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생부종합전형1400

[조선후기/능묘]숙빈 최씨 신도비 숙빈 최씨 신도비 ★ 숙빈 최씨(淑嬪 崔氏, 1670~1718) : 조선의 19대 왕 숙종(肅宗)의 후궁이자, 21대 왕 영조(英祖)의 생모.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4.
[조선후기/능묘]명릉 석물 명릉 석물 ★ 명릉(明陵) : 조선 제19대 왕인 숙종과 계비 인현왕후, 인원왕후의 능. 사적 제 198호. 경기도 고양시 용두동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2.
[근대/대한제국및황실]유릉의 석물 유릉의 석물 ★ 홍유릉(洪裕陵) : 대한제국 초대 황제 고종 광무제와 명성황후 민씨의 릉인 홍릉(洪陵)과 대한제국 2대 황제 순종 융희제과 순명효황후 민씨와 순정효황후 윤씨의 능인 유릉(裕陵)이 조성되어 있다. 사적 제207호.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 2019. 12. 22.
[조선후기/능묘]장릉 병풍석 장릉 병풍석 ★ 장릉(長陵) : 조선 제16대 왕인 인조와 인열왕후의 능. 사적 제203호.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2.
[조선후기/능묘]원릉의 석양 원릉의 석양 ★ 원릉(元陵) : 영조와 정순왕후 김씨의 능. 동구릉(東九陵) 중 일부, 제193호.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2.
[조선/대외관계]세이켄사(淸見寺) 세이켄사(淸見寺) ★ 세이켄사(淸見寺) : 일본의 고찰(古刹). 조선 통신사가 머무르던 곳으로 통신사로 일본을 방문한 관리들이 남긴 글과 그림 등이 소장되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0.
[조선/건축]한양과 조선의 궁궐 한양과 조선의 궁궐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0.
[조선/복식및장신구]두폭 은접시 보자기 두폭 은접시 보자기 국립 고궁 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9.
[조선/정치행정]조선 왕의 일과 조선 왕의 일과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9.
[조선/복식및장신구]한폭반 봉황문 도자기 한폭반 봉황문 도자기 국립 고궁 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9.
[조선/복식및장신구]도류불수문 노리개 보자기 도류불수문 노리개 보자기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8.
[조선후기/왕실문화]철인왕후 예릉 산릉도감 중 유문도 철인왕후 예릉 산릉도감 중 유문도 ★ 철인장황후(1837~1878) : 조선 제25대 군주 철종의 비(妃). 세도가 안동 김씨 가문 출신이다. 묘호는 철인왕후(哲仁王后), 대한제국 때에 철인장황후(哲仁章皇后)로 추존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8.
[조선/행정]의녀(醫女) 의녀(醫女) 드라마 <대장금>의 한 장면 ★ 의녀(醫女) : 조선 시대의 여성 의원(醫員)으로 궁중 여성을 치료하기 위해 양성하였다. 1406년(태종 6년)에 처음으로 의녀제도를 실시하였고 세종 때 의녀 수를 늘렸다. 중종 이후 의녀를 연회에 참석시키는 등 낮은 대우를 하였다. ※ 저작권 .. 2019. 12. 17.
[조선/행정]의관(醫官) 의관(醫官) 드라마 <구암 허준>의 한 장면 ★ 의관(醫官) : 의술에 종사하는 관료로 조선시대에는 내의원에 속하였다. 잡과 시험인 취재와 과거의 의과 시험을 통하여 관직에 진출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7.
[조선/행정]취재(의과) 취재(의과) 드라마 <마의>의 한 장면 ★ 취재(取才) : 기술관이나 하급 행정 관리, 군인 등을 뽑는 시험 제도. <사서오경(四書五經)>등의 공통 이론 시험과 부문별 실기 시험을 치렀다. ★ 잡과(雜科) : 좁은 의미로는 고려·조선 등의 나라에서 시행하던 과거 제도의 일부로, 기술 .. 2019. 12. 17.
[조선/행정]도화서(圖畵署) 도화서(圖畵署) 드라마 <이산>의 한 장면 ★ 도화서(圖畵署) : 조선시대 국가에서 필요로 하는 그림을 그리던 관청. 초기에는 도화원이라 하였으나 그림 그리는 일의 격을 낮추어 도화서로 개칭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7.
[조선/복식과장신구]곤룡포(衮龍袍) 곤룡포(衮龍袍) ★ 곤룡포(衮龍袍) : 수나라 이후의 중국, 고려 이후의 한국, 베트남, 류큐국의 군주와 태자의 일상복. 용문양을 수놓은 원형 보(補)를 달았고 익선관을 착용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6.
[조선후기/국방]조선의 군인 조선의 군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6.
[조선/공예]나전칠기 나전칠기 (螺鈿漆器) ★ 나전칠기(螺鈿漆器) : 목기(木器)의 바탕을 소재로 나전(얇게 간 조개껍질)을 가공하고 부착하여 칠을 한 공예품. 자개박이라고도 한다. 대모(玳瑁), 호박, 상아, 보석등의 소재로 이용하는 것도 포함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6.
[조선후기/건축]강화 전성(江華塼城) 강화 전성 (江華塼城) ★ 강화 전성(江華塼城) : 고려 고종 때 강화로 천도한 뒤 지은 강화 외성을 조선 후기 영조 때 벽돌을 이용하여 개축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