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1809 [조선후기/문화와예술]매화병제도(정약용) 매화병제도 ★ 매화병제도(梅花屛題圖) : 정약용이 강진에 유배되었을 때 그린 그림과 시로, 부인의 보낸 치마를 잘라 자식들에게 보내기 위해 그렸다. ★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저술가·시인·철학자·과학자·공학자이다. 중농학파(경세치용학파) 실학자로 실학을 집대성하였으며, 거중기를 만드는 등 과학에도 뛰어났다. 토지를 공동 소유하고 이를 공동경작, 공동 분배하자는 여전론을 주장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2. [조선후기/문화와예술]묵란(조희룡) 묵란 ★ 조희룡(趙熙龍, 1789~1866) : 조선 후기의 화가. 벽오시사(碧梧詩社)를 결성하고(1847)했으며, 헌종의 명으로 금강산을 유람한 뒤 이를 소재로 시를 지어 바쳤다(1849). 조정의 전례 문제에 개입했다는 이유로 임자도로 유배되기도 했다(1851~53). 서예, 그림에 모두 능했는데, 특히 서예에서는 추사체를 잘 썼으며, 그림에서는 난초와 매화를 잘 그렸다. 저서로 , 등이 있으며, 작품으로 , 등이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2. [세계지리/냉대기후]냉대습윤기후와 냉대동계소우기후 냉대습윤기후와 냉대동계소우기후 ★ 냉대 습윤 기후(冷帶濕潤氣候) : 쾨펜의 구분에서 냉대 기후에 속하며, 기호는 Df이다. 침엽수림인 타이가 숲과 회백색의 포드졸 토양이 나타난다. 겨울철에도 온대저기압의 영향을 받아 대륙 서안에서 중앙에 이르기까지 눈이 많이 내리며 연중 강우량이 고르다. 여름은 짧고 겨울은 길며, 호밀, 귀리 등 일부 작물의 재배가 가능하고 임업이 발달하였다. 북반구 고위도 지역에 분포한다. ★ 냉대 동계 소우 기후(冷带冬季少雨氣候) : 쾨펜의 기후 구분에서 냉대 기후에 속하며, 기호는 Dwa, Dwb, Dwc, Dwd이다. 여름에는 온도가 비교적 높고, 겨울에는 맑은 날씨가 지속된다. 기온의 연교차가 매우 크며 대륙성 기후가 짙게 나타난다. 북부에는 침엽수 타이가가, 남부에는 혼합림이.. 2020. 6. 11. [중국사/근대]위안스카이 위안스카이 ★ 위안스카이(袁世凱, 1859~1916) : 중국 청나라 말기의 무관(武官), 군인이며 중화민국 초기의 정치가이자 중화제국의 황제. 임오군란을 계기로 조선에 파견되었고 갑신정변에도 개입하여 조선에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청일전쟁 직전 귀국하여 북양군을 신식화에 기여하였다. 19세기말 변법자강 운동에 찬성하는 듯한 입장을 보이다가 이를 배신하고 변법자강 운동을 좌절시키고, 서태후의 신임을 얻었다.의화단 진압에도 큰 공을 세우며 출세가도를 달렸으나 서태후 사망 이후 잠시 권력에서 물러났다. 신해혁명이 발생하자 다시 군권을 장악하였고 청 황실에 영향력을 행사하였고, 손문과 타협하여 청나라를 무너뜨리고 중화민국의 대총통으로 취임하였다. 그 후 독재를 강화하여 황제체제로의 회귀를 선언하였으나 3개월 만.. 2020. 6. 11. [한국지리/인구/저출산고령화]세계 고령 인구 비율 세계 고령 인구 비율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1. [한국지리/인구]인구 밀도 인구 밀도 ★ 인구 밀도(人口密度) : 단위 면적당 인구수를 나타내는 지표. 인구 분포의 밀집정도를 파악하는 가장 간편하면서도 효과적인 방법으로 자주 이용되고 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1. [세계지리/기후]냉대 기후와 한대 기후 냉대 기후와 한대 기후 ★ 냉대 기후(冷帶氣候) : 중위도 지역 북부와 고위도 지역에서 발달하는 기후. 최한월 평균 기온이 -3℃ 미만, 최난월 평균 기온 10℃ 이상으로 기온의 연교차가 크다. 아한대 기후(亞寒帶氣候)라고도 한다. 냉대 습윤 기후, 냉대 동계 소우 기후, 고지 지중해성 기후 등으로 구분한다. ★ 한대 기후(寒帶氣候) : 최난월 평균 기온 10℃ 미만, 강수량이 증발량보다 크며 무수목 기후이다. 빙설기후와 툰드라 기후로 구분된다. 빙설기후는 최난월 평균기온이 0도 미만이며 1년 내내 만년설로 덮여 있다. 툰드라 기후는 짧은 여름 동안에만 기온이 0도 이상으로 올라가 짧은 이끼류가 자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0. [중국사/근대]이홍장 이홍장 ★ 이홍장(李鴻章, 1823~1901) : 청 말기의 한족계 거물급 중신 정치가. 