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훈민정음5

[조선전기/문학] 월인천강지곡 월인천강지곡  ★ 월인천강지곡(月印千江之曲) : 조선 세종이 지은 악장으로 훈민정음(한글)로 지은 최초의 장편 서사시. 세종 29년(1447)에 소헌왕후의 명복을 빌기 위해 지은 석보상절>을 읽고 찬가를 지어 엮은 것으로 석가모니의 공덕을 노래하였다. 3권(상 ․ 중 ․ 하)으로 수록된 노래는 500여 수로 추정되며, 현재 상권만 전한다. 국보 제320호. 2020. 4. 16.
[조선/학문과사상] 집현전(集賢殿) 집현전(集賢殿) ★ 집현전(集賢殿) : 고려 말 조선 초의 학문 연구 및 국왕의 자문 기관이자, 왕실 연구기관. 고려, 조선 초기에는 이름만 있는 유명무실한 기관이었으나, 조선 세종 2년(1420년)에 확대·개편하였다. 경전과 역사의 강론과 임금의 자문을 담당하였으며 한글 창제와 연구의 중심이었다. 세종 이후에 여러번 폐지와 설립을 되풀이하였다가 세조 때 완전히 폐지되었다. 2019. 10. 20.
[조선/학문]훈민정음(訓民正音) 훈민정음 (訓民正音) ★ 훈민정음(訓民正音) :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 집현전 학자들과 창시한 한국어 표기 문자 체계(한글),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제목.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라는 뜻으로, 독창적이고 쓰기 편한 28자의 소리글자이다. 세종 25년(1443)에 완성하고 .. 2019. 9. 25.
[조선전기/학문과사상] 훈민정음 반포 훈민정음 반포 ★ 훈민정음(訓民正音) :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 집현전 학자들과 창시한 한국어 표기 문자 체계(한글),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제목.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라는 뜻으로, 독창적이고 쓰기 편한 28자의 소리글자이다. 세종 25년(1443)에 완성하고 세종 28년(1446)에 반포하였다. 2019. 9. 25.
[조선/정치]세종 세종 ★ 세종(世宗, 1397~1450, 재위 1418~1450) : 조선의 제4대 군주이자 언어학자. 태종과 원경왕후의 셋째 아들이며, 비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첫째 형 양녕대군이 왕세자에서 폐위되면서 세자로 책봉되었고 얼마 후 태종의 선위로 즉위하였다. 의정부서사제의 기틀을 다지고 세제를 개편하여 농민의 부담을 줄였으며, 4군 6진을 개척하고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과학, 예술, 문화 등 다방면에 뛰어났는데 한글(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재위 중 수많은 저서를 출판하는 등 조선의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2019. 9.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