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대27

[근대]1차대전 전후의 아프리카의 민족운동 1차대전 전후의 아프리카의 민족운동 2023. 7. 27.
[근대]19세기 전후의 아프리카의 민족운동(1881~1906) 19세기 전후의 아프리카의 민족운동(1881~1906) 2023. 7. 26.
서구열강의 아시아 침략 서구열강의 아시아 침략 2023. 2. 5.
[개화기/열강의침략]청일전쟁 중 종로를 행군하는 일본군 청일전쟁 중 종로를 행군하는 일본군 ★ 청일 전쟁(淸日戰爭) : 청나라와 일본이 조선의 지배권을 놓고 1894년 7월 25일부터 1895년 4월까지 벌인 전쟁. 전쟁은 일본이 승리하였고 청 ․ 일 양국은 심모노세키 조약을 체결하였다. 청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상실하고 일본은 더욱 노골적으로 조선 침략을 추진하였다. 또한, 일본에 배상금 2억 냥(兩)을 지불하였고, 랴오둥 반도·타이완, 펑후 제도 등을 할양 및 일본에 할양 및 통상상의 특권을 부여하였다. 2021. 4. 10.
[개화기]개항 이후의 인천 개항 이후의 인천 2020. 9. 19.
[개화기/사회와문화]재판하는 수령 재판하는 수령 2020. 8. 26.
[근대/건축] 명동성당 명동성당 ★ 명동성당(明洞聖堂)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가에 있는 천주교 서울대교구의 대성당이다.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지어진 대규모의 고딕 양식 천주교 성당이자, 한국 최초의 본당(사제가 상주하며 사목하는 성당)이다. 대한민국의 사적 제258호. 2020. 8. 24.
[근대/정변및사건] 갑신정변의 주역들 갑신정변의 주역들 왼쪽부터 박영효, 서광법, 서재필, 김옥균 ★ 갑신정변(甲申政變) : 1884년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김옥균·박영효·서재필·서광범·홍영식 등 개화당이 청나라에 의존하려는 척족 중심의 수구당을 몰아내고 개화정권을 수립하려 한 무력 정변. 개화당은 우정국 낙성식 때 정변을 일으키고 14개조 개혁안을 발표하였다. 민씨 정권은 청의 위안스카이에게 구원을 요청하여 청 군대를 불러들였고, 일본에 의존한 개화당의 정변은 민중의 지지를 받지 못하여 실패하고 말았다. 이후 조선을 일본과 한성 조약을 체결하고, 청 ․ 일은 텐진조약을 체결하고 조선에서 철수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20.
[근대/개화파] 김익남 김익남 ★ 김익남(金益南, 1870~1937) : 대한제국의 군인, 군의관, 일제 강점기 때의 의사. 한국 초기의 양의사들 중의 한명이며 일본에서 의학을 배워 조선에서 의술을 펼친 최초의 근대 의사. 1902년 대한제국 의학교를 졸업하고 대한제국 육군 군의장으로 있다가 한일합방으로 조선이 멸망하자 망명하였다. 2020. 7. 16.
[개화기/국제관계]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연무당 강화도 조약이 체결된 연무당 ★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 : 정식 명칭은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이다.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 음력 2월 3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되었다.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체결되었다. 한일 관계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근대 국제법의 토대 위에서 맺은 최초의 조약이며, 일본의 강압적 위협으로 맺어진 불평등 조약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5.
[개화기/국제관계]강화도 조약 체결 강화도 조약 체결 ★ 강화도 조약(江華島條約) : 정식 명칭은 조일수호조규(朝日修好條規)이다. 1876년 2월 27일(고종 13년 음력 2월 3일) 조선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되었다.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체결되었다. 한일 관계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으며, 근대 국제법의 토대 위에서 맺은 최초의 조약이며, 일본의 강압적 위협으로 맺어진 불평등 조약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5.
[개화기/국제관계]운요호 사건 운요호 사건 ★ 운요호 사건(雲揚號事件, 1875) : 통상조약 체결을 위해 일본 군함 운요호가 불법으로 강화도에 들어와 측량을 구실로 조선 정부의 동태를 살피다, 조선 수비대와 전투를 벌인 사건이다. 이 사건을 계기로 조선과 일본은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5.
