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한민국임시정부35

[현대/광복~정부수립]김구와 이승만 김구와 이승만 (1946년, 창덕궁) ★ 김구(金九, 1876~1949)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정치인, 대한민국 정치인, 남북통일 활동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내무부위원, 경무국장, 주석 등을 지냈으며, 항일비밀결사인 한인애국단을 이끌었고 한국 광복군을 조직하였다. 광복 후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을 주도하였으며, 임정 법통 운동을 추진하였다. 분단을 막기 위해 남북협상에 참여하는 등(1948) 노력하였으나, 분단을 막지 못했다. 1949년 6월 26일 안두희의 총격에 서거하였다. ★ 이승만(李承晩, 1875 ~ 1965) : 조선·대한제국·일제 강점기의 개화파·독립운동가·언론인·정치인·교육자,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초대 대통령이자 마지막 주석, 대한민국의 제1~3대 대통령. 일제강점기에 한성정부 집.. 2021. 6. 11.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백범일지 백범일지 ★ 백범일지(白凡逸志) : 독립운동가인 백범 김구가 쓴 자서전. 친필본과 필사본 2종, 1947년에 공식적으로 출간된 국사원본(이광수 윤문)이 있다. 1994년 백범의 아들 김신이 친필 원본을 공개하였으며, 친필본은 보물 제 1245호로 지정되었다. 2021. 4.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한중호조사의 임시정부 대표들 한중호조사의 임시정부 대표들 ★ 한중호조사(韓中互助社) : 1921년 중국 각지에서 한국 독립운동가들과 중국의 민간인들이 한중친선과 한국독립 지원, 반제국주의 활동 등을 목적으로 결성한 민간단체. 2021. 4.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피난선과 이삿짐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피난선과 이삿짐 ★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만주사변(1932), 이봉창 의거와 윤봉길 의거(1932), 중일 전쟁(1937) 등으로 1932년부터 1940년 충칭에 정착할 때까지 여러 차례 본거지를 옮겼다.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 2021. 4. 1.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설립 기념식 한국 광복군 총사령부 설립 기념식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여운형 여운형 ★ 여운형(呂運亨, 1886~1947)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저술가. 한말에 교육 운동을 하다가 1907년부터 독립운동에 투신하여 신한청년당 당수로 활동하고 3.1 운동 기획을 주도하였으며, 김규식 등을 파리 강화회의에 파견하기도 했다. 중국 국민당에 가담해 중국 혁명 운동과 반제국주의 운동을 하였으며, 1929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국내로 송환된 후에는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944년부터는 비밀 지하 독립 운동 단체인 건국동맹과 농민동맹을 결성하였고, 광복 후 건국준비위원회와 조선인민공화국을 결성하여 혼란 수습와 치안 유지 활동을 하였다. 1946년부터는 통일 임시 정부 수립을 위해 좌우 합작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이를 반대하는 좌·우익 양측으로부터 테러를 여러 당했으며, 1947년 암.. 2021. 3. 27.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한국 광복군 병사들 한국 광복군 병사들 노능서(왼쪽), 김준엽(가운데), 장준하(오른쪽)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2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원봉 김원봉 ★ 김원봉(金元鳳, 1898~1958) : 한국의독립운동가로 일제 강점기의 의열단장. 1919년 아나키즘 단체인 의열단(義烈團)을 결성하였으며, 황푸 군관학교를 거쳐 조선의용대를 조직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의임시의정원 의원, 한국광복군 부사령관 겸 제1지대장, 1944년 임시정부 군무부장 등을 역임하였다. 광복 후, 1948년 김구 등과 함께 남북협상에 참여한 뒤에 북한에 남아 여러 요직을 섭렵하였다. 이후 김일성과의 정치 암투에서 패배하여 숙청되었으며, 정치범 수용소에서 자살하였다고 전해진다. 경상남도 밀양에 의열 기념관이있다. 2021. 3. 25.
