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시대125 [선사/신석기시대]한반도의 신석기 유적 한반도의 신석기 유적 ★ 신석기 시대(新石器時代, The Neolithic Age) : 석기 시대 후기. 돌을 갈아 만든 간석기(磨製石器)와 질그릇(土器토기)을 사용하여 식량을 생산하고 저장하는 단계에 이른 시대. 구석기시대의 채집 경제로에서 신석기 시대의 생산 경제로의 전환은 인류 문화사상 큰 전기를 가져왔으며, 신석기 혁명이라고도 한다. 빙하기가 끝나고 현재와 같은 기후로 변화한 것이 큰 영향을 주었다. 지금까지 알려진 가장 이른 신석기문화는 팔레스티나의 예리코(Jericho)와 이라크의 자르모(Jarmo)로 기원전 9600~9500년 전에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 한국의 신석기 시대 : 한반도와 만주 일대에서 고대 한국인이 활동한 기원전 8000년~ 기원전 1500년까지의 시기. 간석기와 빗살무.. 2017. 8. 29. 인류의 이동 경로 인류의 이동 경로 2017. 5. 10. 인류의 출현 인류의 출현 2017. 5. 9. [선사/동아시아] 동아시아 선사문화권 동아시아 선사문화권 2015. 9. 10. [선사/구석기시대]한반도의 구석기 유적 한반도의 구석기 유적 ★ 구석기 시대(舊石器時代) : 선사 시대의 시대 구분으로 석기 시대 초기를 말한다. 돌을 깨서 만든 뗀석기(타제석기)를 도구로 사용했다. 시대적으로는 12,000년 전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해당하며, 호모 하빌리스(Homo habilis)와 같은 유사 인류가 석기를 사용한 시대까지 포함하기도 한다. 250만년~260만 년 전부터 신선기가 시작되는 1만 2천년 전~1만년 전 동안이다. ★ 한반도의 구석기 시대 : 약 70만 년 전 ~ 1만년 전(BC 8,000년) 동안이다. 단양 금굴, 평안남도 상원 검은모루 동굴, 연천 전곡리, 공주 석장리, 청원 두루봉 동굴, 충청북도 단양 수양개 등이 대표적인 구석기 유적이다. 2015. 9. 9. 이전 1 ··· 4 5 6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