작 운동의 주요 인물들 ★ 좌우합작위원회(左右合作委員會) : 좌우합작운동(左右合作運動)이라고도 한다. 1946년에 일제 강점기 이후의 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한국의 좌우 세력이 합작하여 연대를 추진하였던 운동으로 당시 중도파 세력 인사들이 주축으로 구성되어 전개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21.
해넘이 108 해넘이 108 2021년 5월 10일 2021. 5. 20.
[현대/광복~정부수립]여수 ․ 순천 사건 당시의 정부 진압군 여수 ․ 순천 사건 당시의 정부 진압군 ★ 여수·순천 사건(麗水順天事件) : 여순사건(麗順事件)이라고도 부른다. 1948년 10월 19일부터 10월 27일까지 전라남도 여수·순천 지역에서 국군 제14연대 소속이자 남로당 소속의 김지회·지창수가 주동하여 일어난 군사반란과 여기에 호응한 좌익계열 시민들이 가담한 사건. 국군, 해군, 경찰에 의해 반란군 2,000여 명이 전멸하였고, 이 과정에서 전라남도 동부 지역의 무고한 민간인들이 다수 희생되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이승만 정부는 1948년 12월 1일 국가보안법을 제정하고 반공주의 기치를 강화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20.
[현대/광복~정부수립]대한민국 정부 수립 축하 현수막이 걸린 숭례문 대한민국 정부 수립 축하 현수막이 걸린 숭례문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한국은 1945년 35년 간의 일본 식민 통치에서 해방이 되었으나, 강대국의 냉전에 휘말렸다. 광복 직후 북위 38°선을 경계로 남쪽과 북쪽을 각각 미군과 소련군이 점령 지배함으로써 민족과 국토가 양분되었고, 3년 동안 점령국인 미·소의 대립과 남과 북의 지도자들 간의 반목과 불화로 통일 정부의 수립이 무산되었고, 남과 북에 별도의 분단 국가가 수립되었다. 분단이 확정되면서 38°선 이남 지역에 국제 연합(UN)의 결의에 의해 1948년 5월 10일 제헌 의회 의원을 선출하기 위한 총선거가 실시되었고, 동년 5월 31일에 처음으로 개원한 제헌 의회는 7월 17일에 새 공화국의 헌법을 제정했다. 1948년 8월 15일 새 공화국의 헌.. 2021. 5. 19.
[현대/광복~정부수립]이승만의 정읍 발언을 보도한 신문 이승만의 정읍 발언을 보도한 신문 ★ 이승만의 정읍 발언(井邑發言) : 모스크바 3상 회의(1945년 12월)에서 결정된 신탁통치에 대한 찬반 논란으로 좌우 세력이 크게 대립하고, 이듬해 제 1차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어 한반도는 큰 혼란에 빠졌다. 이승만은 남한 각지를 순회하는 도중 1946년 6월 3일에 전북 정읍에서 '남측만이라도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할 것'을 강조하는 내용의 발언을 하였다. 이 발언은 민족주의 진영의 큰 반발을 불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18.
[현대/광복~정부수립]원산에 상륙한 소련군 원산에 상륙한 소련군 ★ 한국의 군정기(韓國의 軍政期) :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고 한국은 광복을 맞이하였으나, 미군과 소련군이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각각 진주하며 통치하였다. 38도선 북쪽 지역은 소련군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전까지(1948.9.9), 이남에서는 미군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1948.8.15.)까지 통치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17.
[현대/광복~정부수립]일장기 대신 성조기가 걸린 조선 총독부 일장기 대신 성조기가 걸린 조선 총독부 ★ 한국의 군정기(韓國의 軍政期) : 1945년 8월 15일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일본이 연합국에 항복하고 한국은 광복을 맞이하였으나, 미군과 소련군이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각각 진주하며 통치하였다. 38도선 북쪽 지역은 소련군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정권 수립 전까지(1948.9.9), 이남에서는 미군이 대한민국 정부 수립 전(1948.8.15.)까지 통치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16.
[현대/6.25전쟁]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휴전협정)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휴전협정) ★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 한반도에서의 전쟁 행위를 멈추게 한 휴전협정(armistice). 1950년 12월 미국과 영국 사이에서 평화적 협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공산군 측의 반대로 유엔총회에서 결렬되었다. 그러나, 1951년 6월 공산군 측에서는 태도를 바꾸어 1951년 7월부터 협상이 시작되어 1953년 7월 27일 협정이 체결되었다. 국제법상 평시의 조약 체결에는 당사국 의회 등의 비준이 필요하였으나, 휴전협정에는 중국군, 북한군, 유엔군 사령관만 서명하여 비준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은 휴전회담을 반대하고 북진통일 주장하였으나 군사작전권을 문제로 독자적인 전쟁을 이어나갈 수 없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13.
[현대/6.25전쟁]반공포로 석방사건 ㅇ 반공포로 석방사건 ★ 반공포로 석방사건 : 6.25전쟁 휴전회담 진행 중에 한국측이 미군을 비롯한 UN군의 동의 없이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어있던 반공포로를 석방한 사건. 휴전협상에서 UN과 공산측은 포로 송환 문제에 첨예하게 대립했다. UN은 포로가 돌아갈 국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자는 ‘자발적 송환원칙’을, 공산측은 ‘강제적 송환원칙’을 주장하였다. 장기화되던 포로송환 문제는 귀한을 거부하는 포로는 중립국 송환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송환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과 유엔참전국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반공포로를 석방시켰다. 이것은 이승만 대통령의 가장 훌륭한 업적으로 평가되지만, 인권보다는 대한민국이 휴전협정서 배제된 것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저.. 2021. 5. 12.
[현대/6.25전쟁]전쟁 고아 전쟁 고아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11.
[현대/6.25전쟁]피난민 피난민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10.
[현대/6.25전쟁]폭격으로 폐허가 된 서울 폭격으로 폐허가 된 서울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9.
[현대/6.25전쟁]끊어진 대동강 철교에 매달린 피난민들 끊어진 대동강 철교에 매달린 피난민들 ★ 대동강철교(大同江鐵橋) : 경의선 철도가 평양에서 대동강을 지나는 구간에 놓인 다리이며, 1905년에 건설되었다. 원래 나무로 지었으나, 수해 등으로 문제가 계속 일어나자 1907년 철교로 바꾸는 공사를 시작하여 1909년 준공되었다. 1930년대 말에 경부선과 경의선 복선화 공사와 함께 신설공사를 시작하여 1942년에 완공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 중공군의 남하를 지연시키기 위해 UN군 측이 파괴하였으며, 전후에 복구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