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지리279 [한국지리/기후환경]한반도 주변 해역의 어종 변화 한반도 주변 해역의 어종 변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16. [한국지리/기후환경]한국의 해류 한국의 해류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16. [한국지리/침식지형]침식분지 침식분지 양구 분지 대구 분지 ★ 분지(盆地) : 주위가 산지로 둘러싸여 주변보다 낮은 지형. ★ 침식분지: 지층이나 암석이 무른 곳이 선택적으로 침식되어 주변보다도 낮게 되어 이루어지는 지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15. [한국지리/산악지형]다랑이 논(남해 가천 마을) 다랑이 논(남해 가천 마을) ★ 다랑이 논 : 산비탈을 깍아 만든 계단식 논, 주로 산간 지역에 발달하였다. 2019. 11. 15. [한국지리/화산지형] 백록담(白鹿潭) 백록담(白鹿潭) ★ 백록담(白鹿潭) : 대한민국 제주특별자치도의 한라산 정상에 있는 화구호(火口湖). 한라산은 경사가 완만한 순상화산으로 정상에 화구호인 백록담(白鹿潭)이 있다. ★ 순상 화산(楯狀火山, shield volcano, aspite) : 완만한 경사면을 가진 밑바닥의 면적이 넓은 화산이다. 점성이 낮은 현무암질 용암의 분출·유동·퇴적에 의해서 형성된다. 2019. 11. 13. [한국지리/화산지형] 천지(天池) 천지(天池) ★ 천지(天池) : 백두산 정상에 있는 화산호. 송화강(松花江)의 발원지. 백두산은 성층화산으로 상단부가 함몰되어 거대한 칼데라를 이루었으며, 물이 차서 호수가 되었다. 2019. 11. 13. [한국지리/화산지형] 성인봉(聖人峰) 성인봉(聖人峰) ★ 성인봉(聖人峰) : 대한민국 경상북도 울릉군에 있는 높이 984m의 성층화산. ★ 성층 화산(成層火山, Stratovolcano) : 높고 굳은 용암과 테프라(퇴적한 화산재) 그리고 화산재로 이루어진 여러 층으로 구성된 원뿔형 화산. 측면이 가파르며 폭발적인 분출이 주기적으로 일어난다. 흘러내리는 용암은 점착성이 강해 멀리 퍼지기 전에 굳는다. 복식화산으로도 부른다. 2019. 11. 12. [조선후기/지리학] 수선전도(首善全圖) 수선전도(首善全圖) ★ 수선전도(首善全圖) : 김정호가 만든 한성부 성곽 안과 그 근처의 지도. 19세기 중반 제작(헌종 12 ~15 추정). 김정호가 제작한 목판(보물 제 835호)과 필사본 지도(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 296호)가 전한다. 2019. 11. 12. [한국지리/화산지형] 나리분지(羅里盆地) 나리분지(羅里盆地) ★ 나리분지(羅里盆地) : 울릉도에 중북부에 있는 분지로, 성인봉의 북쪽에 있다. 이곳은 성인봉의 화산 폭발로 만들어졌으며, 칼데라이다. 500만 년 전 강력한 분화로 성인봉을 중심으로 울릉도가 형성되었고, 그 후 봉우리 아랫 부분이 함몰되어 나리분지가 생겨났다. 현재 취락과 농경지로 이용된다. 2019. 11. 12. [한국지리/하천지형]벽골제(碧骨堤) 벽골제(碧骨堤) ★ 벽골제(碧骨堤) : 삼국 시대에 축조된 저수지 유적으로 백제 비류왕 27년(330)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 저수지의 효시이며 고대 수리 시설 중 규모가 가장 크다. 고려와 조선 시대에도 여러 번 수축되었고 임진왜란 이후에 전폐되고 경지화 되었다. 조선 시대의 .. 2019. 11. 11. [한국지리/하천지형]우포늪 우포늪 ★ 우포늪(牛浦-) : 경상남도 창녕군 일대에 위치한 대한민국 최대의 내륙 습지로 멸종위기종의 생물 수백여 종이 서식하고 있다. 대한민국 천연기념물 제 524호이며 람사르 협약으로 보호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1. 11. [한국지리/하천지형] 보(洑) 보(洑) ★ 보(洑) : 수리 시설의 일종으로 물을 취수할 목적으로 하천을 횡단하여 만들어지는 구조물. 2019. 11. 10. [지리/하천지형] 영산강 하구둑의 단면도 영산강 하구둑의 단면도 ★ 하굿둑(하구언河口堰) :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어귀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거나 바닷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어귀 부근에 쌓은 댐. 