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독립운동4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백범일지 백범일지 ★ 백범일지(白凡逸志) : 독립운동가인 백범 김구가 쓴 자서전. 친필본과 필사본 2종, 1947년에 공식적으로 출간된 국사원본(이광수 윤문)이 있다. 1994년 백범의 아들 김신이 친필 원본을 공개하였으며, 친필본은 보물 제 1245호로 지정되었다. 2021. 4. 4.
[일제강점기/여성운동]<근우> 창간호 창간호 ★ 근우회(槿友會) : 일제 강점기 중반에 조직된 여성 단체. 1927년 한국의 여성운동가들이 좌우를 초월하여 설립한 단체이며 신간회의 자매 단체였다. 김활란, 고황경, 박차정, 정칠성, 박순천 등이 주요 인물이었으며, 전국적 규모의 조직이었다. 근우회의 목표는 ‘여성의 지위 향상 도모’였고 봉건적 구습 타파 및 여성 파별 철폐, 여성 교육 등을 주장하였다. 1931년 신간회 일부 지부가 해소를 결의하고, 일제의 탄압과 여러 계열이 혼재된 구성 등으로 한계에 부딪혀 해체되었다. ★ 근우 : 1927년 조직된 여성 단체 의 기관지. 2021. 4.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 성진회 성진회 ★ 성진회(醒進會) : 1926년 전라남도 광주에서 조직되었던 항일학생운동단체로 비밀단체였다. 광주보통학교와 광주농업학교 학생들이 모여 조직하였으며, 한국의 독립과 민족 해방을 목표로 하였다. 1927년 조직의 비밀 누설을 염려하여 해체하였으나, 주요구성원을 중심으로 ‘독서회’로 재편되어 사회과학을 연구하였다. 1929년 일어난 광주학생항일운동의 전국적 확산의 기폭제가 된 2차 광주시위운동(1929년 11월 12일)을 주도하였다. 2021. 4.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피난선과 이삿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피난선과 이삿짐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만주사변(1932), 이봉창 의거와 윤봉길 의거(1932), 중일 전쟁(1937) 등으로 1932년부터 1940년 충칭에 정착할 때까지 여러 차례 본거지를 옮겼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 2021. 4. 1.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한국 광복군 편제 한국 광복군 편제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하여되었다.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13.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조선의용군의 이동 경로 조선의용군의 이동 경로 ★ 조선의용대(朝鮮義勇隊, Korean Volunteers Army) : 조선항일의용군(朝鮮抗日義勇隊), 국제여단(國際旅團)이라고도 불렀다. 대장 김원봉과 조선민족혁명당의 주도로 1938년 10월 10일 중국 후베이성 한커우(漢口, 현재 우한)에서 결성된 독립군이다. 조선민족전위동맹 산하의 단체로 분류된다. 중국 국민당의 지원을 받아 중국 본토에서 일본군과 싸웠으며, 게릴라전과 선전업무를 맡기도 했다. 1941년 의용대 일부가 화북으로 이동하여 분열되자 조선의용군(朝鮮義勇軍)으로 개칭하였으며, 1942년 김원봉이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 참여하자 의용대의 일부는 광복군 제1지대로 편입되었고, 김원봉은 군무부장에 취임했다. 2021. 3. 13.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 : 1907년(융희 원년) 대한제국을 점령한 한국통감부가 서울에 건설한 형무소. 수많은 의병과 독립운동가들이 이곳에서 투옥되어 옥고를 치르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으며, 수감자가 3,000여명에 달하기도 하였다. 광복 후에도 구치소와 교도소로 이용되었는데, 군사독재 시절에는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이들이 수감되기도 했다. 1987년 교도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고 옥사(獄舍)와 건물을 보존하고 주변을 공원으로 조성하여 1992년 으로 개원하였으며, 이후 복원을 거쳐 사적으로 지정하고 1998년 으로 개관하였다. 사적 제 324호. 2021. 3. 11.
[일제강점기/독립운동] 3부의 통합 3부의 통합 2021. 3. 10.
[일제강점기/해외독립운동] 국외의 독립운동 단체 국외의 독립운동 단체 2021. 3.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의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의 활동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통합하여 상하이에서 단일 정부를 수립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임시 헌법을 제정하여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하고 정치 체제는 '민주공화국'으로 하였으며, 대통령제를 도입하고 입법·.. 2021. 3.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大韓民國臨時議政院, 1919~1946)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회이며 임시정부의 입법부의 역할을 맡았다. 임시의정원은 대한민국 임시헌법 상 한국 국민을 대표하는 단체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구성된다. 의회 구성은 각 도별 대표와 비례대표가 있었고, 의정원의 구성형태는단원제 의회였다. 2021. 3. 2.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사격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사격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하여되었다.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이레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2. 27.
