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보고7 [남북국/신라하대/국제관계] 장보고의 해상 무역로 장보고의 해상 무역로 ★ 장보고(張保皐, ?~846년) : 신라의 무장이자 해상 호족. 한미한 출신으로 친구 정년과 당으로 건너가 군인으로 출사하여 무령군중소장(武寧軍中小將)의 직책을 받았다. 흥덕왕 3년(828년) 신라로 돌아와 완도에 청해진을 세우고 해적들이 신라인을 노예로 매매하는 일을 막았다. 서남해 해상권을 장악하여 당과 일본, 발해, 탐라,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들과 무역을 하여 많은 이익을 취하고 큰 세력을 이루었다. 또, 산둥성에 사는 신라인들을 지원하여 사찰 법화원(法華院) 건립을 도왔으며, 노예가 된 신라인들을 해방시켜 주기도 하였다. 이후 신라의 왕위 다툼에 뛰어들어다. 김우징(신무왕)을 도와 민애왕을 죽이고 김우징을 추대하였고, 김우징은 장보고의 딸을 태자비로 맞겠다고 약속하였다.. 2019. 6. 30. [남북국/신라하대/유적] 적산법화원 적산법화원 ★ 적산법화원(赤山法華院) : 신라 흥덕왕(재위 826~836)때 장보고가 당나라 산둥성 등주(登州)의 신라인 거주지인 적산촌(赤山村)에 세운 불교 사찰. 이후 이곳은 신라인의 구심점이 되었고, 장보고는 무역활동의 근거지로 삼았다. 당나라 무종(845년)때 불교 탄압으로 파손되었다. 1998년 한중 우호를 기념하여 중국 정부는 법화원을 중건하였다. 경내에 장보고기념관과 장보고 동상이 있다. 2019. 6. 30. [남북국/신라하대/유적] 청해진 유적 청해진 유적 ★ 청해진(淸海鎭) : 신라 하대 흥덕왕 3년(828) 장보고(張保皐)의 요청에 지금의 전라남도 완도군의 장도에 설치하였던 진(鎭)이다. 초기에는 해적을 방비하기 위한 군사거점이었으나, 이후 해상무역의 주요 거점으로서 경제적으로도 번영을 누렸다. 장보고가 살해당한 뒤 폐지되었고 주민들도 이주시켰다. 2019. 6. 30. [남북국/신라하대/인물] 장보고 장보고 ★ 장보고(張保皐, ?~846년) : 신라의 무장이자 해상 호족. 한미한 출신으로 친구 정년과 당으로 건너가 군인으로 출사하여 무령군중소장(武寧軍中小將)의 직책을 받았다. 흥덕왕 3년(828년) 신라로 돌아와 완도에 청해진을 세우고 해적들이 신라인을 노예로 매매하는 일을 막았다. 서남해 해상권을 장악하여 당과 일본, 발해, 탐라, 동남아시아의 여러 나라들과 무역을 하여 많은 이익을 취하고 큰 세력을 이루었다. 또, 산둥성에 사는 신라인들을 지원하여 사찰 법화원(法華院) 건립을 도왔으며, 노예가 된 신라인들을 해방시켜 주기도 하였다. 이후 신라의 왕위 다툼에 뛰어들어다. 김우징(신무왕)을 도와 민애왕을 죽이고 김우징을 추대하였고, 김우징은 장보고의 딸을 태자비로 맞겠다고 약속하였다. 신무왕이 .. 2019. 6. 29. [남북국/신라하대/] 장보고의 무역선(복원) 장보고의 무역선(복원) ★ 장보고의 무역선 : 조운선보다 큰 200~300t의 대형 선박이었고 선저에 용골을 부착하여 바람을 거슬러 올라갈 수 있었다. 또, 나침반으로 이용하여 항해하였다. 엔닌이 쓴 ''에는 장보고가 파도를 헤치며 항해하는 빠른 선단을 보유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2019. 6. 24. [남북국시대] 선박의 구조(평저형과 첨저형) 선박의 구조-평저형과 첨저형 ★ 평저형 : 배(船)의 바닥이 편평하고 선구와 선미가 뭉툭하다. 조수 간만의 차가 큰 한국의 연안에 적합하다. 첨저형보다 속도가 낮지만, 선회가 용이하다. ★ 첨저형 : 선수와 바닥이 뾰족한 형태의 배. 물살을 가르고 나가기에 좋은 구조여서 속도다 빠르고, 복원력이 좋아 쉽게 뒤집어지지 않고 높은 파도에도 균형 잡기가 쉽다. 대부분의 중국 배는 첨저형이었다. 2019. 6. 24. 장보고의 해상 무역로 장보고의 해상 무역로 2015. 11. 12.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