대한민국의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의 강에는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었다. 2019. 11. 10. [지리/하천지형] 금강의 하구둑 금강의 하구둑 ★ 하굿둑(하구언河口堰) :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어귀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거나 바닷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어귀 부근에 쌓은 댐. 한국의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의 강에는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었다. 2019. 11. 9. [지형/하천지형] 낙동강의 하구둑 낙동강의 하구둑 ★ 하굿둑(하구언河口堰) : 강물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강어귀의 넓이와 수심을 일정하게 유지하려 하거나 바닷물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강어귀 부근에 쌓은 댐. 대한민국의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의 강에는 염해를 방지하기 위해 하굿둑이 건설되었다. 2019. 11. 9. [고지도/조선후기] 동국지도 동국지도 동국대전도 동국지도(채색필사본) ★ 동국지도(東國地圖) : 조선 영조 때 정상기가 제작한 한국의 옛 지도. 한국 지도로는 최초로 백리척을 이용하여 축척을 나타내었으며 방위도 매우 정확하다. 동국지도는 동국대전도(東國大全圖)>와 팔도분도(八道分圖)>로 구성되었다. 동국지도>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많은 지도의 자료로 이용되었으며,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제작할 때에도 자료로 삼았다. 동국대지도(東國大地圖)> 등의 필사본이 다수 남아있다. 2019. 11. 9. [한국지리/하천지형] 범람원 범람원 ★ 범람원(氾濫原) : 충적지형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지형. 주로 큰 하천의 중 ․ 하류 발달하며 하천의 양쪽의 평탄하고 낮은 지형으로 홍수 때 강물이 범람하여 토사가 퇴적되어 형성된다. 자연제방과 배후습지로 구성되는데, 자연제방은 비교적 입자가 굵은 물질이 하천 양안에 퇴적되어 지면보다 약간 높은 지형으로 취락, 도로, 밭 등으로 이용되고, 배후습지는 자연재방 뒤의 고도가 낮은 곳에 형성되며 점토가 퇴적된 지형으로 주로 논으로 많이 이용된다. 최근에는 배후 습지에 대규모 주택 단지가 들어서기도 한다. 2019. 11. 8. [지형/하천지형]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 낙동강 하구의 삼각주 ★ 삼각주(三角洲) : 강 하구에 발달한 퇴적 지형으로 강물에 떠내려온 토사(土砂)가 하구에 쌓여 이루어진 충적 평야의 한 가지로 대개 삼각형을 이루고 있다. 삼각주는 그 형태가 그리스 문자 델타와 유사하여 델타라고도 한다. 2019. 11. 8. [한국지리/해안지형/경제] 갯벌 체험 갯벌 체험 ★ 갯벌 체험 : 관광객들에게 갯벌에서 서식하는 조개류 등을 채취하는 것을 체험할 수 있는 관광 상품. 관광객들은 체험료나 도구 대여료 등을 지불한다. 어민들의 새로운 소득원 중 하나이다. 2019. 11. 7. [한국지리/해안지형] 갯벌 어로 갯벌 어로 ★ 갯벌어로 : 맨손 혹은 손도구를 활용해 갯벌에서 패류·연체류 등을 채취하는 어로 기술, 전통지식, 관련 공동체 조직문화와 의례·의식이다. 옛날부터 어민들은 갯벌을 공동재산으로 여겨 마을 사람들이 함께 관리해 왔다. 2019. 11. 7. 이전 1 ··· 9 10 11 12 13 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