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신1809

[근대/열강의침략]어재연 장군기 어재연 장군기 ★ 어재연 장군기 : 1871년 신미양요 때 강화도를 수비하던 조선군 지휘관이었던 어재연 장군이 사용한 군기. 미군이 전리품으로 강탈한 후 미국 아나폴리스의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었으나, 현재 반환되어 강화박물관에서 전시되고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3.
[세계지리/기후환경]기후 변화 지도 기후 변화 지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2.
[근대/열강의침략]신미양요 신미양요 ★ 신미양요(辛未洋擾) : 고종 8년(1871)에 발생한 조선과 미국 간 전쟁. 미군은 제너럴 셔먼 호 사건의 책임과 통상 교섭을 명분으로 조선의 주요 수로였던 강화도와 김포 사이의 강화해협을 거슬러 올라왔고 조선 측의 거부를 무시하고 무력으로 탐침을 시도하여 교전이 일어났다. 3일간의 교전 결과 조선은 광성보가 함락되고 순무중군 어재연을 비롯한 수비 병력 대다수가 사망하였다. 미해군은 20일간 통상을 요구하며 주둔하였으나 조선의 완강한 쇄국 정책으로 아무런 협상을 하지 못하고 철수하였다. 신미양요 이후 조선은 척화비를 세우고 쇄국 정책을 강화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2.
[근대/열강의침략]모노캐시 호 모노캐시 호 ★ 모노캐시호 : 신미양요 때(1871) 조선 침략에 사용된 미국 군함 중 하나.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1.
[세계지리/열대기후지역]열대의 이동식 농업 [세계지리/열대기후] 열대의 이동식 농업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0.
[근대/사회와문화]이양선 이양선 ★ 이양선(異樣船) : 조선 후기에 조선 연안 지역에 출몰했던 정체불명의 배들을 가리키는 표현. 모양이 동양 세계의 배와 달리 특이한 모양이다 하여 이양선이란 이름이 붙었으며 황당선(荒唐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처음에는 종류와 국적에 상관없이 낯선 배를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되었으나 점차 유럽을 비롯한 서양의 함선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6.
[근대/인물]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1~1898) :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대한제국의 추존왕. 아들인 고종 즉위 후(1864) 섭정으로 국정을 이끌었고, 과감한 내정 개혁으로 전제 왕권 강화와 세도정치 철폐, 기득권 제한을 이루어 민중들의 지지를 받았다. 대외적으로 쇄국정책을 추진하고 천주교를 탄압하였다. 실각 후 재집권을 위한 시도를 여러 번 하였고, 임오군란(1882)때 청으로 납치되기도 하였다.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5.
[근대/대한제국및황실]덕수궁 배치도 덕수궁 배치도 ★ 덕수궁(德壽宮) :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다. 1907년(순종 1) 순종 즉위 후 궁호가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개명되었다. 1611년 ~ 1615년에는 조선의 정궁이었고 1897년 ~ 1907년에는 대한제국의 황궁이었다. 원래는 월산대군의 사저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선조가 임시로 거처로 쓰면서 궁이 되었다. 광해군이과 인조가 이곳에서 즉위하였고,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였다. 1897년(고종 34)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이 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궁궐다운 전각들을 갖추게 되었다. 1904년 큰 화재로 전각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나 여러 전각을 중건하였다. 원래의 면적은 현재보다 넓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축소되었다. 사적 .. 2020. 7. 4.
[근대/경제]맹인 점집 광고 맹인 점집 광고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4.
[근대/대한제국및황실]덕수궁 중화전 덕수궁 중화전 ★ 덕수궁 중화전(德壽宮 中和殿) : 덕수궁의 정전(正殿). 1902년 지었으나, 1904년 화재로 다시 지었다. 돌마당에는 문무백관의 지위와 위치를 나타낸 품계석이 세워져 있다. 원래 중화전 주변으로 회랑이 있었으나 일제강점기 때 철거되었으며, 현재 중화문 동쪽에 일부가 남아 있다. 보물 819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3.
[조선후기/문화와예술]회혼례(평생도) 회혼례(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
[조선후기/문화와예술]회갑(평생도) 회갑(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
[조선후기/문화와예술]지사(평생도) 지사(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
[조선후기/문화와예술]판서 승진(평생도) 판서 승진(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0.
[조선후기/문화와예술]삼일유가(평생도) 삼일유가(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0.
[조선후기/문화와예술]혼례(평생도) 혼례(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30.
[조선후기/문화와예술]서당(평생도) 서당(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9.
[조선후기/문화와예술]돌잔치(평생도) 돌잔치(평생도)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9.
[조선후기/문화와예술]회혼례도(풍속화) 회혼례도 조선 후기 ★ 회혼례(回婚禮) : 혼례 60년을 축하하는 기념 잔치.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9.
[조선후기/문화와예술]과거합격 행차(평생도) 과거합격 행차(평생도) 조선 후기 ★ 평생도(平生圖) : 사람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기념이 될 만한 경사스러운 일들을 골라 그린 풍속화. 병풍 그림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