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40 [근대/의학]이제마 이제마 ★ 이제마(李濟馬, 1837~1900) : 조선 말기의 한의학자(漢醫學者), 문관, 무관, 시인. 사람마다 타고난 체질이 다르므로 같은 병이라도 그 치료가 달라야 한다고 주장하였으며, 태양, 소양, 태음, 소음의 네 가지 체질이 있다고 하는 사상의학(四象醫學)을 제창하였다. 저서로 이 있다. 2020. 5. 30. [조선전기/사회문화] 향약집성방에 실린 전남위녀법 향약집성방에 실린 전남위녀법 ★ 전남위녀법 : 뱃속의 태아를 아들에서 딸로 바꾸는 방법 2020. 5. 20. [조선전기/의학] 향약채취월령 향약채취월령 (鄕藥採取月令) ★ 향약채취월령(鄕藥採取月令) : 조선전기 의학자 유효통 등이 일반대중의 향약 채취와 활용을 위하여 1431년에 간행한에 간행한 의서. 전국의 약재를 조사하여 월별로 해야 할 일을 정리하였다. 중국 약재와 구분을 위해 의관을 중국으로 보내 유사함과 다름을 일일이 비교하여 정리하였다. 서울대 규장각 소장. 2020. 5. 17. [조선전기/의학] 의방유취에 그려진 오장도와 담 의방유취에 그려진 오장도와 담 ★ 오장도(五臟圖) : 인간의 몸에 들어있는 5개의 장기(臟器). 즉 간장, 심장, 비장, 폐, 신장을 그린 그림. 장기를 실제 모습으로 그렸다기보다는 이전부터 전해오던 이론을 종합하여 추상적으로 그렸다. ★ 담(膽) : 척추동물에서 볼 수 있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 의방유취(醫方類聚) : 조선 세종 때 편찬한 의학서로 세종 27년(1445년)에 완성하였고, 성종 8년(1477)에 간행되었다(30권). 조선과 중국의 의학을 종합하여 정리한 저서로 조선 의학 발달의 초석이 되었다. 2020. 5. 17. [조선전기/의학] 의방유취 의방유취(醫方類聚) ★ 의방유취(醫方類聚) : 조선 세종 때 편찬한 의학서로 세종 27년(1445년)에 완성하였고, 성종 8년(1477)에 간행되었다(30권). 조선과 중국의 의학을 종합하여 정리한 저서로 조선 의학 발달의 초석이 되었다. 2020. 4. 18. [조선후기/의학]우두 접종 우두 접종 ★ <마과회통> 부록에 실인 우두 접종 칼과 우두 접종처 ★ 마과회통(麻科會通) :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홍역의 병증과 치료법을 수록하여 1798년에 편찬한 의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5. [조선후기/의학]신찬벽온방(新纂辟瘟方) 신찬벽온방 (新纂辟瘟方) ★ 신찬벽온방(新纂辟瘟方) : 광해군 4년(1612)에 광해군이 '당동역'이라 불린 전염병 치료를 위해 내의원 어의 허준에게 저술을 명하여 이듬해 내의원에서 목활자로 간행하여 배포한 의학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7. [중국사&북방민족/명청]장부도(臟腑圖) 장부도(臟腑圖)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16. [중국사&북방민족/명]침구동인의 머리 부분 침구동인의 머리 부분 ★ 명대(1439~1446)에 제작된 침구동인. 혈자리와 혈이름이 표시되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12. [중국사&북방민족/명청]침술에 사용된 9가지 침 침술에 사용된 9가지 침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12. [조선/의학]소합향(蘇合香) 소합향(蘇合香) ★ 소합향(蘇合香) : 소합향나무의 수지로 약재로 사용되었다. 옛날에는 소합국(蘇合國 :현재 이란)에서 생산되었기 때문에 소합향이라 불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3. [조선후기/의학]마과회통(麻科會通) 마과회통(麻科會通) ★ 마과회통(麻科會通) :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홍역의 병증과 치료법을 수록하여 1798년에 편찬한 의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근대/의학]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동의수세보원 (東醫壽世保元) ★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 조선 말기의 의사 이제마가 저술한 의학서. 고종 30년(1893년)에 착수하여 고종 31년(1894)에 완성하였다. 사람의 체질은 4가지로 구분하는 사상의학설을 제창하였다. 2020. 1. 17. [조선후기/의학]급유방(及幼方) 급유방(及幼方) ★ 급유방(及幼方) : 조선후기 의학자 조정준이 소아에게 나타나는 질환을 중심으로 1749년에 편찬한 의서. 중국 의서의 모방을 탈피하여 독자적이고 새로운 내용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6. [조선중기/의학] 동의보감의 신형 장부도와 오장도 동의보감의 신형 장부도와 오장도 ★ 동의보감(東醫寶鑑) : 허준(1539∼1615)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학 서적(한의학)을 하나로 모은 의학 백과사전. 1596년(선조 29)부터 편찬하여 1610년(광해 2)에 완성되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의학을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보 319호, 319-2호. 유네스코 기록 유산. 2020. 1. 16. [조선중기/의학]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보감(東醫寶鑑) ★ 동의보감(東醫寶鑑) : 허준(1539∼1615)이 선조의 명을 받아 중국과 우리나라의 의학 서적(한의학)을 하나로 모은 의학 백과사전. 1596년(선조 29)부터 편찬하여 1610년(광해 2)에 완성되었다. 당시 동아시아의 의학을 집대성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국보 319호, 319-2호. 유네스코 기록 유산. 2020. 1. 16. [조선전기/과학기술] 간이벽온방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조선 중종 때 온역(전염병) 치료에 대한 약방문을 모아 엮은 의학서적이다. 초간본을 전하지 않고 광해군 때 발행한 중간본(1613)이 전한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71호. 청주고인쇄박물관 소장. 2019. 12. 28. [개화기/의학] 우두신설(牛痘新說) 우두신설(牛痘新說) ★ 우두신설(牛痘新說) : 1885년(고종 22) 지석영이 저술한 한국 최초의 종두서. 2019. 11. 19. [조선중기/인물] 허준(許浚) 허준(許浚) ★ 허준(許浚, 1539~1615) : 조선 중기의 의관 · 의학자. 동의보감(東醫寶鑑)의 저자. 임진왜란 종결 후, 각종 중국 의서와 기존 의서의 복원, 편찬 및 정리에 힘썼다. 2019. 10. 30. [조선/학문]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1433년(세종 15년)에 편찬된 의학서로서, 향약제생집성방>(정종 1, 1399 편찬)을 토대로 하고 여러 의서를 참고하여 완성하였다. 여기에는 각종 약방문과 침구법 및 향약본초 · 포제법 등이 들어 있으며, 민간에서 이용이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2019. 10. 8.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