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풍속화65

[조선후기/문화와예술]수성노인도 수성노인도 ★ 수성노인도(壽星老人圖) : 인간의 수명과 장수를 관장하는 노인성의 화신인 수노인을 형상화한 그림. 머리가 길고 몸이 짧은(長頭短信) 신선의 모습으로 그려진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무당의 배송(풍속화) 무당의 배송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병을 쫓기 위한 무당의 굿(풍속화) 병을 쫓기 위한 무당의 굿 조선후기, 출전 : 무당 내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나물캐는 여인 나물캐는 여인 조선 후기, 윤두서 ★ 윤두서(尹斗緖, 1668∼1715) : 조선 후기의 화가. 윤선도의 증손으로 출사하지 않고 학문에 전념하였다. 글씨와 그림에 뛰어나 조선 후기의 화단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조선의 ‘3재(三齋)’라 불린다. 작품으로 , , 등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4.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기방쟁웅(김홍도) 기방쟁웅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24.
[조선후기/문화와예술]기녀도 기녀도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4.
[조선후기/문화와예술]대쾌도(유숙) 대쾌도 위 : 전체, 아래 : 부분 조선 후기, 유숙 ★ 대쾌도(大快圖) : 조선 말기의 화가 유숙(劉淑)이 그린 것으로 전하는 풍속화. 서울대학교박물관 소장. ★ 유숙(劉淑, 1827∼1873) : 조선 말기의 화가. 도화서의 화원을 지냈으며 산수화를 비롯해 꽃·새 등을 정묘하고 아름답게 잘 그렸다. , , 등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3.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무녀신무(신윤복) 무녀신무(巫女神舞)   신윤복, 조선후기,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수록 ★ 신윤복(申潤福, 1758~1814) :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에 뛰어났다.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 風俗圖 畵帖) : 18세기 말,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를 엮은 연작 화첩. 혜원풍속도첩(蕙園風俗圖帖)이라고도 부른다. 국보 제 135호, 간송미술관 소장 2020. 6. 20.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문종심사(신윤복) 문종심사(聞鍾尋寺)   신윤복, 조선후기,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수록  ★ 신윤복(申潤福, 1758~1814) :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에 뛰어났다.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 風俗圖 畵帖) : 18세기 말,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를 엮은 연작 화첩. (蕙園風俗圖帖)이라고도 부른다. 국보 제 135호, 간송미술관 2020. 6. 19.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주사거배(신윤복) 주사거배(酒肆擧盃)  신윤복, 조선후기,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수록  ★ 신윤복(申潤福, 1758~1814) :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에 뛰어났다.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 風俗圖 畵帖) : 18세기 말,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를 엮은 연작 화첩. 혜원풍속도첩(蕙園風俗圖帖)이라고도 부른다. 국보 제 135호, 간송미술관 소장 2020. 6. 19.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처네를 쓴 여인 처네를 쓴 여인  신윤복, 조선후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신윤복(申潤福, 1758~1814) :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에 뛰어났다.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2020. 6. 19.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쌍검대무(雙劍對舞) 쌍검대무(雙劍對舞)  신윤복, 조선후기,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수록  ★ 신윤복(申潤福, 1758~1814) : 조선 후기의 관료이자 화가로서, 산수화와 풍속화에 뛰어났다. 양반 관료들의 이중성과 위선을 풍자한 그림, 여성들의 생활상을 그린 그림을 남기기도 했다.  ★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申潤福筆 風俗圖 畵帖) : 18세기 말, 혜원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를 엮은 연작 화첩. 혜원풍속도첩(蕙園風俗圖帖)이라고도 부른다. 국보 제 135호, 간송미술관 소장. 2020. 6. 18.
[조선후기/문화와예술] 혼례식(김홍도) 혼례식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10.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벼타작(김홍도) 벼타작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수록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金弘道 筆 風俗圖 畵帖) : 은 조선후기 화가 단원 김홍도의 대표적인 풍속화첩으로 25점을 수록한다. 당시 풍속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실려있다. 보물 제 52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20. 6. 9.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송석원시사야연도(김홍도) 송석원 시사 야연도  ★ 송석원시사야연도(松石園詩社夜宴圖, 부분) : 조선 후기 시(詩)를 즐기는 문학 동호회 ‘송석원 시사’의 모임을 그린 작품이다. 김홍도, 조선후기.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9.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모내기(김홍도) 모내기  전체(위), 부분(아래)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8.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대장간(김홍도) 대장간(김홍도)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수록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세어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金弘道 筆 風俗圖 畵帖) : 은 조선후기 화가 단원 김홍도의 대표적인 풍속화첩으로 25점을 수록한다. 당시 풍속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실려있다. 보물 제 52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20. 6. 7.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노상과안(김홍도) 노상과안(路上過眼)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7.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고누놀이(김홍도) 고누놀이 (김홍도)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수록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金弘道 筆 風俗圖 畵帖) : 은 조선후기 화가 단원 김홍도의 대표적인 풍속화첩으로 25점을 수록한다. 당시 풍속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실려있다. 보물 제 52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20. 6. 6.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경작도(김홍도) 경작도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