[근대/정치]서원 철폐 서원 철폐 서원철폐령으로 묻힌 위패(창녕 관산서원) ★ 서원 철폐(書院 撤廢) : 조선 시대 말기 서원의 오랜 적폐(積弊)를 제거하기 위해 흥선대원군 이하응은 서원철폐령을 내려 대대적으로 서원을 정리하였다(1871). 전국에 서원을 47개소만 남기고 통·폐합하였다. 비사액서원을 우선적으로 정리를 하였고, 사액서원이라도 첩설된 것과 불법을 횡행하는 서원은 모두 철폐되었다. 양반과 유학자들의 반발이 거셌으나 민중들의 지지를 받았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4.
[근대/대한제국및황실]남연군의 묘 남연군의 묘 ★ 남연군의 묘(南延君墓) : 흥선대원군의 아버지 남연군 이구(1788∼1822)의 묘. 대원군 이하응이 풍수지리설에 따라 2대에 걸쳐 천자가 나올 자리라는 말을 듣고 원래 경기도 연천에 있던 남연군의 묘를 이곳으로 옮겼다. 이곳에 있던 절 가야사를 불태우고 탑을 부순 후 이장하였다. 이하응의 차남 명복이 왕위에 오른 고종이다. 그 후 1866년 독일 상인 오페르트가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다 실패한 일이 있었으며, 이 일로 대원군이 서양에 대한 배척을 강화하는 쇄국정책을 실시하고 천주교에 대한 탄압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상가리 소재. 충청남도의 기념물 제80호.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9.
[근대/사상과학문]최시형 최시형 ★ 최시형(崔時亨, 1827~1898) : 조선의 종교인, 교육자, 사상가이자 동학의 제2대 교주. 과 를 발간하는 등, 교리를 정리하고 포교와 교조신원 운동을 펼쳤으며, 동학농민운동에도 참여하였다. 우금치 전투 패배 후, 관군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5.
[근대/인물]흥선대원군 흥선대원군 ★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1821~1898) : 조선 후기의 왕족이자 정치가, 대한제국의 추존왕. 아들인 고종 즉위 후(1864) 섭정으로 국정을 이끌었고, 과감한 내정 개혁으로 전제 왕권 강화와 세도정치 철폐, 기득권 제한을 이루어 민중들의 지지를 받았다. 대외적으로 쇄국정책을 추진하고 천주교를 탄압하였다. 실각 후 재집권을 위한 시도를 여러 번 하였고, 임오군란(1882)때 청으로 납치되기도 하였다.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동시에 받는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5.
[근대/대한제국및황실]덕수궁 배치도 덕수궁 배치도 ★ 덕수궁(德壽宮) : 서울 중구 정동(貞洞)에 있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궁궐. 본래 이름은 경운궁(慶運宮)이다. 1907년(순종 1) 순종 즉위 후 궁호가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개명되었다. 1611년 ~ 1615년에는 조선의 정궁이었고 1897년 ~ 1907년에는 대한제국의 황궁이었다. 원래는 월산대군의 사저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선조가 임시로 거처로 쓰면서 궁이 되었다. 광해군이과 인조가 이곳에서 즉위하였고,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였다. 1897년(고종 34)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에서 이 궁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궁궐다운 전각들을 갖추게 되었다. 1904년 큰 화재로 전각 대부분이 소실되었으나 여러 전각을 중건하였다. 원래의 면적은 현재보다 넓었으나,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축소되었다. 사적 .. 2020. 7. 4.
[근대/경제]맹인 점집 광고 맹인 점집 광고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4.
[근대/경제]대구약령시(1,900년 전후) 대구약령시(1,900년 전후) ★ 대구 약령시(大邱藥令市) : 조선 후기(1658)에 개시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대구의 한약재 시장. 조선 후기 경상감영 내 객사 주변에서 열렸고, 대구읍성이 철거된 후 1908년에 약전골목(남성로)으로 이전하였다. 발생 때부터 8·15 광복 후 얼마 동안까지 봄, 가을에 연 계절시장이었고, 현대에 이르러 상설시장으로 변모하였다. 매년 5월 대구광역시청이 주관하는 대구약령시한방문화축제가 개최되고 있다. 2020. 7. 4.
[근대]숙정문의 모습 숙정문의 모습 ★ 숙정문(肅靖門) : 숙청문(肅淸門)으로도 불린다. 조선의 수도인 한양의 4대문(大門) 중의 하나로 북쪽의 대문이다.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험준한 산악지역에 위치해 실질적인 성문 기능은 하지 않았다. 1396년(태조 5년) 9월 다른 성문과 함께 완공되었다. 목조 누각은 소실되었던 것을 1976년에 복원한 것이다. 1.12 사태 이후 일반인의 접근을 금지하였다가 2006년 개방하였다. 2020.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