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죽신과 짚신
|
|
|
|
양직공도의 신발
|
남자 신발
흑피혜(黑皮鞋) |
목이 길고 검은 가죽으로 만든 것으로, 조복(朝服) 및 제복(祭服)에 착용한다. |
목화 |
바닥은 나무이고 목은 천으로 되었으며 검은 천으로 겉을 씌우고 솔기에 홍색 선을두른 것으로, 조복(祭服) 및 공복(公服)에 착용했다. |
태사혜 |
가장자리에 헝겊이나 가죽을 대고 코와 뒤축에 흰 선 무늬를 새긴 신발로 양반들이 평상시에 즐겨 신었다. |
짚신 |
가장 많은 사람들이 널리 신었던 것으로 초리(草履)는 짚신이고 마혜는 미투리이다. |
발막신 |
상류계급 노인들이 주로 신었던 것으로 장식이 적은 가죽신이다. |
여자 신발
당혜(唐鞋) |
고무신과 비슷한 형태로, 궁혜(宮鞋), 운혜(雲鞋), 수혜(繡鞋) 모두 비슷한 모양이다. 안쪽은 폭신한 옷감을 쓰며 겉은 여러 색의 화사한 비단으로 만들었고, 바닥에는 징을 군데군데 박았다. 궁혜는 궁중용이고, 당혜는 양가집 부녀자들이 신었으며, 운혜는여염집 부녀자들이 신었다. 수혜는 꽃신이다. |
미투리 |
삼으로 만든 고운 신으로, 대개 서민 이하 부녀자들이 신었다. |
남녀 공용 신발
나막신 |
나무로 곱게 만든 굽이 있는 신발로, 비올 때 주로 신었다. |
진신 |
비가 와서 땅이 질 때 신던 신발로 유혜(油鞋)라고도 한다. 가죽에 기름을 먹이고 바닥에는 징을 눌러 박아 징신이라고도 불렀다. 남녀를 불문하고 양반 계층에서 주로 신었다. |
특수 신발
투혜(套鞋) |
때나 눈 비올 때 추위를 막거나 신을 보호하기 위해 덧신 |
백혜(白鞋) |
초상이 났을 때 누구나 신던 흰색신 |
노파리 |
방한용 신으로, 천 사이에 솜을 넣어 만들었다. |
습신(襲履) |
시체에 신기는 신발로 남자용은 남색, 여성은 연두색이었다. |
설피(雪皮) |
눈 위에 신는 덧신으로, 미끄러지거나 눈 속으로 발이 빠지는 것을 막아준다. 다래나무 넝쿨이나 물푸레나무, 노가리 나무 등으로 사용해 만들었다. |
|
'한국사도서관 > 한국사일반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fn단신] 서울시 근현대 문화유산 ‘서울 속 미래유산’ 지정·보존 (0) | 2012.10.05 |
---|---|
[스크랩] 우리나라 국보 1호 에서 100호 까지 (0) | 2012.02.27 |
[스크랩] 한국생활사 13 - 가구 (네이버 캐스트 2012년 1월 4일자에 올린 글) (0) | 2012.01.04 |
우리나라 국보 1호 보물 1호 구분할 줄 아세요? (0) | 2011.11.21 |
금제교구 (0) | 2011.1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