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사능력검정시험문제풀이3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0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 발해 고구려가 멸망한 뒤, 유민들은 요동 지방을 중심으로 당에 저항하였다. 7세기 말, 당의 지방 통제력이 약화되어 곳곳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고구려 장군 출신의 대조영이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과 함께 만주 지역의 동모산 기슭에 발해를 건국하였다(698). 당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임을 밝히며 당을 견제하였는데, 무왕(재위 719~737)은 당의 산둥 지방을 공격하였다. 문왕(재위 737~793) 때에는 상경으로 천도하고 당과 외교 관계를 맺고 문물을 받아들여 발전에 힘썼다. 9세기 발해는 전성기를 맞이하여 선왕(재위 818~830) 때에 말갈족 대부분을 복속하고 고구려의 영토를 대부분 회복하였으.. 2021. 1. 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9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 최치원(857~908) 신라 말의 문신, 유학자, 문장가. 6두품 출신으로, 당에 유학하여 과거(빈공과)에 급제한 뒤 당의 관료가 되었다. 황소의 난이 일어나자 을 지어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다. 귀국한 뒤 골품제도 개혁을 주장하며 를 올렸으나 진골 귀족의 반대로 실패하였다. 그후, 벼슬을 버리고 은둔하며 문장과 저술에 전념하여, 뒤어난 작품을 많이 남겼다. ① 설총(655~?) : 신라의 학자. 한자의 음과 뜻을 이용하여 고대 한국어(신라어)를 표현한 이두를 만들었다. 유교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우화 를 지었다. ② 장보고(787~846) : 통일신라의 무장, 해상 호족. 일찍 당으로 건너가 군인과.. 2021. 1. 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8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 삼국과 가야의 일본과의 문화 교류 삼국과 가야의 문화는 일본에 전파되어 일본 고대 문화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중, 백제의 영향이 가장 컸다. 4세기 후반 근초고왕 때 백제에서 만들어 일본에 하사한 칠지도(일본 이소노카미 신궁 소재)는 철로 만들로 금으로 상감한 글자가 새겨져 있다. 정교하게 만들어져 백제의 뛰어난 금속세공 기술을 보여주며, 백제와 왜와의 활발하게 교류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아직기와 왕인을 보내어 한자와 유학을 가르쳤으며, 성왕(6세기) 때에는 불경과 불상을 전하여, 일본 불교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②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국보 제 323호) : 고려 초기(10.. 2021. 1. 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7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 삼국통일 고구려가 수와 당의 침입(7세기) 물리치는 동안 백제는 신라를 자주 공격하였다. 의자왕이 즉위하자 더욱 격렬하게 신라를 공격하여, 대야성을 비롯한 40여개 성을 빼앗았다(642, 선덕여왕). 이에 신라는 고구려에 도움을 청하였으나 거절당하고, 당의 힘을 빌리고자 하였다. 김춘추는 당에 가서 나 ․ 당 동맹을 맺고(648),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킨 뒤, 대동강 이북의 땅을 당에 넘겨주겠다는 약속을 하였다. 태종무열왕(김춘추)가 왕위에 오른 뒤 나 ․ 당 연합군은 백제를 공격하였다. 신라는 황산벌에서 계백이 이끄는 백제군을 물리치고 당군과 함께 사비성을 함락시켰다(660). 백제가 멸망한 뒤.. 2021. 1. 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6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백제는 고구려에서 내려온 소서노와 그녀의 아들들(비류, 온조)이 유민을 이끌고 한강 유역에 정착하여 백제(초기에는 십제)를 세웠다(기원전 18). 비류는 미추홀(인천), 온조는 한강 남쪽(서울)에 각각 자리잡았고, 이후 비류 세력은 온조가 세운 백제에 흡수되었다. 백제는 일찍이 중국과 교류하며 선진문물을 받아들이고 우수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① 농경무늬 청동기(보물 제1845호) : 청동으로 만든 정교한 유물로, 청동기 또는 초기 철기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한 면에 밭을 일구는 남성과 새 잡는 여성, 다른 면에는 나뭇가지 위에 새가 앉아 있는 장면을 새겨져 있다. ② 금동대향로(국보 287호.. 2021. 1.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5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5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진흥왕(眞興王, 534~576, 재위 540~576) : 신라의 제24대 왕. 법흥왕 대에 중앙집권체제를 이룬 뒤, 진흥왕 대에 신라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다. 화랑도를 국가 조직으로 개편하고 불교 교단을 정비하여 사상 통합을 도모하였다. 이후, 신라는 고구려가 지배하던 유역을 빼앗고 함경도 지역까지 진출하였으며, 남으로는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차지하였다. 함께 한강 유역을 빼앗은 백제를 배신하고 한강 유역을 완전히 차지하여, 서해를 통해 당(중국)과 직접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신하는 삼국 사이의 경쟁에 주도권을 장악하였고, 진흥왕의 영토 확장은 4개의 순수비(북한산, 창녕, 마운령.. 2021. 1. 