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입시1316

[조선/건축]근정전의 내부(어좌와 닫집) 근정전의 내부 (어좌와 닫집) ★ 근정전(勤政殿) :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전. 조선 태조 때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타면 소실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공사 때 다시 세워졌다. 국왕의 정무와 나라의 큰 행사 등에 사용되었다. 국보 223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 2019. 12. 31.
[중국사/수당]룽먼 석굴 대불 룽먼 석굴 대불 ★ 룽먼 석굴 대불(龍門石窟 大佛) : 룽먼석굴의 가장 대표적인 불상으로 당대에 조성되었다(7세기). 본존불은 당시 실권을 장악한 측천무후의 용모를 조각한 것이라는 전설이 전하고 있다. ★ 룽먼석굴(龍門石窟) : 북위(北魏)의 효문제 때 시작하여(494) 당(唐618~907)에 이르.. 2019. 12. 31.
[조선/건축]근정전의 단청 근정전의 단청 ★ 근정전(勤政殿) : 조선의 법궁인 경복궁의 정전. 조선 태조 때 지었으나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타면 소실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경복궁 중건 공사 때 다시 세워졌다. 국왕의 정무와 나라의 큰 행사 등에 사용되었다. 국보 223호. 서울특별시 종로구 소재. ※ 저작.. 2019. 12. 31.
[조선/건축]근정전과 품계석 근정전과 품계석 ★ 품계석(品階石대) : 대궐 정전 안뜰에 관계품을 기록하여 세운 돌. 관료들이 차례로 늘어서게 되어 있다. 문관(文官)은 동쪽, 무관(武官)은 서쪽에 선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1.
[중국사/수당]둔황석굴(燉煌石窟) 둔황석굴 (燉煌石窟) ★ 둔황석굴(燉煌石窟) : 중국 간쑤 성 둔황에 있는 대표적인 천불동으로 기원전 전한 시대부터 당나라 후기까지 불교 유물이 시대별로 폭넓게 있다.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에 지정되어 있다. 막고굴(莫高窟)이라고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 2019. 12. 31.
[세계지리/건조기후지형]건조 기후 지형 건조 기후 지형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
[중국사/수당]장안성과 동아시아의 수도 장안성과 동아시아의 수도 당의 장안성 발해 상경성 신라 왕경(경주) 일본 헤이조쿄 ★ 장안(長安) : 중국의 고도(古都)로 현재 산시 성(陝西省)의 성도(省都) 시안 시(西安市). 전한, 북주, 수 왕조의 수도였다. 당(唐) 왕조의 시대에 장안은 대제국의 수도로서,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시로 발.. 2019. 12. 30.
[중국사/수당]당삼채(唐三彩) 당삼채(唐三彩) ★ 당삼채(唐三彩) : 중국 당(唐)의 도기로 삼채 유약을 사용한 것. 주로 귀족들의 장례용으로 제작되어 묘에 부장되었다. 당에서 뿐 아니라 해외에서 명성이 높아 많은 나라에 수출되었고 각국에서 당삼채를 모방한 도자기를 제작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 2019. 12. 30.
[중국사/수당]대안탑(大雁塔) 대안탑(大雁塔) ★ 대안탑(大雁塔) : 당나라의 고승 삼장법사 현장이 인도에서 귀국할 때(652) 가지고 온 경전이나 불상 등을 보존하기 위해서 고종에게 요청하여 건립한 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
[조선/건축]경복궁과 자금성 경복궁과 자금성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
[조선/건축]경복궁과 자금성의 위성 사진 경복궁과 자금성의 위성 사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
[조선/건축]경복궁 배치도(북궐도) 경복궁 배치도 (북궐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
[조선/건축]경복궁의 위성 사진 경복궁의 위성 사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
[조선/건축]경복궁의 구조 경복궁의 구조 (출처 : 쏭내관의 재미있는 궁궐 기행)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30.
[조선/행정]강경패 강경패 ★ 강경패 : 시험관이 성적을 매길 때 사용한 패. 통(通), 약(略), 조(粗), 불(不) 등의 글자로 성적과 합격을 결정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9.
[조선/건축]경복궁 전도 경복궁 전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9.
순종 가례 간택 단자 순종 가례 간택 단자 ★ 순종 가례 단자 : 왕세자(순종)의 가례에서 초간택으로 올라온 단자. 처녀의 거주, 본관, 거주지, 부친, 조부, 외조부의 직위와 이름을 기록했다. 장서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9.
[조선/건축]객사 객사 ★ 객사(객관) : 관아에서 왕의 전패를 모신 건물. 중앙 마루 안쪽에 전패를 모시고 좌우의 건물은 왕의 사신이나 빈객의 숙소로 이용되기고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9.
[조선후기/실학]감평(鑑平) 필사본 <감평(鑑平)> 필사본 <감평(鑑平)>(1839, 최한기) ★ 최한기(崔漢綺, 1803~1879)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다. 기 철학론과 기 우위론을 제창하였고, 김정호 등과 함께 지도 제작에 나서기도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8.
[근대/대한제국및황실]가례후 빈조현 대왕대비전 홀기 가례후 빈조현 대왕대비전 홀기 ★ 가례를 올린 세자빈(순명효황후)이 대왕대비에게 문안을 올리는 정차를 적은 홀기. 한문본과 한글본이 동시에 작성되었다. 장서각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