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예술25

[조선후기/문화예술] 증 번상촌장란(김정희) 증 번상촌장란(贈樊上村庄蘭)  ★ 증 번상촌장란(贈樊上村庄蘭) : 김정희가 제주도에서 유배 중에 멋 권돈인에게 그려준 묵란도(墨蘭圖)이다(1848). 번상촌장(樊上村庄)은 권동인의 별장이다. 권돈인은 이 그림을 몹시 마음에 들어했고, 시를 지어 그림 여백에 적었다. 2025. 2. 25.
[일제강점기/문화예술] 단성사 단성사 ★ 단성사(團成社) : 1907년 서울특별시 종로구 묘동에 세워진 한국 최초의 본격적인 상설 영화관. 일제강점기 동안 다양한 영화를 상영하였고, 연극 · 음악 · 무용 공연으로도 활용되었다. 일제강점기 말에는 으로 개칭하였다가 1945년 광복 후 다시 단성사로 바뀌어 악극을 공연하기도 하였으며, 오랫동안 영화를 상영하며 서울의 문화 중심지로 자리매김하였다. 2001년 옛건물이 철거되고 2005년 멀티플렉스로 재개관하였으나 경영악화로 부도처리되었으며, 현재 단성골드주얼리센터와 단성사영화역사관 등이 운영되고 있다. 2024. 3. 25.
[일제강점기/문화예술]정월 초하루 나들이(엘리자베스 키스) 정월 초하루 나들이 (엘리자베스 키스) ★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 : 동북아시아, 동아시아의 풍속을 소재로 다양한 목판화를 남긴 영국의 여성 판화작가. 한국의 풍속을 담은 작품을 여러편 제작하였다. 2023. 5. 10.
[일제강점기/문화예술]달빛아래 서울의 동대문(엘리자베스 키스, 1920년) 달빛아래 서울의 동대문 (엘리자베스 키스, 1920년) ★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 : 동북아시아, 동아시아의 풍속을 소재로 다양한 목판화를 남긴 영국의 여성 판화작가. 한국의 풍속을 담은 작품을 여러편 제작하였다. 2023. 5. 9.
[일제강점기/문화예술]금강산 절 부엌(엘리자베스 키스) 금강산 절 부엌 (엘리자베스 키스) ★ 엘리자베스 키스(Elizabeth Keith, 1887~1956) : 동북아시아, 동아시아의 풍속을 소재로 다양한 목판화를 남긴 영국의 여성 판화작가. 한국의 풍속을 담은 작품을 여러편 제작하였다. 2023. 5. 8.
[현대/문화예술] 조용필 조용필 ★ 조용필 (趙容弼, 1950년~) : 대한민국의 가수. 본관은 임천이다. 1969년 미8군 무대에서 활동을 시작했고, 1977년 로 정식 데뷔했다. 수많은 히트곡과 한국 내 최대 콘서트 인원 동원 기록, 예술의 전당 7년 연속 공연 기록을 가지고 있다. 특히 1980년대에 엄청난 인기를 누렸으며 열성적인 여성팬들로 인하여 ‘오빠부대’라는 용어가 만들어졌다. 대한민국의 가수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인물로 ‘가왕(哥王)’, ‘국민가수’ 등으로 불린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7.
[현대/문화예술]영화 <맨발의 청춘>의 한 장면 영화 의 한 장면 ★ 맨발의 청춘 : 1964년 개봉한 영화로 당시 청춘 스타였던 신성일과 엄앵란이 출연하였다. 사회적 계층이 다른 남녀가 만나 사랑하게 되지만, 결국 극복하지 못하고 동반 자살한다는 줄거리로, 개봉 당시에 크게 흥행하였다(10만명). 1960년대 청춘 영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당시의 청년 문화가 반영되었으며, 트위스트가 유행하는 등의 여러 가지 사회적 반향을 일으켰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6.
[현대/문화예술]제 1회 청룡 영화상 제 1회 청룡 영화상 ★ 청룡영화상(靑龍映畵賞, The Blue Dragon Award) : 대한민국의 영화를 대상으로 하는 영화상. 한국 영화의 진흥을 위하여 1963년 조선일보 주최로 시작되었다. 1973년 폐지되었으나, 1990년에 스포츠조선과 조선일보의 후원으로 부활하였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상당한 대표적인 영화상 중 하나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8. 31.