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4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4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중국의 지린성 집안(吉林省 集安) 일대는 고구려의 두 번째 수도인 국내성이 있던 곳이다. 이곳에는 고구려의 성터와 고구려의 재표적인 고분인 돌무지무덤 12,000여 개가 남아있다. ① 장군총 : 중국 지린성 지안 지역의 산 중턱에 있는 고구려의 돌무지무덤으로, 산 아래에 광개토대왕비가 있다. 네모로 다듬은 돌을 쌓아 7층의 피라미드 모양으로 만든 거대한 고분으로 대표적인 돌무지무덤이다. ② 천마도 :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의 천마총에서 출토된 유물로, 말안장에 달아 늘어뜨리는 장니(말의 배가리개)에 천마가 그려져 있다. ③ 석굴암 본존불(국보 24호, 8세기) : 경주 토함산의 석굴암 내부에 있는 불상으.. 2021. 1. 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3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 근초고왕(300?~375, 재위 346~375) : 백제의 13대 왕으로 백제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왕위의 부자 상속과 왕권을 안정시켜 중앙집권체제를 이루었고, 마한 지역을 정복하고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켰다. 또한 중국의 동진, 가야, 왜 등과 활발하게 외교 활동을 하였다. ① 성왕(? ~ 554, 재위 523~554) : 백제의 26대 국왕으로 백제를 중흥으로 이끌었다. 웅진(공주)에서 사비(부여)로 도읍을 옮기고(538) 국호를 남부여로 바꾸며 를 열었다. 제도를 정비하고 불교를 진흥하였다. 왜에 승려(노리사치계)를 보내 불교를 전하고, 중국 남조의 양나라와 활발하게 교류.. 2020. 12. 3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2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은 대가야의 대표적인 유적이다. 농사 짓기 좋은 지역에 자리잡은 가야는 벼농사가 발달하였고, 철을 생산하여 바다를 통해 낙랑과 왜를 잇는 중계무역으로 번성하였다. 가야 연맹은 중앙집권을 이룬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와 달리 여라 나라가 연합한 연맹왕국이었다. 가야 연맹은 중앙집권을 이룬 뒤 빠르게 발전하는 백제와 신라 사이에서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였다으나, 가야의 소국들은 하나 둘 신라에 병합되었고, 가야 연맹의 맹주였던 금관가야(532)와 대가야(562)도 차례로 신라에 멸망하였다. ① 고구려의 고국천왕(179~197)은 굶주리는 백성들을 위해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진대법은 식량이 부족한 봄에 곡.. 2020. 12.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4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40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 1980년대의 대한민국 1980년 광주민주화운동을 무력으로 진압하고 정권을 잡은 전두환 정부(1980~1987)는 민주화 운동을 탄압하면서 야간 통행 금지 해제, 교복 자율화 등의 유화 정책을 펼쳤다. 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로 개헌하고 노태우 정부(1988~1993)가 집권하였다. 노태우 정부는 서울올림픽(1988)을 개최하고 동유럽과 공산주의 국가들과 외교를 시작하였다. 또, 남북한이 유엔에 함께 가입하였으며(1991), 체결, 을 하였다. ②④ 1998년 들어선 김대중 정부(1998~2003)는 남북 화해 및 교류를 추진하여 그 일환으로 금강산 관환 사업(1998~)을 시작하였.. 2020. 12.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이다. ①~③(비파형 동검, 반달돌칼, 민무늬 토기)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유물이다. ① 비파형 동검 ② 반달돌칼 ③ 민무늬 토기(송국리식 토기) ④ 철기 시대에 사용한 이다. 2020. 12. 2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9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 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4.19 혁명 이후 수립된 장면 정부는 차관을 도입과 을 세웠으나, 5.16 군사정변으로 실행하지 못하였다. 군사정변을 정권을 장악한 박정희 정부는 1962년부터 4차에 걸친 을 추진하였다. 1차(1962~1965), 2차(1966~1970)때에는 경공업과 국가 기간 산업을 육성하고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였다(1968~1970). 2020. 12. 2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8 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8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 김구(1876~1949)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무부위원, 경무국장, 주석 등을 지냈다. ★ 한인애국단 1920년대 후반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위기에 처하자 이를 타계하고자 김구 선생이 세운 단체로 일본 요인 암살과 주요 시설 파괴 등의 활동을 하였다(1931년 창단). 단원 이봉창의사는 일본 왕의 마차에 폭탄을 던졌으나 실패하였다(1932). 윤봉길 의사는 상하이 훙커우 공원에서 열린 일본의 상하이 점령 축하 기념식장에 폭탄을 던졌다. 윤봉길 의사의 의거는 중국인이 한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는 계기가 되었다. ①③ 김원봉(1898~1958)은 1919년 만주에서 의열단을 .. 2020. 12. 