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탐구1555 [세계지리/열대기후]열대 우림(아마존) 열대 우림 (아마존) ★ 열대 우림(熱帶雨林) : 열대와 아열대의 연중 고온습윤한 지역에 형성되는 숲. 다양하고 복잡한 생태계를 형성하며 대기에 많은 산소를 공급한다. 적도 우림이라고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8. [조선/민속]당산(堂山) 당산(堂山) ★ 당산(堂山) : 마을신앙의 구심점이 되는 특정한 장소나 신령을 일반적으로 부르는 명칭. 나무나 돌, 장승이나 새 조각 등을 당산으로 삼는다. 전남 부안군 부안읍 내요리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8. [중국사&북방민족/거란]거란 문자 거란 문자 ★ 거란 문자(契丹文字, Khitan scripts) : 거란어를 표시하기 위해 요나라 황실에서 만든 문자. 한자의 모양과 원리를 참고하여 만든 거란의 고유 문자로서, 거란 대자와 거란 소자의 두 종류가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8. [조선후기/정치]만천명월주인옹 도장 만천명월주인옹 도장 ★ 만천명월주인옹 도장 : 정조 만년에 사용한 도장. ‘임금은 만 백성의 주인’이라는 의미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세계지리/열대기후]열대 몬순 기후(양곤) 열대 몬순 기후(양곤) ★ 열대 몬순 기후(Am, 열대 계절풍 기후) : 적도 조위도 지역의 기후로, 열대 우림 기후와 사바나 기후 중간 정도의 기후이다. 계절풍의 영향으로 여름은 습윤한 해풍의 영향으로 우기, 겨울은 건조한 대륙풍의 영향으로 건조하다. 남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우기에 .. 2020. 1. 17. [조선후기/의학]마과회통(麻科會通) 마과회통(麻科會通) ★ 마과회통(麻科會通) :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이 홍역의 병증과 치료법을 수록하여 1798년에 편찬한 의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중국사&북방민족/금]파스파 문자 파스파 문자 ★ 파스파 문자 : 1265년 몽골 원나라(元) 국사(國師)인 파스파(八思巴)가 쿠빌라이 칸(세조 世祖)의 명을 받아 몽골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든 문자. 몽골신자, 방형몽골문자, 팔사파어(八思巴語)라고도 한다.몽골어 뿐 아니라 중국어·티베트·산스크리트 ·튀르크 등 몽골 통.. 2020. 1. 17. [세계지리/고산기후]열대 고산 기후 열대 고산 기후 ★ 열대 고산 기후 : 해발고도가 높아 기온이 낮고, 연중 봄처럼 온화한 기후(상춘기후). 고산 도시가 발달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조선/정치]암행어사의 마패와 판결문 암행어사의 마패와 판결문 ★ 암행어사(暗行御史) : 조선 시대에 지방에 파견되어 지방관의 감찰과 백성의 사정을 조사하는 일을 비밀리에 수행했던 국왕 직속의 임시 관리로 부사의 일종.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세계지리/열대기후]열대 우림 기후의 기온과 강수량(싱가포르) 열대 우림 기후의 기온과 강수량(싱가포르) ★ 열대 우림 기후(Af) : 적도 일대의 기후로 연중 적도 수렴대의 영향을 받아 더운 날씨가 지속하고 강우량이 많다. 최한월 기온이 18˚C 이상이며, 일교차가 연교차보다도 더 크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근대/과학기술]만세력(萬歲曆) 만세력(萬歲曆) ★ 만세력(萬歲曆) : 서양 역법을 도입하여 정조 6년(1782)에 간행한 <천세력(千歲曆)>을 광무 8년(1904년)에 개정하여 간행한 역법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중국사&북방민족/금]금(金)의 지폐 탁본 금(金)의 지폐 탁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세계지리/열대기후]사바나 기후(호주 다윈) 사바나 기후 (호주 다윈) ★ 사바나 기후(Aw) : 열대 우림 기후와 열대 몬순 기후 주변에 나타나며, 건기와 우기가 매우 뚜렷하다. 기온의 연변화는 크지 않으며, 평균기온이 약 27˚C, 최한월도 18˚C 이상이다. 키가 작은 관목과 길게 뻗은 풀로 이루어진 초원(소림장초)를 이루며 수많은 야.. 2020. 1. 17. [조선/정치행정]동헌 동헌 ★ 동헌 : 관아에서 수령이 정무를 집행하던 곳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중국사&북방민족/요]잉센 목탑 잉센 목탑 요(1056), 중국 쉬저우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7. [중국사/서하]서하 문자(西夏文字) 서하 문자(西夏文字) ★ 서하 문자(西夏文字) : 서하 왕국의 초대 왕 이원호(李元昊) 때 제정된 문자로 1036년경에 반포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6. [세계지리/건조기후]이란의 카나트 이란의 카나트 ★ 카나트(Qanat) : 고대부터 건조 기후 지역에서 건설한 수로로, 고온 건조한 지역에서 나타난다. 수로를 지하에 건설하여 물의 증발을 최대한 막는다. 서아시아 ․ 중앙아시아의 건조 기후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현대에도 존재하나 중요성은 떨어지고 있다. ※ 저작권 문.. 2020. 1. 16. [조선후기/문화]동한연의(東漢演義) 필사본 동한연의(東漢演義) 필사본 ★ 동한연의(東漢演義) : 중국 명말의 역사소설 <동한통속연의(東漢通俗演義)>의 번역본. 1600년대 이전에 조선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6. [중국사&북방민족/몽골]여진족 무사들 여진족 무사들 ★ <장우문희귀환도(張瑀文姬歸還圖)>의 일부. 후한 때 채문희가 중원으로 돌아가는 이야기를 담고 있으나 그림 속의 인물들은 초기 여진족 무사의 모습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16. [중앙서아시아/동서교역]대상(카라반) 대상(카라반) ★대상(隊商) : 낙타나 말 등에 짐을 싣고 다니며 특산물을 팔고 사는 상인의 집단. 카라반( کاروان, caravan)이라고도 부른다. 동서 교역에 큰 역할을 하였으며 사막길, 초원실, 비단길 등으로 이용하였으며, 원나라 때 매우 성행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 2020. 1. 16.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