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자료17

[개화기/국방]대한제국 군대의 훈련 대한제국 군대의 훈련 2023. 5. 6.
[백제/정치]삼국사기와 일본서기의 백제왕 즉위 기사 삼국사기와 일본서기의 백제왕 즉위 기사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11. 29.
[영토/독도]대조선국전도의 울릉도와 독도 대조선국전도의 울릉도와 독도 ★ 대조선국전도(大朝鮮國全圖) : 19세기 말(1894~1896)에 제작된 지도집 에 수록된 조선의 전국 지도. 해안선 윤곽이 그려졌고 경위선은 표시하지 않았다. 강원도 부분에 울릉도 동쪽에 독도(于山)가 정확하게 표기되어 있고 울릉도와 울진 사이에 ‘수로 팔백리’라고 적혀 있어 왕래가 잦았음을 보여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27.
대한민국 현대사 연표(1945~2002) 대한민국 현대사 연표(1945~2002)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4.
[백제/정치]백제 연표 백제 연표 ★ 백제(百濟, BC 18년 ~ AD 660년) : 한국의 고대 국가 중 하나. 고구려, 신라와 함께 삼국시대를 이루었다. 마한 54개 연맹체 중 하나인 십제국으로 시작해 마한을 병합하고 전성기 때에는 영토를 황해도 지역까지 넓혔으나, 5세기 고구려 팽창으로 수도를 빼앗기고 남하였다. 7세기 나당 연합군의 침략을 멸망하고 영토를 신라가 차지하였다. 이후 유민들이 부흥운동을 일으켰으나 실패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30.
[현대/통일과북한]북한의 매스게임 북한의 매스게임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5. 21.
[현대/경제/1950년대]아이들에게 초콜릿을 나눠주는 미군 아이들에게 초콜릿을 나눠주는 미군 ★ 한국전쟁 전후 한국의 경제는 국제적십자사, 국제연합 구호단체, 미국의 구호물자에 크게 의존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4. 25.
[현대/경제]새마을 운동 새마을 운동 ★ 새마을 운동(Saemaul Undong, Village Movement) : 신향촌운동(新鄕村運動)이라고도 한다. 1970년 초 대한민국 농촌의 현대화를 위해 시작되어 박정희 정부 주도로 시행된 운동. 근면·자조·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하여 농촌의 근대화, 지역의 균형적인 발전, 의식개혁을 목표로 하였다. 농어촌 소득 및 복지 향상, 주택 현대화, 마을 정비, 농기계 보급, 새마을 지도자 양성 등의 활동을 하였다. 새마을 운동은 농업 경쟁력 향상, 농어촌 현대화 등에 큰 성과를 내었고 세계적으로 농촌 개발 모델로 긍적적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박정희의 유신체제를 지지하는 통치 이데올로기로 이용되었고, 전두환 정권 이후 관련 단체들의 횡령과 부패로 비판받기도 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 2022. 4. 6.
[현대/민주주의발전/노동운동]해고 노동자의 복직을 요구하는 동일방직 노동자들 해고 노동자의 복직을 요구하는 동일방직 노동자들 ★ 동일방직 사건 : 1978년 2월 21일 쟁의중인 동일방직 노동조합의 여성 조합원들에게 반대파가 똥물을 뿌린 사건이다. 1976년부터 쟁의를 계속해 오던 동일방직 노동조합은 이 일을 계기로 중앙정보부의 공작 대상이 되어 와해 되었고, 해고된 노동자들은 블랙리스트에 올라 재취업을 할 수 없었다. 동일방직 사건은 이후 민주노조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회사와 정부, 노총이 한 몸이 되어 노동자를 탄압한 일은 역설적으로 민주노조의 필요성을 절감하게 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즉시 삭제하겠습니다 2021. 10. 31.
