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조선337

[조선/의학]조선의 침구 조선의 침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
[조선/의학]산삼(조선의 약재) 산삼 (조선의 약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1.
[조선/사회와문화]혼례 (婚禮) 혼례 (婚禮)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9.
제수의 형태 제수의 형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9.
제례(祭禮) 제례(祭禮)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9.
조선왕실의 천자문 교재 조선왕실의 천자문 교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7.
[조선/민속]점치는 도구 점치는 도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5.
[조선/사상과학문]자치통감강목 자치통감강목 ★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 : 송나라 때 주희가 쓴 중국의 역사서로 동아시아 각국에서 간행되었다. 위 사진은 조선 시대에 간행된 것으로 병진자(丙辰字)와 갑인자(甲寅字)로 인쇄한 것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2.
[조선/사회문화]이혼 증표 이혼 증표 ★ 이혼 증표 : 조선 시대에는 양반과 달리 평민이나 천민의 이혼은 비교적 쉬웠다. 저고리 섶을 잘라 배우자에게 주면 이혼이 성립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1.
[조선전기/사회문화]이응태 부인의 한글 편지 이응태 부인의 한글 편지 ★ 이응태 부인의 한글 편지 : 1586년에 사망한 이응태(李應台, 1556~1586)의 부인이 작성한 한글 편지로, 1998년 안동대학교 박물관이 안동시 정하동에 위치한 이응태의 묘에서 발견하였다. 편지에는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난 남편에 대한 부인의 안타까운 심정이 잘 드러나 있으며, 16~17세기의 부부 관계 및 생활사, 언어학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1.
[조선후기/왕실문화]입학도 입학도 ★ 입학도 : 왕세자가 박사에게 수업을 받는 장면. 수록. ★ 왕세자입학도첩(王世子入學圖帖) : 1817년(순조 17) 3월 11일 성균관에서 치러진 효명세자(孝明世子, 1809~1830, 익종(翼宗)으로 추존)의 입학례를 기념한 화첩.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제307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0.
[조선후기/정치행정]일성록(日省錄) 일성록(日省錄) ★ 일성록(日省錄) : 조선후기(1760)부터 1910년까지 국왕의 동정과 국정에 관한 제반 사항을 수록한 등록, 정무일지. 정조 때부터 고종까지 기록하였으며, 왕의 일기 형식으로 기록되었다. 국보 제 153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0.
[조선/임진왜란]거북선 그림(이충무공 전서) 거북선 그림 (이충무공 전서 수록) ★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 : 조선시대 무신 이순신의 행적·일화·인품·전언(傳言) 등을 망라하여 1795년에 간행한 유고전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9.
[조선전기/정치]이덕형(李德馨) 이덕형(李德馨) ★ 이덕형(李德馨, 1561~1613) : 조선 중기의 정치인이자 문신, 학자. 호 한음(漢陰). 임진왜란 때 명의 원군을 청하는 데 공을 세웠고, 인목대비 폐위와 영창대군 사사에 반대하여 광해군과 갈등을 빚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9.
[조선전기/의학]의방유취 의방유취(醫方類聚) ★ 의방유취(醫方類聚) : 조선 세종 때 편찬한 의학서로 세종 27년(1445년)에 완성하였고, 성종 8년(1477)에 간행되었다(30권). 조선과 중국의 의학을 종합하여 정리한 저서로 조선 의학 발달의 초석이 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8.
[조선/의학]은침과 침통 은침과 침통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8.
[조선후기/국방]유수부(留守府) 유수부(留守府) ★ 유수부(留守府) : 고려와 조선 시대에 옛 도읍지나 행행지 및 군사적인 요지에 설치되었던 행정 기관으로 부 가운데 유수(留守, 정2품)가 우두머리로 있는 곳. 조선 시대에는 강화·개성·수원·광주(廣州)에 설치되었다. 위 지도에는 정조 17년(1793) 수원(화성)에 설치한.. 2020. 4. 17.
[조선후기/사회문화]유언호 묘표 유언호 묘표 ★ 묘표(墓表) : 사대부 묘소 앞에 세웠던 묘비의 하나. 조선 후기 사대부(1730~1796) 유언호의 묘포로 검박하고 단정한 조선 고유의 형식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7.
[조선후기/사회문화]열녀각과 충노각 열녀각과 충노각 ★ 열녀문과 충노각(경북 영주) : 순조 22년(1882), 경북 영주에서 젊은 과부 박소사가 임신했다는 소문이 퍼지자 자살하는 사건이 일어나자, 암행어사가 이를 조사하여 헛소문임을 밝히고 박소사의 명예를 회복하였다. 박소사에게 열녀각을 내리고 박소사의 원통함을 알.. 2020. 4. 16.
[조선/공예]옹기(甕器) 옹기(甕器) 동이 병 주전자 풍로 ★ 옹기(甕器) : 질그릇과 오지그릇의 통칭으로 한민족이 선사시대부터 생활용기로 사용하였다. 음식 보관, 김치 및 장류 발효, 굴뚝이나 하수관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