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전쟁20

[현대/6.25]1950년 6월 28일 조선일보 호외 1950년 6월 28일 조선일보 호외 ★ 1950년 6월 28일 조선일보 호외 : 북한군의 서울 점령 상황 보도와 김일성과 북한을 찬양하는 내용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21.
[현대/한국전쟁]땅굴 속에서 회의 중인 중공군 땅굴 속에서 회의 중인 중공군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7. 6.
[현대/통일과북한/남북관계]판문점 판문점 ★ 판문점(板門店) : 한국 전쟁의 정전 협상이 진행된 곳. 대한민국 파주시와 북한의 개성특별시에 걸쳐 있다. 정전협정 이후 유엔군과 북한군의 공동경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과 북한 쌍방의 행정관할권이 미치지 않는다. 현재 판문점은 인도군 막사와 포로 교환 장소로 사용되었던 건물로, 실제 정전협정 조인장소는 현재의 건물에서 북쪽으로 1.5km 정도 떨어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6.
[현대/6.25전쟁]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휴전협정)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휴전협정) ★ 한국 군사 정전에 관한 협정 : 한반도에서의 전쟁 행위를 멈추게 한 휴전협정(armistice). 1950년 12월 미국과 영국 사이에서 평화적 협정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으나 공산군 측의 반대로 유엔총회에서 결렬되었다. 그러나, 1951년 6월 공산군 측에서는 태도를 바꾸어 1951년 7월부터 협상이 시작되어 1953년 7월 27일 협정이 체결되었다. 국제법상 평시의 조약 체결에는 당사국 의회 등의 비준이 필요하였으나, 휴전협정에는 중국군, 북한군, 유엔군 사령관만 서명하여 비준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와 국민들은 휴전회담을 반대하고 북진통일 주장하였으나 군사작전권을 문제로 독자적인 전쟁을 이어나갈 수 없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13.
[현대/6.25전쟁]반공포로 석방사건 ㅇ 반공포로 석방사건 ★ 반공포로 석방사건 : 6.25전쟁 휴전회담 진행 중에 한국측이 미군을 비롯한 UN군의 동의 없이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수감되어있던 반공포로를 석방한 사건. 휴전협상에서 UN과 공산측은 포로 송환 문제에 첨예하게 대립했다. UN은 포로가 돌아갈 국가를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하자는 ‘자발적 송환원칙’을, 공산측은 ‘강제적 송환원칙’을 주장하였다. 장기화되던 포로송환 문제는 귀한을 거부하는 포로는 중립국 송환위원회의 심사를 거쳐 송환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이승만 대통령은 미국과 유엔참전국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반공포로를 석방시켰다. 이것은 이승만 대통령의 가장 훌륭한 업적으로 평가되지만, 인권보다는 대한민국이 휴전협정서 배제된 것에 대한 불만의 표출이라고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저.. 2021. 5. 12.
[현대/6.25전쟁]전쟁 고아 전쟁 고아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11.
[현대/6.25전쟁]피난민 피난민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10.
[현대/6.25전쟁]폭격으로 폐허가 된 서울 폭격으로 폐허가 된 서울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9.
[현대/6.25전쟁]끊어진 대동강 철교에 매달린 피난민들 끊어진 대동강 철교에 매달린 피난민들 ★ 대동강철교(大同江鐵橋) : 경의선 철도가 평양에서 대동강을 지나는 구간에 놓인 다리이며, 1905년에 건설되었다. 원래 나무로 지었으나, 수해 등으로 문제가 계속 일어나자 1907년 철교로 바꾸는 공사를 시작하여 1909년 준공되었다. 1930년대 말에 경부선과 경의선 복선화 공사와 함께 신설공사를 시작하여 1942년에 완공되었다. 한국 전쟁 중에 중공군의 남하를 지연시키기 위해 UN군 측이 파괴하였으며, 전후에 복구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8.
[현대/6.25전쟁]흥남 부두의 피난민들 흥남 부두의 피난민들 ★ 흥남 철수 작전(興南撤收作戰, Hungnam evacuation) : 6.25 전쟁 중에 중공군이 한국 전쟁에 개입하여 전세가 불리해지자, 1950년 12월 15일에서 12월 24일까지 열흘간 동부전선의 미국 10(X) 군단과 대한민국 1군단을 흥남항에서 피난민과 함께 구출시킬 목적으로 실행된 대규모 철수 작전. 당시 유엔군의 작전 암호명은 비공식적으로 크리스마스 카고(Christmas Cargo)로 알려져 있으며, 철수 작전이 큰 피해없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어 크리스마스의 기적(Miracle of Christmas)이라고도 불린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7.
[현대/6.25전쟁]중공군 개입(6.25 전쟁) 중공군 개입(6.25 전쟁) ★ 중공군 개입(6.25 전쟁) :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를 바꾸어 서울 수복한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은 38선을 넘어 북진하여 압록강까지 진격하였다. 통일직전까지 갔던 연합군은 중공군이 갑작스런 개입에 당황하고 평양을 빼앗기고, 연합군은 중공군의 인해전술에 밀려 계속 후퇴하게 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6.
