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30 [조선전기/과학기술] 신기전기(神機箭機) 신기전기(神機箭機) ★ 신기전(神機箭) : 1448년(세종 30년) 만들어진 조선시대의 로켓추진 화살. 신기전을 발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화차인 신기전기(神機箭機)는 다연장 로켓발사장치이다. 설계도와 상세 제작 자료가 병기도설>에 상세 제작 자료가 남아있으며 1993년 복원하여 공개 발사시험을 하였다. 2019. 10. 8. [조선/과학기술] 자격루(自擊漏) 자격루(自擊漏) ★ 자격루(自擊漏) : 조선 세종 때 제작된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다. 장영실과 김조 등이 2년 간 제작하여 세종 16년(1434년)에 완성하였다. 중종 31년에 이전의 자격루를 개량하여 다시 제작하였다. 현재 중종 때의 자격루가 보존되어 남아있다(국보 제 229호). 2019. 10. 7. [조선/과학기술] 자격루 조감도 자격루 조감도 ★ 자격루(自擊漏) : 조선 세종 때 제작된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다. 장영실과 김조 등이 2년 간 제작하여 세종 16년(1434년)에 완성하였다. 중종 31년에 이전의 자격루를 개량하여 다시 제작하였다. 현재 중종 때의 자격루가 보존되어 남아있다(국보 제 229호). 2019. 10. 7. [조선/과학기술] 측우기(測雨器) 측우기(測雨器) ★ 측우기(測雨器) : 조선 시대에 강우량 분포를 측정하던 기구로,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이다. 조선 세종 때 처음 만들어 전국에 보급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것은 공주 충청감영에서 제작된금영측우기(錦營測雨器, 보물 561호)가 유일하다(1837). 2019. 10. 6. [조선전기/과학기술] 자격루(모형) 자격루(모형) 국립 고궁 박물관 소장 ★ 자격루(自擊漏) : 조선 세종 때 제작된 물시계로, 자동으로 시간마다 종이 울리도록 한 국가 표준시계이다. 장영실과 김조 등이 2년 간 제작하여 세종 16년(1434년)에 완성하였다. 중종 31년에 이전의 자격루를 개량하여 다시 제작하였다. 현재 중종 때의 자격루가 보존되어 남아있다(국보 제 229호). 2019. 10. 6. [조선/과학기술]혼천의(渾天儀) 혼천의(渾天儀) 혼천의 혼천의을 이용한 천체관측(상상도) ★ 혼천의(渾天儀) : 천체 관측 기구로 태양, 달, 오행성(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국에는 1433년(세종 15년)에 처음 제작되었다. 2019. 10. 6. [조선전기/학문과사상] 훈민정음 반포 훈민정음 반포 ★ 훈민정음(訓民正音) : 조선조 제 4대 세종대왕 집현전 학자들과 창시한 한국어 표기 문자 체계(한글), 또는 그것을 해설한 책의 제목. '백성(民)을 가르치는(訓) 바른(正) 소리(音)'라는 뜻으로, 독창적이고 쓰기 편한 28자의 소리글자이다. 세종 25년(1443)에 완성하고 세종 28년(1446)에 반포하였다. 2019. 9. 25. [조선/정치]세종 세종 ★ 세종(世宗, 1397~1450, 재위 1418~1450) : 조선의 제4대 군주이자 언어학자. 태종과 원경왕후의 셋째 아들이며, 비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첫째 형 양녕대군이 왕세자에서 폐위되면서 세자로 책봉되었고 얼마 후 태종의 선위로 즉위하였다. 의정부서사제의 기틀을 다지고 세제를 개편하여 농민의 부담을 줄였으며, 4군 6진을 개척하고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과학, 예술, 문화 등 다방면에 뛰어났는데 한글(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재위 중 수많은 저서를 출판하는 등 조선의 문화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2019. 9. 23. [조선전기/경제] 연분9등법과 전분6등법 연분9등법과 전분6등법 연분9등법 전분6등법 ★ 연분 9등법(年分九等法) : 조선 세종 때 실시한 조세 제도. 토지세에 토지 1결당 풍흉에 따라서 최저 4두에서 최고 20두를 납부하는 조세 제도이다. ★ 전분6등법(田分六等法) : 조선시대 토지의 질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여 수세의 단위로 편성한 기준. 세종 때에 시작되었다. 2016. 12. 30. [조선전기/국방]4군 6진 4군 6진 ★ 4군6진(四郡六鎭) : 조선 세종 때 북방영토 개척을 위해 행해진 사군과 육진 이른다. 사군(四郡)은 압록강 상류에 두었던 여연(閭延)·자성(慈城)·무창(茂昌)·우예(虞芮)이고, 육진(六鎭)은 두만강 하류에 설치한 종성(鍾城)·온성(穩城)·회령(會寧)·경원(慶源)·경흥(慶興)·부령(富寧)이다. 2016. 10. 6.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