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1322 [고려]중국동전(신안해저유물) 중국동전(신안해저유물) ★ 신안 해저유물(新安海底遺物) :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방축리 앞 해역에서 침몰한 14세기 원나라 무역선(신안선)과 그 유물. 1975년 발견되었다. 1976년부터 1984년까지 발굴 ․ 조사하여 중국 송 ․ 원대 유물 22,000여 점을 발굴되하였다. 발견된 유물은.. 2019. 8. 18. [고려신안선 복원 모형 신안선 복원 모형 ★ 신안 해저유물(新安海底遺物) :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방축리 앞 해역에서 침몰한 14세기 원나라 무역선(신안선)과 그 유물. 1975년 발견되었다. 1976년부터 1984년까지 발굴 ․ 조사하여 중국 송 ․ 원대 유물 22,000여 점을 발굴되하였다. 발견된 유물은 14세기.. 2019. 8. 17. [고려]신안선 목간(14세기, 원) 신안선 목간 (14세기, 원) ★ 신안 해저유물(新安海底遺物) :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방축리 앞 해역에서 침몰한 14세기 원나라 무역선(신안선)과 그 유물. 1975년 발견되었다. 1976년부터 1984년까지 발굴 ․ 조사하여 중국 송 ․ 원대 유물 22,000여 점을 발굴되하였다. 발견된 유물은.. 2019. 8. 17. [고려]신안선 항로 신안선 항로 ★ 신안 해저유물(新安海底遺物) :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방축리 앞 해역에서 침몰한 14세기 원나라 무역선(신안선)과 그 유물. 1975년 발견되었다. 1976년부터 1984년까지 발굴 ․ 조사하여 중국 송 ․ 원대 유물 22,000여 점을 발굴되하였다. 발견된 유물은 14세기 동아.. 2019. 8. 17. [고려]선죽교(善竹橋) 선죽교(善竹橋) 선죽교비 ★ 선죽교(善竹橋) : 북한 개성시에 있는 돌다리로, 고려 말의 충신 정몽주가 이성계를 문병 갔다가 돌아올 때 이성계의 아들 이방원이 보낸 조영규 등에게 피살된 곳이다. 북한의 국보 제 159호로 지정되어 있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4. [고려]진포 해전(재연) 진포 해전(재연) ★ 진포 해전(鎭浦海戰) : 고려 말기 우왕 6년(1380) 고려 수군이 한국의 금강 하구인 진포에서 왜구를 물리친 해전. 최무선이 제조한 화약이 처음으로 쓰인 전투로써 한국사 최초의 해상에서 화약 무기 사용한 전투이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3. [고려]진포 해전 진포 해전 ★ 진포 해전(鎭浦海戰) : 고려 말기 우왕 6년(1380) 고려 수군이 한국의 금강 하구인 진포에서 왜구를 물리친 해전. 최무선이 제조한 화약이 처음으로 쓰인 전투로써 한국사 최초의 해상에서 화약 무기 사용한 전투이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2. [고려]홍건적 홍건적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2. [고려]왜구 2 왜구 2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2. [거란]왜구 왜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1. [고려]거란족 거란족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1. [고려]여진족 여진족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1. [고려]강화도의 고려 궁 유적 강화도의 고려 궁 유적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0. [고려]고려양(의복) 고려양(의복)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0. [고려]몽골풍(소주 내리는 원리) 몽골풍(소주 내리는 원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0. [고려]항몽순의비 항몽순의비 (抗蒙殉義碑) ★ 항몽순의비(抗蒙殉義碑) : 대한민국의 사적 제396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소재.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였던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 중 하나로, 몽고군에 대항해 최후를 맞이한 삼별초군의 넋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비석이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 2019. 8. 9. [고려]제주 항파두리성 제주 항파두리성 ★ 제주 항파두리성 : 대한민국의 사적 제396호.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소재. 삼별초의 마지막 보루였던 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 중 하나로 흙으로 쌓은 토성이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9. [고려]처인성 전투 처인성 전투 (處仁城 戰鬪) ★ 처인성 전투(處仁城 戰鬪) : 제2차 고려-몽골 전쟁의 전투로 김윤후가 적장 살리타이를 사살하여 승리로 이끈 대몽항쟁의 전승지이다. 경기도 용인시에 있으며 경기도 기념물 제 44호이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9. [고려]진도 용장성 진도 용장성 (珍島 龍藏城) ★ 진도 용장성(珍島 龍藏城) : 대한민국 사적 제126호. 전라남도 진도군 용장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산성이다. 고려와 몽골의 강화와 개경 환도를 반대한 삼별초군은 강화도에서 진도, 제주도로 근거지를 옮기며 몽골과 항전하였다. 용장성은 삼별초 군이 진도.. 2019. 8. 8. [고려]몽고습래회사 몽고습래회사 (蒙古襲來繪詞) ★ 몽고습래회사(蒙古襲來繪詞) : 2권의 두루마리로 구성된 일본 가마쿠라 시대 후기의 그림. 원나라의 일본 원정 당시 원정군(여원연합군)과 일본 무사들의 싸움을 그린 것이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8. 이전 1 ··· 34 35 36 37 38 39 40 ··· 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