[현대/6.25전쟁]대한민국 국군의 압록강 진격 대한민국 국군의 압록강 진격 ★ 대한민국 국군의 압록강 진격(6.25전쟁) : 6.25 전쟁 중 인천 상륙 작전으로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은 서울을 되찾고(1950년 9월 28일), 38선을 넘어 원산과 평양을 점령하고 10월에는 압록강, 11월에는 두만강까지 진격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5.
[현대/6.25전쟁]서울 수복 서울 수복(6.25전쟁) ★ 서울 수복(6.25전쟁) : 인천 상륙 작전 후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은 전쟁이 일어난지 3개월만인 9월 28일에 서울을 되찾았다. 한국군은 달아나는 인민군을 뒤쫓아 38선을 돌파하여 10월 10일에는 원산을, 10월 19일에는 평양을 점령하였으며, 10월에는 압록강, 11월에는 두만강까지 진격하였다. 한편, 북한국은 정부와 인민군을 미리 10월 9일에 북쪽으로 거의 모두 철수시킨 다음에 10월 12일부터 평양에서 철수했다. 위 사진은 1954년 재연한 것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5. 4.
[현대/6.25전쟁]인천 상륙 작전 인천 상륙 작전 ★ 인천 상륙 작전(仁川上陸作戰, Operation Chromite) : 한국 전쟁이 중인 1950년 9월 15일 UN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의 주도로 진행된 상륙작전. 작전 암호명은 크로마이트 작전(Operation Chromite). 7만 5천여 명의 병력과 261척의 해군 함정이 투입되어 2주 후 유엔군은 서울을 점령하였다. 었다. 당시 대한민국 국군과 유엔군은 남쪽인 낙동강 방어선에서 힘겨운 방어전을 벌이고 있었는데, 인천은 낙동강과 부산 교두보에서 멀리 떨어져 있고 북한국의 방어가 허술했다. 인천에 기습 상륙 작전을 개시함으로써, 유엔군은 손쉽게 인천을 점령하여 서울까지 탈환하고 북한군의 보급로를 차단하여, 전세가 한국과 UN군에 유리하게 바뀌는 계기가 되었다. 2021. 4. 30.
[현대/6.25전쟁]남침하는 북한군 남침하는 북한군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2021. 4. 29.
[일제강점기/친일파] 최린 최린 ★ 최린(崔麟, 1878~1958) : 일제 강점기의 친일파. 3.1 운동에 참여하여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한 사람으로 독립운동가로 활동하다가 친일 인사로 변절했다. 광복 후, 반민특위에 체포되어 재판을 받았으나 병보석을 풀여났고, 1950년 한국전쟁 때 납북되었다. 북한에서 선전기관 참여를 권유받았으나 거절한 뒤 행방을 알려지지 않았다. 1958년 사망하였다. 2021. 2. 5.
[한국지리/통일과북한]판문점 판문점 ★ 판문점(板門店) : 한국 전쟁의 정전 협상이 진행된 곳으로 현재의 판문점은 정전협정 이후 한국전쟁 포로 교환업무를 맡게 된 중립국 인도군의 막사와 포로교환장소로 사용되었던 건물이다. 정전협정 이후 유엔군과 조선인민군의 공동경비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쌍방의 행정관할권이 미치지 않는다. 1976년까지는 경계선 없이 양측 경비병과 출입자들이 자유롭게 통행할 수 있었으나, 1976년 8월 18일에 발생한 판문점 도끼 살인 사건 이후로 군사분계선을 경계로 관할 구역이 분할되었다. 2004년 유엔 사령부 군사정전위원회를 이전 용산기지에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으로 이전하기로 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0.
[한국지리/통일과북한]비무장지대(DMZ) 비무장지대(DMZ) ★ 한반도 비무장 지대(韓半島非武裝地帶,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체결된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비무장 지대. 군사분계선에서부터 남북으로 각각 2 km 범위에 군사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지대로 설정되었으며, 어떠한 군사적인 행위도 금지된다. 다만, 비무장지대 내부의 판문점 구역은 특수한 구역으로 북한과 남한 모두가 경비를 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0.
[한국지리/통일과북한]38선과 비무장지대 38선과 비무장지대 ★ 38선 : 광복 후 소련과 미국이 한국(한반도)를 분할 점령하며 임시로 설정한 군사분계선. 정전협정(1953) 후 고착화되었다. ★ 한반도 비무장 지대(韓半島非武裝地帶, Korean Demilitarized Zone, DMZ) : 한국 전쟁 이후 1953년 체결된 정전 협정에 따라 설정된 비무장 지대. 군사분계선에서부터 남북으로 각각 2 km 범위에 군사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지대로 설정되었으며, 어떠한 군사적인 행위도 금지된다. 다만, 비무장지대 내부의 판문점 구역은 특수한 구역으로 북한과 남한 모두가 경비를 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9.
6.25 전쟁 6.25 전쟁 2017.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