청의 부국강병을 위한 양무운동 등을 주도하였다. 태평천국의 난 이후 정계의 실력자로 등장하였으나, 청일 전쟁을 계기로 실각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0. [한국지리/인구]농촌의 빈집 농촌의 빈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0. [한국지리/인구]촌락의 인구 감소 촌락의 인구 감소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10. [중국사/근대]선통제(푸이) 선통제(푸이) ★ 선통제(宣統帝, 1906~1967, 재위 1908~1912, 황제 칭호는 1924년까지 유지) : 아이신 교로 푸이. 청의 마지막 황제이자 만주국의 집정 및 황제(재위 1932~1934, 1934~1945). 2세의 나이로 청나라 황제에 올랐으나 위안스카이와 쑨원과의 협약에 따라 이내 퇴위하였다. 청의 황제 대우를 받지만 자금성 내에서만 한정되었다. 펑위샹의 쿠데타로 인해 자금성에서 쫓겨났다가 일본의 도움으로 만주국의 황제에 오르지만 일본의 괴뢰국가로 황제로서의 실권은 거의 보장되지 않았다. 일본의 패전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포로로 잡혀 수용 생활 이후 인민정치협상회의의 전국위원을 지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9. [한국지리/인구]농촌의 일손 부족 농촌의 일손 부족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9. [한국지리/인구]농촌의 고령화 농촌의 고령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9.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송석원시사야연도(김홍도) 송석원 시사 야연도 ★ 송석원시사야연도(松石園詩社夜宴圖, 부분) : 조선 후기 시(詩)를 즐기는 문학 동호회 ‘송석원 시사’의 모임을 그린 작품이다. 김홍도, 조선후기.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2020. 6. 9. [중국사/근대]서태후 서태후 ★ 서태후(西太后, 1835~1908) : 청 말기의 독재 권력자이자 함풍제의 세 번째 황후이며 섭정 황태비. 일명 자희태후(慈禧太后). 동치제의 생모이자 광서제의 이모로서 47년에 걸쳐 정치의 실권을 쥐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8. [한국지리/인구]시도별 인구 순이동 수 시도별 인구 순이동 수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8. [한국지리/인구]부천 상동의 인구(2010) 부천 상동의 인구(2010)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8. [한국지리/인구]1960년대 서울의 인구 변화 1960년대 서울의 인구 변화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7. [한국지리/인구]가족 구성원의 추이와 평균 가구원 수 가족 구성원의 추이와 평균 가구원 수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7. [중국사/근대]광서제(光緖帝) 광서제(光緖帝) ★ 광서제(光緖帝, 1871~1908, 재위 1874~1908). 청나라의 제11대 황제. 묘호는 덕종(德宗). 청나라 역사상 최초의 방계 혈통 출신 황제이다. 서태후의 지원으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였다. 적모(嫡母) 동태후와 이모이자 서백모(庶伯母)인 서태후가 섭정을 하였다(동태후 1874~1881 서태후 1881~1889). 친정을 하는 동안(1889~1898) 캉유웨이(康有爲)의 변법자강운동(變法自強 運動)을 일부 수용하여 개혁을 시도하였으나 서태후와 보수 세력이 일으킨 정변으로 실권을 빼앗기고 유폐되었다. 이후 서태후의 섭정이 부활하였고 광서제는 사망할 때까지 허수아비 임금으로 지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6.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