[현대/문화예술]한류의 확산 한류의 확산 ★ 한류(韓流, Korean Wave) : 대한민국의 대중문화를 포함한 한국과 관련된 것들이 대한민국 이외의 나라에서 인기를 얻는 현상으로, ‘한류’라는 말은 1990년대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초기에는 아시아 지역에서 인기가 있었으며, 점차 영역을 확장하여 현재(2020대)에는 아메리카와 서유럽까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8. 26.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삼천리 삼천리 ★ 삼천리(三千里) : 일제강점기의 잡지. 1929년 6월 조선 경성부(서울)에서 발행된 취미 · 시사 중심의 월간 종합잡지. 김동환, 김동인, 이광수, 정지용, 나혜석 등 당대의 걸출한 문인(文人)들이 필진으로 참여하였다. 정치, 사회, 취미, 역사, 시사 등 다양한 분야의 글을 소개하였으며, 은어와 비속어, 여성 운동, 조선의 독립운동에 대해서도 폭넓게 소개하였다. 1941년 폐간되었다가 이후 두 차례 복간되었다. 2021. 4. 7.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임자 없는 나룻배 임자 없는 나룻배 ★ 임자 없는 나룻배 : 1932년 흑백 35mm 필름으로 제작된 한국의 무성 영화. 각본·감독은 이규환, 나운규·문예봉(文藝峰)이 주연을 맡았다. 한국 근대 영화사의 수작으로 전형적인 권선징악을 탈피한 한국적 사실주의(리얼리즘)의 시초로 평가받는다. 2021. 4. 6.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이상 이상 ★ 이상(李箱, 1910~1937) : 일제 강점기의 시인, 작가,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근대 작가이자 아방가르드 문학가. 본명은 김해경(金海卿). 소설 , , 수필 , 시 , 등을 저술하였다. 1937년 폐결핵이 악화되어 사망하였다. 사후에 시대를 앞선 천재문학사로 평가받았으며 1977년부터 을 시상하고 있다. 2021. 3. 29.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아리랑(영화) 아리랑(영화) ★ 아리랑 : 1926년에 제작된 나운규의 영화 대표작. 나운규가 각본 · 감독 ․ 주연을 맡은 흑백 35밀리 무성 영화로, 당시 민족적 저항의식을 드러내어 전국적으로 흥행하였다. 현재 원본 필름은 찾을 수가 없다. 나운규의 은 모두 3부작 중 첫작품으로, 후편 와 3편 로 이어진다. 2021. 3. 17.
[일제강점기/문화와예술] <백조> 창간호 창간호 ★ 백조(白潮) : 1922년 1월 창간된 순수 문예지로 초기 낭만주의 문학운동의 중심적 구실을 하며 3호까지 발간되었다. 1923년 폐간하였다. 2021. 3. 11.
[조선후기/문화와예술] 혼례식(김홍도) 혼례식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10.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구룡 폭포(김홍도) 구룡 폭포  구룡폭포(김홍도) 구룡폭포(사진)  ★  김홍도(金弘道, 1745 ~ ?) : 조선 후기의 화가. 호 단원(檀園). 산수화, 풍속화에 뛰어났으나 고사인물화 및 신선도, 화조화, 불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창적인 회화를 구축하였다. 특히 서민들의 일상생활을 그린 풍속화가로 주목받고 있다.★ 구룡폭포(九龍瀑布) : 강원도 고성군 온정리에 있는 폭포. 중향폭포(衆香瀑布)라고도 한다. 설악산의 대승폭포, 개성의 박연폭포와 더불어 3대 폭포로 일컬어진다. 2020. 6. 7.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경작도(김홍도) 경작도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6.
[조선후기/문화와예술] 겨울채비(김홍도) 겨울채비(김홍도)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6.
[조선중기/문화와예술] 한석봉증류여장서첩 한석봉증류여장서첩  ★ 한석봉증류여장서첩(韓石峯贈柳汝章書帖) : 한호(韓濩, 1543∼1605)가 류여장에게 써준 서첩으로, 선조 29년(1596)에 당시 명필가인 한호가 친구 몇 사람과 베푼 연회석에서 이 글을 써서 기증한 것이다. 앞쪽에 칠언시 한 수가 쓰여있고, 이어 등왕각서>, 추풍사>, 춘야연도리원서>라는 세 편의 글이 쓰여있으며, 말미에 다섯 사람의 명단이 있다. 보물 제1078호.★ 한호(韓濩, 1543~1605) : 조선 중기의 문신·서예가. 호 석봉(石峯). 조선 전․중기를 대표하는 서예가이다. 2020. 5. 10.
[조선전기/문화와예술] 명종(明宗)의 글씨 명종(明宗)의 글씨  ★ 명종(明宗, 1534~1567, 재위 1545~1567) : 조선의 제13대 임금. 중종과 문정왕후의 아들로 12세에 이복형 인종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으며, 모후 문정왕후가 섭정하였다. 친정 후에는 외척에 정사가 좌우되어 정치가 혼란하였다. 후사가 없어 하성군(선조)를 후계로 지목하였다. 2020.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