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기술13

[현대/과학기술]로봇 마루와 아라 로봇 마루와 아라 ★ 로봇 마루와 아라 : 2005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인공지능을 부여한 인간형 로봇.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8. 21.
[개화기/과학기술]제중원 제중원 ★ 제중원(濟衆院) : 조선 정부가 1885년 최초로 설립한 서양식 병원이자 의학교육기관. 본래 광혜원(廣惠院)이라 불렸으나 제중원(濟衆院)이라 고쳤다. 이후 운영권이 미국 북장로회 선교부로의 이관되었다. 일반적으로는 연세대학교 병원이 제중원의 후신으로 여긴다. 2020. 8. 25.
[조선후기/과학기술] 천문관측의(아스트롤라베) 천문관측의 (아스트롤라베)   조선에서 제작된 아스트롤라베    아스트롤라베 측정법   ★ 천문관측의(天文觀測儀) : 아스트롤라베(astrolabe)라고도 한다. 고대에서부터 만들어져 발전되어온 정교한 천문 도구로서, 태양, 달, 행성, 별의 위치를 예측하였다. 17세기 유럽의 예수회 선교사들을 통해 혼개통헌(渾蓋通憲)라는 이름으로 동아시아에 전래되었다. 18세기 조선의 실학자 유금이 만든 아스트롤라베가 전하며, 동아시아에서 제작된 유일한 것이다. 2020. 5. 23.
[조선후기/과학기술] 휴대용 앙부일구 휴대용 앙부일구  ★ 휴대용 앙부일구(携帶用 仰釜日晷) : 앙부일구는 조선 세종 때에 처음 만든 이후 조선시대 말까지 계속해서 제작되었고 널리 사용되었으며, 휴대용도 제작했다. 현존하는 휴대용 앙부일구는 19세기(1871)에 제작되었다. 재질은 돌이며 반구형으로 해시계 주위로 시각선, 절기 등을 새겼다. 해시계 면의 직경 2.8cm, 나침반의 직경 1.9cm.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852호. 2020. 4. 11.
[조선/인쇄술]민간의 금속활자 제작 민간의 금속활자 제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1. 20.
[조선후기/지리학] 지구의(地球儀) 지구의(地球儀)  ★ 지구의(地球儀) : 조선 후기 실학자 최한기(1803~1879)가 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제 지구의. 목제 사발형 받침대에 청동제 구형(球形) 본체를 남북축을 기준으로 수평이 되게 걸쳐 놓은 형태로, 남극대륙을 제외한 세계지명이 표기되어 있다. 보물 제883호. 직경 24㎝. 숭실대학교 한국기독박물관 소장. 2019. 11. 17.
[조선/과학기술] 거중기 거중기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설계도  거중기 복원 모형 ★ 거중기(擧重器) : 수원 화성을 쌓을 때 사용된 복합 도르래. 정약용이 고안하였으며 화성성역의궤에 설계도가 실려 있다. 2019. 11. 3.
[조선/과학기술] 옥루(玉漏) 옥루(玉漏)  ★ 옥루(玉漏) : 조선 세종 때 만들어진(세종 20, 1438) 천상시계(天象時計)이며 자동물시계의 하나이다. 2019. 10. 20.
[조선/과학기술] 간의(簡儀) 간의(簡儀) 간의 모형 간의를 이용한 천체 관측(상상도) ★ 간의(簡儀) : 조선 세종 때 제작된 실외용 천문 관측기구로 혼천의를 간소화한 것이다. 2019. 10. 20.
[조선전기/과학기술] 신기전기(神機箭機) 신기전기(神機箭機)  ★ 신기전(神機箭) : 1448년(세종 30년) 만들어진 조선시대의 로켓추진 화살. 신기전을 발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화차인 신기전기(神機箭機)는 다연장 로켓발사장치이다. 설계도와 상세 제작 자료가 병기도설>에 상세 제작 자료가 남아있으며 1993년 복원하여 공개 발사시험을 하였다. 2019. 10. 8.
[조선전기/과학기술] 앙부일구(仰釜日晷) 앙부일구(仰釜日晷)   ★ 앙부일구(仰釜日晷) : 1434년(세종 16년) 이후로 제작 · 사용된 해시계. 장영실, 이천, 김조 등이 초기의 제작에 참여하였다. 시간과 계절, 절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보물 제 845호,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2019. 10. 8.
[조선/과학기술]혼천의(渾天儀) 혼천의(渾天儀) 혼천의 혼천의을 이용한 천체관측(상상도) ★ 혼천의(渾天儀) : 천체 관측 기구로 태양, 달, 오행성(수성, 금성, 화성, 목성, 토성)의 위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한국에는 1433년(세종 15년)에 처음 제작되었다. 2019. 10. 6.
[조선/과학기술] 측우기(測雨器) 측우기(測雨器) ★ 측우기(測雨器) : 조선 시대에 강우량 분포를 측정하던 기구로, 세계 최초의 강우량 측정기이다. 조선 세종 때 처음 만들어 전국에 보급하였다. 현재 남아있는 것은 공주 충청감영에서 제작된금영측우기(錦營測雨器, 보물 561호)가 유일하다(1837). 2019. 10.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