[일제강점기/사상과학문] 조선상고사 조선상고사 ★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 : 신채호가 저술한 한국 상고사에 관한 역사서. 총론은 1924년에 완성되었으며, 1930년의 발간에 이어 1931년부터 조선일보에 연재되었다. 그 내용이 불완전하여 연재를 중지하고 수정하여 발표할 계획이었으나 건강 악화로 실현되지 못했다. 연재는 계속되어 신채호 사후인 1948년에 총 12편의 단행본으로 종로서원에서 출간되었다. 2021. 3. 16.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한국 광복군 편제 한국 광복군 편제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하여되었다.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13.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신흥무관학교의 영농 작업 신흥무관학교의 영농 작업 ★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 1911년 서간도(길림성 통화시 류하현)에서 개교한 독립군 양성 기관. 현 경희대학교(慶熙大學校)의 전신. 신흥무관학교의 졸업생들은 서로군정서 의용대, 조선혁명군, 대한독립군,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 광복군 등에 참여해 무장 독립운동의 한 축을 차지하며 민족 해방에 크게 기여했다. 2021. 3. 13.
[일제강점기/독립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의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의 활동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통합하여 상하이에서 단일 정부를 수립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임시 헌법을 제정하여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하고 정치 체제는 '민주공화국'으로 하였으며, 대통령제를 도입하고 입법·.. 2021. 3.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大韓民國臨時議政院, 1919~1946)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회이며 임시정부의 입법부의 역할을 맡았다. 임시의정원은 대한민국 임시헌법 상 한국 국민을 대표하는 단체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구성된다. 의회 구성은 각 도별 대표와 비례대표가 있었고, 의정원의 구성형태는단원제 의회였다. 2021. 3. 2.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사격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사격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하여되었다.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이레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2. 27.
[근대/독립운동가] 안창호 안창호 ★ 안창호(安昌浩, 1878~1938) : 대한제국의 교육개혁운동가 겸 애국계몽운동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교육자, 정치가. 독립협회에서 활동하였으며, 해산 후 교육운동을 하였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한인 사회의 지도자로 활동하였으며,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여 독립 운동을 하였다. 특히 교육과 실력 양성 운동을 활발히 하여 점진학교, 대성학교, 동명학원을 설립하였다. 1932년 윤봉길의 훙커우 공원 의거 이후 일본 영사관 경찰의 불심검문에 체포되어 송환,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되어 형문을 받고 출옥 직후 고문 후유증과 여러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다. 2021. 2. 4.
[근대/독립운동가]신채호 신채호 ★ 신채호(申采浩, 1880~1936)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민족주의 사학자. 한말부터 언론과 계몽운동을 하다 가 중국으로 망명하여 19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참여하였으나 김구와 공산주의에 대한 견해 차이로 임정을 탈퇴, 국민대표자회의 소집과 무정부주의 단체에 가담하여 활동하며 역사 연구를 하였다. 1936년 뤼순 감옥에서 병으로 순국하였다. 저서로 , 등이 있다. 2021. 1. 2.
[근대/독립운동가] 박은식 박은식 ★ 박은식(朴殷植, 1859~1925) : 일제 강점기의 민족주의 역사학자, 언론인, 독립운동가, 교육자, 애국계몽운동가, 정치가. 개화기에 독립협회 활동을 하고, 을 창간하였으며, 의 주필로도 활동하였다. 대한제국이 멸망하자 중국으로 망명하여 , 등의 한국사 서적을 집필하여 출간하였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1919) 국무총리, 2대 대통령 등을 역임하였다. 1925년 병사하였다. 2021. 1. 2.
[근대/독립운동가] 이동휘 이동휘 ★ 이동휘(李東輝, 1873~1935) : 대한제국의 군인이자 정치가, 일제 강점기의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 대한제국의 육군 장교 출신으로 애국계몽운동과 의병 운동을 하였으며,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민족주의 계열과의 갈등으로 임시정부를 떠나(1921) 러시아에서 활동하다 병사하였다. 2021. 1. 1.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김두봉 김두봉 ★ 김두봉(金枓奉, 1889~1961?)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 한글학자. 공산주의자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정치인. 주시경의 수제자로 한글 연구에 큰 업적을 남겼다. 일제강점기 중국으로 망명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에서 잠시 활동하였고, 이후 무장독립투쟁을 전개하였다. 광복 후 월북하여 남북협상에 참여하고 북한 인민위원회 상임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김일성과의 권력투쟁에 패하여 숙청된 것으로 추정되며, 사망 시점은 미상이다. 2020.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