[현대/6.25전쟁]서울에 진입한 북한군의 탱크(6.25전쟁) 서울에 진입한 북한군의 탱크 (6.25전쟁) ★ 6.25 전쟁(한국 전쟁) : 1950년 6월 25일 오전 4시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기습적으로 대한민국을 침공하여 발발한 전쟁. 유엔군과 중국인민지원군 등이 참전하여 세계적인 대규모 전쟁으로 비화될 뻔 하였으나, 1953년 7월 27일 22시에 체결된 한국휴전협정에 따라 일단락되었다. 휴전 이후로도 현재까지 양측의 유무형적 갈등은 지속되고 있다. 2021. 4. 27.
[현대/광복~정부수립]3,5인조 투표행렬(5.10 총선거) 3,5인조 투표행렬 (5.10 총선거) ★ 5.10 총선거 : 라고도 한다. 1948년 5월 10일 한국의 제헌국회를 구성하기 위하여 실시된 국회의원 총선거. 한국 최초의 민주적 선거이지만, 남한만의 선거라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한국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료와 일본의 패망으로 광복을 맞이하였지만, 열강의 간섭에 휘둘였다. 38선을 경계로 미국과 소련이 진주하고 모스크바 3상회의(이하 3상회의)에서는 한반도의 신탁통치를 결정하였고, 이것은 한국을 극심한 혼란으로 몰아넣었다. 3상회의 합의로 설치된 에서 여러번 한국 문제는 토의하였으나 양측의 의견 차이로 합의가 되지 않자, UN은 한국인의 총선거를 결정하고 한국임시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임시위원회가 한국에 입국하였으나 소련의 거부로 총선거가 불가능해지.. 2021. 4. 25.
[백제/공예]백제 금동대향로 발굴 백제 금동대향로 발굴 ★ 백제 금동대향로(百濟金銅大香爐) : 백제에서 만들어진 금동제 박산로. 부여 나성과 능산리 고분군 사이에서 주차장 공사중에 발견되었다(1993년). 제작 시기는 6세기 초로 추정하며, 발굴 조사로 일대가 백제의 왕실 절터(능산리 절터)였음이 밝혀졌다. 불교와 도교적 세계관을 표현하고 있으며 백제의 뛰어난 금속 공예와 예술적 역량을 보여준다. 국보 제287호. 국립 부여 박물관 소장.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6.
[백제]정사암 정사암 ★ 정사암(政事巖) : 백제시대에 정치를 논의하고 재상을 뽑던 장소. 에 정사암은 백제 후기의 수도인 사비(泗沘) 부근의 호암사(虎巖寺)에 있었으며, 귀족들이 재상을 선출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7.
[선사/구석기시대]불을 피우는 방법(구석기시대) 불을 피우는 방법(구석기시대)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8. 3. 25.
[선사/신석기시대]한반도의 신석기 유적 한반도의 신석기 유적 ★ 신석기 시대(新石器時代, The Neolithic Age) : 석기 시대 후기.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磨製石器)와 질그릇(土器토기)을 사용하여 식량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단계에 이른 시대. 구석기시대의 채집 경제로에서 신석기 시대의 생산 경제로의 전환은 인류 문화사상 큰 전기를 가져왔으며, 신석기 혁명이라고도 한다. 빙하기가 끝나고 현재와 같은 기후로 변화한 것이 큰 영향을 주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이른 신석기문화는 팔레스티나의 예리코(Jericho)와 이라크의 자르모(Jarmo)로 기원전 9600~9500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한국의 신석기 시대 :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서 고대 한국인이 활동한 기원전 8000년~ 기원전 1500년까지의 시기. 간석기와 빗살무.. 2017. 8. 29.
10.4 남북 공동선언문 전문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 (10.4 남북 공동선언문) 대한민국 노무현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이의 합의에 따라 노무현 대통령이 2007년 10월 2일부터 4일까지 평양을 방문했다. 방문기간중 역사적인 상봉과 회담들이 있었다. 상봉과 회담에서는 6.. 2014. 1. 21.
6.15 공동 선언 전문 6.15 공동 선언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염원하는 온 겨레의 숭고한 뜻에 따라 대한민국 김대중 대통령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2000년 6월 13일부터 6월 15일까지 평양에서 역사적인 상봉을 하였으며 정상회담을 가졌다. 남북정상들은 분단 역사상 처음으로 열린 이번.. 2014. 1.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