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운의역사&인문학도서관567

[현대/통일과북한/남북관계]제 4차 6자회담(북경, 2005년) 제 4차 6자회담(북경, 2005년) ★ 6자 회담(六者會談, Six-party Talks) : 북한의 핵 문제 해결을 위해 2003년에 처음 열린 한반도 주변 6개국의 회담. 참가국은 대한민국, 러시아, 미국, 일본, 북한, 중국이다. 2003년~2007년에 걸쳐 여러 번 진행되었다. 2007년 북한의 핵시설 폐쇄와 불능화, 핵사찰 수용, 중유지원 100만 톤 상당의 경제적 지원 등의 합의를 이끌어 내었으나, 이후 북한의 핵실험과 미사일 개발 등으로 유명무실해졌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11.
[현대/통일과북한/남북관계]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 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 ★ 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南北韓同時UN加入) : 1991년 남한과 북한이 각각 유엔 회원국이 된 사건. 남북이 서로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 정부임을 주장하며 단독 가입을 추구했으나, 국내 및 국제적으로 남북 관계의 변화와 냉전 체제 완화 등으로 1991년9월 17일 유엔총회에서 남·북한 유엔 가입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이를 통해 남북의 적대적 대립관계 완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10.
[현대/통일과북한/남북관계]남북 기본 합의서 조인 남북 기본 합의서 조인 ★ 남북 기본합의서(南北基本合意書) : 1991년 12월 13일에 분단국가인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한국의 재통일과 관련하여 합의한 뒤 이듬해 1992년 2월 18일 정식으로 효력을 발생시킨 문건. 남북합의서 이행과 관련한 3가지 부속합의서에 합의했는데, 남북화해의 이행과 준수를 위한 부속합의서, 남북불가침의 이행과 준수를 위한 부속합의서, 남북교류협력의 이행과 준수를 위한 부속합의서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9.
[현대/통일과북한]천리마 운동 기념탑 천리마 운동 기념탑 ★ 천리마운동(千里馬運動) : 노력 경쟁을 통하여 생산 증대를 꾀하려는 북한의 노동강화운동으로 1958년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당시 전후 복구를 어느 정도 달성하고 새로운 ‘인민경제 5개년 계획’을 실시하고자 소련과 동유럽에 원조를 요청하였으나 실패하여(1956) 자체적으로 추진하였다. 탄광돌격대, 건설돌격대 등을 만들어 노력경쟁을 독려하였고, 사회 전 분야로 확대하였다. 1970년대에 들어서며 천리마 운동이 퇴색하자 1976년부터는 ‘3대혁명 붉은기 쟁취운동’이라는 또 다른 이름의 경쟁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8.
[고구려/건축]청암리 사지 목탑(복원 모형) 청암리 사지 목탑(복원 모형) ★ 청암리 사지(淸岩里寺址) : 북한 평양시 대성구역 청암동에 있는 고구려 사찰터. 목탑이 있었던 탑터(塔址)를 중심으로 3개의 금당과 중문이 배치된 로 고구려 사찰의 전형적인 구조이다. 일부 학자는 이곳을 고구려의 금강사지(金剛寺址)로 추정하기도 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7.
[현대/통일과북한]주체사상탑 주체사상탑 ★ 주체사상(主體思想) :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조선 노동당의 공식 이념으로 “김일성주의(金日成主義)”한다. 주체사상은 김일성의 사상, 혁명 이론, 영도 방법 등을 말한다. 이론적으로는 인간의 주체성을 강조하지만, 실질적으로는 김일성 일가의 독재 체제의 이론으로 변질되었으며, 일부 학자는 유사 종교로 분류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7.
[선사&고대/청동기시대]함안 도항리 바위그림 함안 도항리 바위그림 ★ 함안 도항리 바위그림 : 경상남도 함안군 가야읍 도항리에 위치한 청동기 시대 바위그림(BC 5~4세기 경). 그림이 새겨진 바위는 함안 도항리 고분군의 가야시대 무덤군에서 발견되 고인돌의 덮개돌이다. 바위에는 170여개의 알구멍(성혈, 性穴)과 겹고리무늬(동심원, 同心圓), 음각선이 새겨져 있다. 그림의 의미는 여러 견해가 있으나, 풍요와 다산을 기원하는 것을 추정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6.
[현대/통일과북한/남북관계]판문점 판문점 ★ 판문점(板門店) : 한국 전쟁의 정전 협상이 진행된 곳. 대한민국 파주시와 북한의 개성특별시에 걸쳐 있다. 정전협정 이후 유엔군과 북한군의 공동경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과 북한 쌍방의 행정관할권이 미치지 않는다. 현재 판문점은 인도군 막사와 포로 교환 장소로 사용되었던 건물로, 실제 정전협정 조인장소는 현재의 건물에서 북쪽으로 1.5km 정도 떨어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6.
[선사시대]반구대 암각화 실측도(인물) 반구대 암각화 실측도(인물) 춤추는 남자 팔다리를 벌린 여성 사람의 얼굴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ju)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한 암각화로,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대곡천의 중류부 절벽에 있다.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약 300여점의 그림(동물, 어류 및 해양 생물, 사람, 배, 연장 등)이 새겨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 사냥 암각화로 유명하다. 대한민국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후보목록인 '우선등재목록'에 '대곡천 암각화군'으로 묶여 올라있다. 지속적인 침수와 노출의 반복으로 풍화가 가속되어 사라져가고 있다... 2022. 6. 5.
