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117 [기후환경/지구온난화] 한반도 주변 해역의 어종 분포 변화 한반도 주변 해역의 어종 분포 변화 지구온난화로 한반도 주변 해역의 수온이 상승하여 어종 분포가 변화하고 있다. ★ 지구온난화(地球溫暖化, Global Warming) : 지구의 대기권의 기온이 증가하는 현상. 산업화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주된 원인이며, 이것으로 인하여 평균 기온 상승, 집중호우, 산불, 태풍 등의 자연재해 증가, 수온 상승으로 해수면 상승 등의 각종 자연재해가 일어나고 있다. 2025. 3. 29. [기후환경/환경문제] 동아시아의 황사 동아시아의 황사 ★ 황사(黃沙/黃砂, yellow dust, yellow sand, yellow wind, China dust storms, Asian dust) : 주로 봄철에 중국이나 몽골의 사막에 있는 모래와 먼지가 상승하여 편서풍을 타고 멀리 날아가 서서히 가라앉는 현상. 과거에는 토우(土雨), 흙비라고도 했다. 최근에는 발생 기간이 길어지고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피해가 커지고 있으며, 중국, 대한민국, 일본이 피해를 입고 있다. 2025. 3. 12. [기후환경/환경문제] 황사 발원지와 이동경로 황사 발원지와 이동경로 ★ 황사(黃沙/黃砂, yellow dust, yellow sand, yellow wind, China dust storms, Asian dust) : 주로 봄철에 중국이나 몽골의 사막에 있는 모래와 먼지가 상승하여 편서풍을 타고 멀리 날아가 서서히 가라앉는 현상. 과거에는 토우(土雨), 흙비라고도 했다. 최근에는 발생 기간이 길어지고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피해가 커지고 있으며, 중국, 대한민국, 일본이 피해를 입고 있다. 2025. 3. 11. [기후/계절변화] 2월의 한파(2012년 2월) 2월의 한파(2012년 2월) 2025. 2. 9. [기후/주거] 제주도의 전통 가옥 구조 제주도의 전통 가옥 구조 일자형 겹집, 낮은 지붕강한 바람에 지붕이 날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 지붕 전체를 새끼줄로 엮고 돌을 달아서 처마밑까지 늘어뜨림강한 바람을 막기 위한 높은 돌담온화한 기후로 난방과 취사 분리 2025. 1. 27. [북방] 북방민족의 중국 지배와 기온 변화 북방민족의 중국 지배와 기온 변화 2023. 2. 4. [현대/2000년대]태풍 매미로 부서진 부산항의 크레인 태풍 매미로 부서진 부산항의 크레인 ★ 매미(태풍) : 2003년 9월 12일 한반도에 상륙해 경상도를 중심으로 막대한 피해를 일으킨 태풍.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8. 14. [기후/계절/여름] 수상스키 수상스키 ★ 수상스키(Waterskiing) : 모터보트 등에 손잡이(핸들)가 달린 밧줄을 설치하여 그것을 배 뒤에서 잡은 사람이 판 모양의 활주 기구를 타고 끌면서 수면을 타는 해양 스포츠. 하천과 바다에서 할 수 있으며, 온대 기후인 한국에서는 여름에 즐기는 스포츠이다. 2020. 9. 24. [세계지리/기후]지구의 해류 [세계지리/기후] 지구의 해류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30. [세계지리/기후]해풍과 육풍 해풍과 육풍 ★ 해륙풍(海陸風, Sea and Land Breeze) : 해안 지방이나 큰 호수와 만나고 있는 지방에서 부는 바람이다. 낮에는 바다나 호수에서 육지로 해풍이 불고, 밤에는 육지에서 바다나 호수 쪽으로 육풍이 분다. 풍속의 차이를 보면 낮에 바다와 육지의 기온 차가 크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해풍이 육풍보다 풍속이 세다. 해풍은 '해양풍'이라고 하기도 하며, 육풍은 '대륙풍'이라고 하기도 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9. [세계지리/기후환경]세계의 자연 재해 세계의 자연 재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6. [세계지리/기후환경]북극권의 빙하 감소 북극권의 빙하 감소 ★ 지구 온난화(地球溫暖化,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 19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전 세계적인 바다와 지표 부근 공기의 기온 상승.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90% 이상의 온실 기체 농도의 증가와 화석 연료의 사용과 같은 인간의 활동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추측한다. 지구 온난화로 기온 상승, 해수면 상승, 강수량과 패턴의 변화, 아열대 사막 확장, 빙하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나며, 이것은 각종 기상 이변과 자연 재해를 유발한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1. [세계지리/기후환경]사막화의 원인 [세계지리/기후환경] 사막화의 원인 ★ 사막화(沙漠化, Desertification) : 기상 변화로 인하여 수목이 말라죽고 건조한 나대지 출현 현상. 자연적인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지나친 벌채나 방화 및 경지 확대 등의 인위적 요인으로 일어난다. 아마존강 상류 지역,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의 확장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8. [세계지리/기후환경]사하라 사막의 확장 [세계지리/기후환경] 사하라 사막의 확장 ★ 사막화(沙漠化, Desertification) : 기상 변화로 인하여 수목이 말라죽고 건조한 나대지 출현 현상. 자연적인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지나친 벌채나 방화 및 경지 확대 등의 인위적 요인으로 일어난다. 아마존강 상류 지역,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의 확장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7. [세계지리/기후환경]세계 기상 피해 추이 세계 기상 피해 추이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5. [세계지리/기후환경]기후 변화 위험 지도 기후 변화 위험 지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3. [세계지리/기후환경]기후 변화 지도 기후 변화 지도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2. [세계지리/기후]유럽의 빙하기 유럽의 빙하기 ★ 빙하기(氷河期, ice age) : 지구의 기온이 오랜 시간 동안 하강하여 남북 양극과 대륙, 산 위의 얼음층이 확장되는 시기. 오랫동안 빙기와 간빙기(間氷期, interglacial period)를 반복하였는데 마지막 빙하기는 10000년 전에 종료되었다고 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4. [세계지리/기후]마지막 빙하기 마지막 빙하기 ★ 빙하기(氷河期, ice age) : 지구의 기온이 오랜 시간 동안 하강하여 남북 양극과 대륙, 산 위의 얼음층이 확장되는 시기. 오랫동안 빙기와 간빙기(間氷期, interglacial period)를 반복하였는데 마지막 빙하기는 10000년 전에 종료되었다고 본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3. [세계지리/기후]남반구의 겨울 남반구의 겨울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6. 22. 이전 1 2 3 4 ···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