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생부교과전형1255

신무문(神武門) 신무문(神武門) ★ 신무문(神武門) : 경복궁의 북쪽에 있는 문. ‘북쪽을 관장하는 현무’에서 따왔다. 천장에는 현무(거북)가 그려져 있으며, 음기가 강하다 하여 평소에는 굳게 닫아 두었다.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되었다가 흥선 대원군이 재건하였다. 그 후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 2020. 1. 1.
[조선/건축]건춘문(建春門) 건춘문(建春門) ★ 건춘문(建春門) : 경복궁의 동쪽에 있는 문. 주로 왕족, 척신, 상궁이 드나들었던 문으로 천장에는 청룡이 그려져 있다. 문 안에는 왕세자가 거처하던 춘궁(春宮)이 있었으며, 문 밖에는 왕실의 종친들을 교육하는 종학(宗學)이 있었다.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되었던 .. 2020. 1. 1.
[조선/건축]근정전과 품계석 근정전과 품계석 ★ 품계석(品階石대) : 대궐 정전 안뜰에 관계품을 기록하여 세운 돌. 관료들이 차례로 늘어서게 되어 있다. 문관(文官)은 동쪽, 무관(武官)은 서쪽에 선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1.
[중국사/수당]룽먼 석굴 대불 룽먼 석굴 대불 ★ 룽먼 석굴 대불(龍門石窟 大佛) : 룽먼석굴의 가장 대표적인 불상으로 당대에 조성되었다(7세기). 본존불은 당시 실권을 장악한 측천무후의 용모를 조각한 것이라는 전설이 전하고 있다. ★ 룽먼석굴(龍門石窟) : 북위(北魏)의 효문제 때 시작하여(494) 당(唐618~907)에 이르.. 2019. 12. 31.
[세계지리/건조기후지형]버섯 바위의 형성 버섯 바위의 형성 ★ 버섯바위 : 바람에 의한 침식 작용으로 생성된 바위. 모래바람이 바위 아랫부분과 지속적으로 부딪혀서 만들어진 돌로 버섯을 닮아 버섯바위라고 부른다. 건조 기후 지역에 형성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1.
[조선/건축]광화문 천장 그림(주작) 광화문 천장 그림(주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1.
[조선/건축]근정전의 내부(천장) 근정전의 내부(천장) ★ 근정전(勤政殿) :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전. 조선 태조 때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타면 소실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공사 때 다시 세워졌다. 국왕의 정무와 나라의 큰 행사 등에 사용되었다. 국보 223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재. ※.. 2019. 12. 31.
[중국사/수당]둔황석굴(燉煌石窟) 둔황석굴 (燉煌石窟) ★ 둔황석굴(燉煌石窟) : 중국 간쑤 성 둔황에 있는 대표적인 천불동으로 기원전 전한 시대부터 당나라 후기까지 불교 유물이 시대별로 폭넓게 있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지정되어 있다. 막고굴(莫高窟)이라고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 2019. 12. 31.
[한국지리/기후환경]여름의 소나기 여름의 소나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1.
[조선/건축]광화문(光化門) 광화문(光化門) ★ 광화문(光化門) :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 ‘임금의 큰 덕(德)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이다. 1395년에 세워졌다. 2층 누각인 광화문 앞의 양쪽에는 한 쌍의 해치 조각상이 있고 천장에는 주작이 그려져 있다. 한국 전쟁으로 두 차례 소실되었으며, 월대와 해태 등.. 2019. 12. 31.
[조선/건축]근정전의 내부(어좌와 닫집) 근정전의 내부 (어좌와 닫집) ★ 근정전(勤政殿) :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전. 조선 태조 때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타면 소실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공사 때 다시 세워졌다. 국왕의 정무와 나라의 큰 행사 등에 사용되었다. 국보 223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19. 12. 31.
[중국사/수당]영태공주 묘의 벽화 영태공주 묘의 벽화 ★ 영태 공주(永泰公主, 685~701) : 이선혜(李仙蕙). 당나라 중종(中宗)의 7번째 딸. 조모 측천무후의 미움을 받고 17세 때 살해되었다. 706년 영태공주라는 시호를 받고 건릉 북쪽에 묻혔다. ★ 영태공주묘(永泰公主 墓) : 당 중종의 7번째 공주 영태 공주의 묘. 중국 산시성 .. 2019. 12. 31.
[중국사/수당]현장(玄奘) 현장(玄奘) ★ 현장(玄奘, 602~664) : 당나라 초기 고승이자 번역가. 현장삼장(玄奘三藏)으로 불린다. 천축(天竺, 인도)에서 불경을 가져와 한문으로 번역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1.
[세계지리/건조기후지형]버섯 바위 버섯 바위 ★ 버섯바위 : 바람에 의한 침식 작용으로 생성된 바위. 모래바람이 바위 아랫부분과 지속적으로 부딪혀서 만들어진 돌로 버섯을 닮아 버섯바위라고 부른다. 건조 기후 지역에 형성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1.
[조선/건축]근정전의 단청 근정전의 단청 ★ 근정전(勤政殿) :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전. 조선 태조 때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타면 소실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공사 때 다시 세워졌다. 국왕의 정무와 나라의 큰 행사 등에 사용되었다. 국보 223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재. ※ 저작.. 2019. 12. 31.
[중국사/수당]대안탑(大雁塔) 대안탑(大雁塔) ★ 대안탑(大雁塔) : 당나라의 고승 삼장법사 현장이 인도에서 귀국할 때(652) 가지고 온 경전이나 불상 등을 보존하기 위해서 고종에게 요청하여 건립한 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
[중국사/수당]장안성과 동아시아의 수도 장안성과 동아시아의 수도 당의 장안성 발해 상경성 신라 왕경(경주) 일본 헤이조쿄 ★ 장안(長安) :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 전한, 북주, 수 왕조의 수도였다. 당(唐) 왕조의 시대에 장안은 대제국의 수도로서,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시로 발.. 2019. 12. 30.
[중국사/수당]당삼채(唐三彩) 당삼채(唐三彩) ★ 당삼채(唐三彩) : 중국 당(唐)의 도기로 삼채 유약을 사용한 것. 주로 귀족들의 장례용으로 제작되어 묘에 부장되었다. 당에서 뿐 아니라 해외에서 명성이 높아 많은 나라에 수출되었고 각국에서 당삼채를 모방한 도자기를 제작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 2019. 12. 30.
[조선/건축]경복궁의 위성 사진 경복궁의 위성 사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
[조선/건축]경복궁과 자금성 경복궁과 자금성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