2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7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 신간회 1920년대 중반에 민족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연대하여 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신간회를 창단하였다(1927). 신간회는 민족 교육, 착취 기관 철폐 등을 주장하고 원산 노동자 총파업 등의 사회운동을 지원하였다. 광주학생항일운동(1929)가 일어나자 조사단을 보내고 결과를 발표하기 위한 민중 대회를 열려고 했으나, 경찰의 탄압으로 실패하였다. 민중 대회 실패 후, 새 집행부의 노선을 둘러싼 민족주와 사회주의 세력의 갈등으로 해체되었다(1931). ① 보안회(1904) : 개화기의 애국계몽단체로 일본의 항무지 개관권 요구를 저지하였다. 친일단체 유신회(일진회)의 방해로 해체되었다. ③ 대한.. 2020. 12. 2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2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① 문제풀이 개항(1876) 이후 일본 상인들은 조선의 곡물을 사들여 일본으로 가져가 곡물 값이 크게 올랐고, 흉년이 겹쳐 식량이 부족해졌다. 지방관들은 곡물 유출을 막기 위해 조 · 일 통상장정(1883)에 따라 1개월 전에 관청에 알리고 방곡령을 실시하였으나(1889), 일본은 통보를 늦게 받았다는 핑계로 방곡령을 철회하고 배상금을 뜯어내었다. ② 회사령(1910) : 일제는 한국인의 기업 활동과 민족 자본 성장을 막기위해 19회사령을 제정하였다(1910). 회사를 설립하거나 해산할 때 총독의 허가를 받도록 하였는데, 한국인은 허가를 거의 받지 못했다. ③ 조선 관세령(1912) : 일제는 조선 관세령을 제정.. 2020. 9. 1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1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1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흥선대원군은 프랑스와 싸운 병인양요(1866), 미국과 싸운 신미양요(1871)을 치르며 서양의 침략을 물리치고 통상수교를 반대하는 정책을 알리기 위해 전국에 척화비를 세웠다(1871). ① 갑신정변(1884) : 임오군란 이후 청나라의 내정 간섭과 경제 침략이 심해지자 급진개화파는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모델로 하고, 일본의 지원을 받아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3일만에 실패하였다. ② 갑오개혁(1894) : 동학농민운동을 빌미로 조선에 군대를 파견한 일본 간섭으로 경복궁을 점령한 일제의 요구와 동학농민운동에서 드러난 백성들의 요구를 반영한 근대적 개혁이다. 신분제 등의 전근대적 구습이 폐지는 성과가 컸.. 2020. 9. 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0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30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가)는 조선 후기의 화가 김홍도이다(1745~?). 인물화, 산수화 등 여러 분야의 그림에 뛰어났지만 풍속화가 특히 유명하였다. 백성들의 생활을 정감있고 재미있게 표현하였다. ① 장승업(1843~1897) : 조선 말기의 대표적인 화가로 대담한 표현 독특한 화풍을 자랑하였다. ② 김득신(1754~1882) : 도화서 출신으로 김홍도의 화풍을 이어 많은 풍속화를 남겼다. ③ 신윤복(1758~?) : 김홍도와 쌍벽을 이루는 풍속화가로 주로 여성과 기생, 남녀간의 애정을 묘사하였다. 2020. 9. 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29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29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원종과 애노의 난(889) : 신라 진성여왕 때 정치가 문란하고 귀족들의 수탈과 착취가 심해졌다. 사벌주(상주)에서 일어난 원종과 애노의 난을 시작으로 전국에서 농민 봉기가 일어났다. ▲ 만적의 난(1198) : 무신 정변 이후 무신들은 수탈과 횡포로 농민의 고통이 심해지고, 천민이나 하급 무사가 권력자가 되는 경우가 많아 하층민을 자극하였다. 수탈을 견디다 못한 농민들이 봉기를 일으키고, 노비와 향 ․ 부곡 ․ 소의 주민들의 신분 해방을 주장하여 난을 일으켰다. 개경에서는 최충헌의 노비 만적인 “왕후장상의 씨가 따로 있지 않다”고 주장하며 봉기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진주 농민 봉기(.. 2020. 9. 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28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28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김만덕(1739~1812) : 제주의 관기 출신 상인으로, 제주에 큰 기근이 닥치자 전 재산을 들여 육지에서 쌀을 사와 기부하여 많은 빈민을 구제하였다. ① 논개(? ~ 1593) : 진주의 관기로 임진왜란 중 진주성일 일본에 군에 함락되자 촉석루에서 왜장을 끌어안고 남강에 뛰어들어 순국하였다. ③ 신사임당(1504~1551) : 조선시대의 여성 예술가로 시, 글씨, 그림에 뛰어났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등이 있다. 율곡 이이의 어머니이기도 하다. ④ 허난설헌(1563~1589) : 조선의 여성 시인으로 허균의 누이이다. 허난설헌의 작품은 조선에서는 인정받지 못하였으나 중국(청)에서 큰 명성을 얻었다. 2020. 9. 6.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27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0회 초급 27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④ 문제풀이 조선 세종 대에는 천문학을 비롯한 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였다. 세계 최초로 강우량을 측정하는 측우기를 발명하였고, 천체 관측기구 혼천의와 간의, 물시계 자격루와 해시계 앙부일구 등을 제작하였다. ① 인조 때(1623~1649) 청나라에 다녀온 정두원이 천리경과 자명종 등을 들여 왔다. 2020. 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