[현대/통일과북한/남북관계]684부대(실미도 부대) 684부대(실미도 부대) ★ 684부대(2325부대 209파견대) : 1.21 사태(1968.1. 21) 이후 창설된 대한민국 공군의 북파공작 부대(1968년 4월~1971년 8월). 비밀리에 모집된 군인들은 실미도(현재 인천광역시 중구 무의동)에서 실전 훈련을 받았다. 1969년 북한 침투를 시도하였으나 작전이 취소되었고, 국내 및 국제 정세의 변화, 남북 화해 분위기 조성 등으로 작전 자체가 불확실해졌다. 가혹한 훈련과 장기간의 기다림에 불만을 품은 부대원들은 1971년 8월 23일 교관과 감시병을 살해하고, 인천에서 시내버스를 탈취하여 청와대로 향하던 중 군 ․ 경찰과 총격전을 벌이다가 수류탄으로 자폭하였다. 생존자 4명은 군사재판에 회부되어 사형에 처해졌으며(1972.3.10.), 경찰 2명과 민.. 2022. 6. 5.
[선사시대]반구대 암각화 실측도(울타리 또는 목책) 반구대 암각화 실측도 (울타리 또는 목책) 가축 울타리 또는 맹수 방어용 목책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ju)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한 암각화로,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대곡천의 중류부 절벽에 있다.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약 300여점의 그림(동물, 어류 및 해양 생물, 사람, 배, 연장 등)이 새겨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 사냥 암각화로 유명하다. 대한민국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후보목록인 '우선등재목록'에 '대곡천 암각화군'으로 묶여 올라있다. 지속적인 침수와 노출의 반복으로 풍화가 가속되어 사라져가고 있.. 2022. 6. 4.
[현대/통일과북한/남북관계]1·21 사태 1·21 사태 ★ 1·21 사태 : 김일성의 명령으로 1968년 1월 21일에 북한 124부대 소속 무장군인 31명이 청와대를 기습하여 대통령 박정희를 제거하려다 미수에 그친 사건. 당시 유일하게 생포되었던 김신조의 이름을 따서 김신조 사건이라고도 한다. 이 사건으로 민간인을 포함한 30명이 사망하고 52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향토예비군, 육군3사관학교, 전투경찰대, 684부대(실미도 부대)가 창설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4.
[선사시대]반구대 암각화 실측도(사냥) 반구대 암각화 실측도(사냥) 멧돼지와 사냥꾼 그물로 사냥하는 모습 새끼를 밴 암사슴과 활을 든 사냥꾼 사슴을 미끼로 호랑이를 유인하여 사냥하는 모습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ju)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한 암각화로,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대곡천의 중류부 절벽에 있다.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약 300여점의 그림(동물, 어류 및 해양 생물, 사람, 배, 연장 등)이 새겨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 사냥 암각화로 유명하다. 대한민국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후보목록인 '우선등재목록'에 '대곡천 암각화군'으로 묶여 올.. 2022. 6. 3.
[현대/통일과북한]북한의 협동 농장 북한의 협동 농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3.
[선사시대]반구대 암각화 실측도(동물) 반구대 암각화 실측도(동물) 호랑이와 고래 멧돼지 새끼를 밴 사슴 거북이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ju)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한 암각화로,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대곡천의 중류부 절벽에 있다.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약 300여점의 그림(동물, 어류 및 해양 생물, 사람, 배, 연장 등)이 새겨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 사냥 암각화로 유명하다. 대한민국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후보목록인 '우선등재목록'에 '대곡천 암각화군'으로 묶여 올라있다. 지속적인 침수와 노출의 반복으로 풍화가 가속되어 사라져가고 있다. .. 2022. 6. 2.
[현대/통일과북한/남북관계]남북 관계와 통일을 위한 노력 남북 관계와 통일을 위한 노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2.
[선사시대]반구대 암각화 실측도(고래사냥) 반구대 암각화 실측도(고래사냥)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ju)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한 암각화로,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대곡천의 중류부 절벽에 있다.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약 300여점의 그림(동물, 어류 및 해양 생물, 사람, 배, 연장 등)이 새겨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 사냥 암각화로 유명하다. 대한민국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후보목록인 '우선등재목록'에 '대곡천 암각화군'으로 묶여 올라있다. 지속적인 침수와 노출의 반복으로 풍화가 가속되어 사라져가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1.
[현대/통일과북한]남북한의 경제․사회 지표(2005) 남북한의 경제․사회 지표(2005)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1.
[선사시대]반구대 암각화 실측도(고래) 반구대 암각화 실측도(고래)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蔚州 大谷里 盤龜臺 岩刻畫, Petroglyphs of Bangudae Terrace in Daegok-ri, Ulju)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에 위치한 암각화로, 태화강 상류의 지류 하천인 대곡천의 중류부 절벽에 있다.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쳐 제작되었으며, 약 300여점의 그림(동물, 어류 및 해양 생물, 사람, 배, 연장 등)이 새겨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고래 사냥 암각화로 유명하다. 대한민국국보 제285호로 지정되었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 후보목록인 '우선등재목록'에 '대곡천 암각화군'으로 묶여 올라있다. 지속적인 침수와 노출의 반복으로 풍화가 가속되어 사라져가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31.
[현대/통일과북한/남북관계]휴전선 철책을 지키는 대한민국 군인들 휴전선 철책을 지키는 대한민국 군인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