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조10 [조선중기/왕실문화] 알성시은영연도 알성시은영연도 ★ 알성시은영연도(謁聖試恩榮宴圖) 선조13년(1580), 알성시(謁聖試)의 급제자에게 국왕이 내린 연회(은영연)의 광경을 그린 기록화. 하단에 참석자의 이름과 이력이 기록되어 있다.★ 은영연(恩榮宴) : 조선 시대 문무과 급제자를 위해 왕이 베풀어 주던 축하 연회★ 알성시(謁聖試) : 조선시대 실시되었던 비정규 문과 · 무과 시험. 국왕이 문묘에 참배한 뒤 성균관 유생에게 제술 시험을 보여 성적이 우수한 몇 사람에게 급제를 주는 것으로, 태종 14년(1414)에 처음으로 실시되었다. 2020. 6. 1. [조선전기/학문과사상] 퇴계 향약 약문 퇴계 향약 약문 ★ 퇴계향약약문(退溪鄕約 約文) : 퇴계 선생 문집 권 42에 수록된 향약에 대한 글. ★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퇴계 이황(1501~1570)의 글을 모아 편찬한 문집으로 선조 33년(1600)에 초판이 간행되었으며, 이후에도 여러 번 간행되었다. 초간본은 보물 제 1894호로 계명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다. 2020. 5. 28. [조선전기/인물] 이덕형(李德馨) 이덕형(李德馨) ★ 이덕형(李德馨, 1561~1613) : 조선 중기의 정치인이자 문신, 학자. 호 한음(漢陰). 임진왜란 때 명의 원군을 청하는 데 공을 세웠고, 인목대비 폐위와 영창대군 사사에 반대하여 광해군과 갈등을 빚었다. 2020. 4. 19. [조선후기/왕실문화]선조의 열성어첩 선조의 열성어첩 ★ 어첩(御牒) : 왕실(王室) 계보(系譜)의 대강을 간추려서 적은 책.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13. [조선전기/사상과학문] 성학집요(聖學輯要) 성학집요(聖學輯要) ★ 성학집요(聖學輯要) : 조선의 유학자 율곡 이이의 정치철학 저서. 율곡이 당시 임금이던 선조를 위해 지은 책으로, 선조의 장단점을 지적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2020. 2. 2. [조선/국방] 비격진천뢰 비격진천뢰 ★ 비격진천뢰(飛擊震天雷) : 조선 중기에 군사목적으로 사용된 폭탄. 조선 선조 때 화포장 이장손(李長孫)이 처음 발명하였다. 대완포구(大碗砲口)로 발사하여 5백~6백보(지금의 10~12미터)의 사정거리를 가지는 일종의 시한 폭탄. 둥근 박 모양의 형태에 표면은 무쇠로 처리를 하였으며, 내부는 화약과 철조각(빙철) 등을 장전하게 되어 있어 폭발 시 파편이 튀어나가도록 한 것으로, 지금의 세열수류탄(폭발할 때에 금속 파편이 사방으로 날아가서 살상 범위를 확대하는 수류탄)하고 비슷한 형태다. 2020. 1. 29. [조선전기/문화와예술] 명종(明宗)의 글씨 명종(明宗)의 글씨 ★ 명종(明宗, 1534~1567, 재위 1545~1567) : 조선의 제13대 임금. 중종과 문정왕후의 아들로 12세에 이복형 인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모후 문정왕후가 섭정하였다. 친정 후에는 외척에 정사가 좌우되어 정치가 혼란하였다. 후사가 없어 하성군(선조)를 후계로 지목하였다. 2020. 1. 18. [조선중기/능묘] 목릉(穆陵) 목릉(穆陵) ★ 목릉(穆陵) : 조선 제14대 왕인 선조와 정비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 김씨의 능. 동구릉(東九陵) 중 일부, 제193호.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소재. ★ 동구릉(東九陵)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왕릉군. 191만 5891㎡에 달하는 구역에는 9개의 능에 17위의 유택이 있다. 사적 제193호. 유네스코 세계유산. 사적 제193호.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소재. 2019. 12. 23. [조선중기/능묘] 목릉 망주석의 세호 장식 목릉 망주석의 세호 장식 ★ 목릉(穆陵) : 조선 제14대 왕인 선조와 정비 의인왕후 박씨, 계비 인목왕후 김씨의 능. 동구릉(東九陵) 중 일부, 제193호.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소재. ★ 동구릉(東九陵)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시대의 왕릉군. 191만 5891㎡에 달하는 구역에는 9개의 능에 17위의 유택이 있다. 사적 제193호. 유네스코 세계유산. 사적 제193호.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소재. 2019. 12. 21. [조선중기] 임진왜란의 경과 임진왜란의 경과 ★ 임진왜란(壬辰倭亂, 1592~1598) : 선조 25년(1592), 전국 시대가 끝난 도요토미 정권 치하의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발발하여 선조 31년(1598년)까지 이어진 전쟁. 두 차례의 침략 중 1597년의 제 2차 침략을 정유재란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임진왜란은 동아시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전쟁의 결과, 조선은 경복궁과 창덕궁 등 2개의 궁궐이 소실되었고, 인구는 최소 100만 명 이상 감소했으며, 경작지의 2/3가 소멸했다. 2017. 1.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