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화17 [조선후기/문화와예술]아귀를 다스림(불화) 아귀를 다스림(불화) 직지사 감로탱, 조선 후기(1724)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7. [조선후기/문화와예술]호환(불화) 호환 통도사 감로탱, 조선 후기(1786)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7. [조선후기/문화와예술]해인사 산신도(불교) 해인사 산신도 조선 후기(1831), 경상남도 합천 해인사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7. [조선후기/문화와예술]의탁할 데 없는 고혼(孤魂)(불화) 의탁할 데 없는 고혼 (孤魂) 운흥사 감로탱, 조선 후기(1730)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6. [조선후기/문화와예술]죽을 병에 걸린 모습(불화) 죽을 병에 걸린 모습 조선후기(18세기 중엽), 자수박물관 소장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6. [조선후기/문화와예술]의원의 진료(불화) 의원의 진료 불암사 감로탱, 조선 후기(1890)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6. [조선후기/문화와예술]딸을 낳은 산실의 비통함(불화) 딸을 낳은 산실의 비통함 관룡사 감로탱, 조선 후기(1791)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5. [조선후기/문화와예술]아귀 또는 역귀(불화) 아귀 또는 역귀 감로탱, 조선 후기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5. [조선후기/문화와예술]수륙재(불화) 수륙재 쌍계사 감로탱, 조선 후기(1782)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5. [조선후기/문화와예술]맹인 행렬(불화) 맹인 행렬 남장사 감로탱, 조선 후기(1701)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4. [조선후기/문화와예술]고아들(불화) 고아들 용주사 감로탱, 조선 후기(1790)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4. [조선후기/문화와예술] 화성 용주사 후불 탱화(김홍도) 화성 용주사 후불 탱화 전체(위), 부분(아래) ★ 화성용주사 후불 탱화 :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 현륭원의 원찰 용주사에 그려진 후불탱화로 김홍도가 주관하였다. 김홍도가 북경에서 본 천주교 성당의 서양화 기법과 전통 기법과의 조화를 꾀한 작품이다. ★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金弘道 筆 風俗圖 畵帖) : 은 조선후기 화가 단원 김홍도의 대표적인 풍속화첩으로 25점을 수록한다. 당시 풍속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실려있다. 보물 제 52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20. 6. 8. [고려]담무갈 지장보살 현신도 담무갈 지장보살 현신도 노영 작, 고려시대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9. [고려]아미타 팔대 보살도 아미타 팔대 보살도 노영 작, 고려시대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9. [고려]사경화(寫經畵) 사경화(寫經畵) ★ 사경화(寫經畵) : 불교의 경전 내용을 그린 그림. 고려 시대에는 사경원에서 그리는 일이 성행하였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5. [고려]혜허의 관음보살도 혜허의 관음보살도 고려시대 일본 센소지 소장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7. [고려]미륵하생경변상도(부분) 미륵하생경변상도(부분) 충정왕 2년(1350) 비단 바탕에 채색 일본 신노원(親王院) 소장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