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실학58

[조선후기/과학기술] 홍대용이 만든 혼천의 홍대용이 만든 혼천의   ★ 혼천의(渾天儀) : 천체 관측 기구로 태양, 달, 오행성(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국에는 1433년(세종 15년)에 처음 제작되었다. ★ 홍대용(洪大容, 1731~1783) : 조선 후기의 문신, 실학자이자 과학 사상가이다. 북학파의 선구자이자, 이용후생(중상주의) 학파에 속한 실학자로 당시 굉장히 혁신적인 철학자였다. 저서로는 , 등이 있다. 2024. 12. 26.
[조선후기/인물/실학자] 최한기 최한기  ★ 최한기(崔漢綺, 1803~1879)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다. 기 철학론과 기 우위론을 제창하였고, 김정호 등과 함께 지도 제작에 나서기도 했다. 2024. 11. 17.
[조선후기/인물/실학자] 열하일기 열하일기  ★ 열하일기(熱河日記) : 조선 정조 때의 북학파인 박지원이 44세 때인 1780년(정조 4년)에 연행사(燕行使, 조선이 청나라에 보낸 사신 및 사절단)의 일원으로 청에 다녀와서 쓴 견문록. 26권 10책으로 구성되었다. 정본 없이 필사본으로만 전해져오다가 1901년 김택영이 처음 간행되었으며, 친필본이 단국대학교 〈연민문고〉에서 발견되었다. 2020. 5. 30.
[조선후기/과학기술] 천문관측의(아스트롤라베) 천문관측의 (아스트롤라베)   조선에서 제작된 아스트롤라베    아스트롤라베 측정법   ★ 천문관측의(天文觀測儀) : 아스트롤라베(astrolabe)라고도 한다. 고대에서부터 만들어져 발전되어온 정교한 천문 도구로서, 태양, 달, 행성, 별의 위치를 예측하였다. 17세기 유럽의 예수회 선교사들을 통해 혼개통헌(渾蓋通憲)라는 이름으로 동아시아에 전래되었다. 18세기 조선의 실학자 유금이 만든 아스트롤라베가 전하며, 동아시아에서 제작된 유일한 것이다. 2020. 5. 23.
[조선후기/사상과학문/실학] 횡결 횡결  ★ 최한기(崔漢綺, 1803~1879)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다. 기 철학론과 기 우위론을 제창하였고, 김정호 등과 함께 지도 제작에 나서기도 했다. 저서로 감평(鑑平)> (1839), 횡결> 등이 있다. 2020. 5. 16.
[조선후기/사상과학문/실학] 최한기 사후에 내려진 교지(1892) 최한기 사후에 내려진 교지(1892)  ★ 최한기 사후에 내려진 교지(고종 29년, 1892) : ‘절충자군 중추부 첨지가 겸 오위장 최한기에게 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 겸 의금부 동지가 성균관 좨주를 추증함’ 이라고 적혀있다. ★ 최한기(崔漢綺, 1803~1879)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다. 기 철학론과 기 우위론을 제창하였고, 김정호 등과 함께 지도 제작에 나서기도 했다. 2020. 5. 16.
[조선후기/지리학]진주성 지도 진주성 지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8.
[조선후기/지리학]지도표(범례) 지도표(범례)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8.
[조선후기/실학/법의학] 흠흠신서 흠흠신서  ★ 흠흠신서(欽欽新書) : 조선 후기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이 저술한 형법서(1882). 과 을 재해석하였으며, 다산의 애민정신이 잘 드러나 있다. , 와 함께 다산의 대표적 저서이다. 2020. 5. 7.
[조선후기/의학]증수무원록의 피타사 증수무원록의 피타사 ★ 증수무원록(增修無寃錄) : 원나라 학자 왕여가 편찬한 법의학서 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주석을 달아 간행하였다(정조 16년, 1792). ★ 피타사 : 맞아서 죽은 경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7.
[조선후기/의학]증수무원록의 복검 총론 증수무원록의 복검 총론 ★ 증수무원록(增修無寃錄) : 원나라 학자 왕여가 편찬한 법의학서 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주석을 달아 간행하였다(정조 16년, 1792). ★ 복검 : 시신을 2차로 검시하는 것. 초검과 복검으로 밝혀지지 않으면 3차 섬시와 4차 검시를 실시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5. 6.
[조선후기/실학]육해법(陸海法) 육해법(陸海法) ★ 육해법(陸海法) : 조선후기 실학자 최한기가 각종 양수기(揚水機)의 구조양식과 조립방법에 대하여 간행한 도설서(1834).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9.
[조선후기/사상과학문]연려실기술 연려실기술 (燃藜室記述)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이긍익이 편찬한 조선시대 야사(野史)의 총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1.
[조선후기/사상과학문/실학] 양한정기(養閒停記) 양한정기(養閒停記)  ★ 양한정기(養閒停記) : 조선 후기 실학자 최한기(崔漢綺, 1803~1879)의 저서 횡결>에 수록된 작품 2020. 4. 11.
[조선후기/실학]승순사무(承順事務) 승순사무(承順事務) 최한기 저(1868) ★ 최한기(崔漢綺, 1803~1879) : 조선 후기의 실학자, 지리학자, 철학자, 사상가, 저술가이다. 기 철학론과 기 우위론을 제창하였고, 김정호 등과 함께 지도 제작에 나서기도 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8.
[중국사&북방민족/명청]마태오 리치 마태오 리치 ★ 마태오 리치(Matteo Ricc, 1552~1610) :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자,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대륙에 기독교 신앙을 정착시킨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이다. 16세기 후반 해외 선교에 나서 인도를 거쳐 마카오를 통해 중국(명)에 정착하였다. 세계지도 <곤여만국전도>를 제.. 2020. 2. 7.
[중국사&북방민족/명청]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 곤여만국전도 (坤輿萬國全圖) ★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 : 1602년에 예수회 이탈리아인 신부 마테오 리치와 명나라 학자 이지조(李之澡)가 함께 만들어 목판으로 찍어 펴낸 지도.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 남북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남극이 표현되어 있다. <곤여만국전도>의 전래.. 2020. 2. 7.
[조선후기/실학]임원경제지 임원경제지 ★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 조선 후기 실학자 서유구가 저술한 농업 백과사전. 실학파의 학문적 업적을 농정학적인 분야에서 체계화하고 총정리하여 필사한 저술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2.
[조선후기/실학]뇌와 신경계(전체신론 수록) 뇌와 신경계 (전체신론 수록) ★ 전체신론(全體新論, 1851) : 홉슨(Benjamin Hobson, 1816~1873)이 저술한 해부학 저서. 한자로 번역되어 19세기 조선에 유입되어 실학에 영향을 주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1.
[조선후기/실학]정면인골도(전체신론 수록) 정면인골도 (전체신론 수록) ★ 전체신론(全體新論, 1851) : 홉슨(Benjamin Hobson, 1816~1873)이 저술한 해부학 저서. 한자로 번역되어 19세기 조선에 유입되어 실학에 영향을 주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2.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