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해군8

[조선중기/인물] 강홍립 강홍립 후금-명 전쟁에 참전한 강홍립과 조선군 후금에 항복하는 강홍립과 조선군 ★ 강홍립(姜弘立, 1560~1627) : 조선의 문관, 군인. 광해군 때 명나라에 지원병을 이끌고 참전했으나 후금(청나라)의 교전을 피하다가 투항했다. 출전 전에 추금에 투항하라는 광해군의 밀지를 받고 참전하였으며, 광해군의 중립외교를 성사시켰다. 인조반정(1623)으로 광혜군이 폐위되고, 이괄의 난(1624)을 주도했던 한윤과 한택 형제가 후금에 투항하여 강홍립 휘하로 들어가 정묘호란의 명분이 되기도 했다. 정묘호란(1627) 때 막후에서 외교수완을 발휘하여 전쟁이 장기화되는 것을 막는 데 일조하였다. 정묘호란 중에 병사하였으며(1627) 묘는 서울시 관안구 난향동에 있다. 2024. 10. 21.
[조선후기/정치]정인홍의 묘 정인홍의 묘 ★ 정인홍(鄭仁弘, 1535~1623) : 조선중 ․ 후기(선조~광해군 대)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임진왜란 때의 의병장. 당색으로는 동인이었다가, 정철의 처벌을 놓고 동인이 남인과 북인으로 나뉠 때는 강경파로 북인이었다. 광해군을 지지하여 영창대군 제거를 주장하였으며, 인조반정 이후 참형에 처해졌다. 경상남도 합천 소재.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25.
[조선전기/인물] 이덕형(李德馨) 이덕형(李德馨) ★ 이덕형(李德馨, 1561~1613) : 조선 중기의 정치인이자 문신, 학자. 호 한음(漢陰). 임진왜란 때 명의 원군을 청하는 데 공을 세웠고, 인목대비 폐위와 영창대군 사사에 반대하여 광해군과 갈등을 빚었다. 2020. 4. 19.
[조선후기/의학]신찬벽온방(新纂辟瘟方) 신찬벽온방 (新纂辟瘟方) ★ 신찬벽온방(新纂辟瘟方) : 광해군 4년(1612)에 광해군이 '당동역'이라 불린 전염병 치료를 위해 내의원 어의 허준에게 저술을 명하여 이듬해 내의원에서 목활자로 간행하여 배포한 의학서.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4. 7.
[조선전기/과학기술] 간이벽온방 간이벽온방  ★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 : 조선 중종 때 온역(전염병) 치료에 대한 약방문을 모아 엮은 의학서적이다. 초간본을 전하지 않고 광해군 때 발행한 중간본(1613)이 전한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71호. 청주고인쇄박물관 소장. 2019. 12. 28.
[조선중기/문화와예술] 공성왕후추숭도감의궤 공성왕후추숭도감의궤  ★ 공성왕후추숭도감의궤(恭聖王后追崇都監儀軌): 1615년 선조의 후궁이며 광해군의 생모인 공빈 김씨(恭嬪金氏)를 공성왕후(恭聖王后)로 추숭(追崇)하여 부묘한 기록이다. 그러나 인조반정 후 다시 공빈(恭嬪)으로 추삭(追削)되었다.※ 부묘(祔廟) : 삼년상이 지난 뒤에 그 신주를 종묘에 모심 2019. 11. 27.
[조선/호란]강홍립의 항복 강홍립의 항복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0. 27.
[조선후기/정치행정] 대동법의 확대 대동법의 확대  ★ 대동법(大同法) : 지방의 특산물로 바치던 공납을 쌀로 통일하여 바치게 한 세금 제도. 광해군 때 시작하여 숙종 때 전국으로 확대되었으며, 고종 때까지 시행되었다. 토지의 결수에 따라 1결당 12두씩을, 쌀 생산이 어려운 지역은 삼베, 무명, 동전 등으로 납부하였다. 양반과 지주들의 반대에 경기도에서만 시행하다가, 점차 확대되어 100여년 후에 전국적으로 시행하였다.   대동법의 시행으로 국가 수입이 증대되고 농민의 부담이 크게 줄었으며, 물품을 직접 부담하던 것을 관허상인 공인이 등장하여 대동미로 물품을 구매하는 과정에서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였다. 또 농민층의 분화를 촉진시켰고 나아가 신분 질서를 와해시켰다.   정기적인 공납인 상공은 대동법으로 대체되었으나, 비정기인 별공과 진.. 2017.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