[일제강점기/독립운동]혁신공보 혁신공보 ★ 혁신공보(革新公報) : 일제강점기의 항일비밀결사조직 의 기관지 2021. 2. 2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익상 김익상 ★ 김익상(金益相, 1895~1943) : 한국의 독립운동가. 평양의 숭실학교를 졸업한 후 교직에 종사하던 중, 1920년 중국의 펑톈(奉天)지점으로 전근갔다가 독립운동에 뜻을 두고 의열단에 가입하였다.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 암살을 계획하고 폭탄과 권총을 휴대하고 서울에 잠입하여 1921년 조선총독부 청사 비서실에 폭탄을 던졌으나 암살은 실패하고, 베이징으로 망명하였다. 1922년 중국에 시찰온 일본 육군대장 다나카 기이치(田中義一)를 암살하고자 동료들과 권총으로 사격하고 폭탄을 던졌으나 실패하여 체포되었다. 일본 나가사키로 호송되어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무기징역으로 감형되어 20년 복역한 뒤 1943년 출소, 귀국하였으나 다시 궐석재판에서 사형을 언도받고 처형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 2021. 2. 3.
[일제강점기/독립운동]민족 유일당 운동 포스터 민족 유일당 운동 포스터 ★ 민족 유일당 운동(民族唯一黨運動) : 1920년대 후반에 전개된 좌우 세력을 망라한 민족 단일 정당 건설 운동. 넓은 의미로는 중국 관내에서 추진된 민족 유일당 운동과 만주의 3부 통합 운동, 국내의 신간회 결성 같은 민족 협동 전선 운동을 아우르며, 좁은 의미로는 중국 관내와 만주 지역에서 진행된 국외의 민족 유일당 운동을 지칭한다. 2020. 12. 21.
[일제강점기/시위운동]이광춘과 박기옥 이광춘과 박기옥 ★ 이광춘과 박기옥 : 1929년 당시 광주여자고등학교 여학생으로 나주역에서 일본인 중학생에서 희롱을 당하였다. 이 일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발발하였다. ★ 광주 학생 항일 운동(광주 학생 독립 운동) : 1929년 11월 3일부터 광주 시내에서 일본 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자 일어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을 계기로 광주지역 학생의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11월 12일). 시위는 호남 일대로 확산되고 서울을 거쳐 11월 말 쯤에는 전국 각지로, 12월에는 간도(만주) 등지로 퍼져나갔다. 이 운동은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인 동맹휴학, 학생 항일 시위로 변모, 발전했다. 2020. 12. 20.
[일제강점기/시위운동]광주학생항일운동 기념탑 광주학생항일운동 기념탑 ★ 광주 학생 항일 운동(광주 학생 독립 운동) : 1929년 11월 3일부터 광주 시내에서 일본 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자 일어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을 계기로 광주지역 학생의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11월 12일). 시위는 호남 일대로 확산되고 서울을 거쳐 11월 말 쯤에는 전국 각지로, 12월에는 간도(만주) 등지로 퍼져나갔다. 이 운동은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인 동맹휴학, 학생 항일 시위로 변모, 발전했다. 2020. 12. 20.
[일제강점기/대한제국및황실]순종의 장례 순종의 장례 ★ 순종(純宗, 1874~1926) : 대한제국 제2대 황제이자 한국사의 마지막 황제. 고종과 명성황후의 아들이며, 고종의 장성한 자녀 중 유일한 적자이다. 대한제국이 병합된 이후에는 사실상 일본 천황의 신하로서 왕공족 중 이왕가의 수장인 이왕(李王)으로 불렸다. 순종의 장례식에 6.10 만세운동이 일어났으며, 3.1 운동만큼 확산되지는 못했지만 민족주의 계파와 사회주의 계파가 합작한 신간회가 결성되는 계기가 되었다. 2020. 12. 19.
[일제강점기/시위운동]6·10 만세 운동 6·10 만세 운동 ★ 6·10 만세 운동(六十萬歲運動) : 일제 강점기 한국에서 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독립운동으로 3·1 운동을 잇는 전국적·전민중적인 항일운동이다. 순종의 인산일(因山日)에 상여가 지나갈 때 격문을 뿌리고 만세를 불러 시민들이 호응하여 대규모 시위로 확대되었으나, 조직 사이의 유대 결여 및 사회주의 게열의 사전 체포 등으로 일본 경찰에 제지당하여 실패하였지만,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1927년 여러 사회 단체 결성과 광주학생항일운동(1929)에 영향을 주었다. 2020. 12.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