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분벽화32

[고구려/고분]우물(안악 3호분) 우물(안악 3호분)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7.
[고구려/고분]방앗간(안악 3호분) 방앗간(안악 3호분)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6.
[고구려/고분]외양간(안악 3호분) 외양간(안악 3호분)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5.
[고구려/고분]마굿간(안악 3호분) 마굿간(안악 3호분)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4.
[고구려/고분]고깃간(안악 3호분) 고깃간(안악 3호분) 벽화(위), 실측도(아래)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3.
[고구려/고분]마차고(안악 3호분) 마차고(안악 3호분) 벽화(위), 실측도(아래)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9. 2.
[고구려/고분]베 짜는 여인(대안리 1호분) 베 짜는 여인(대안리 1호분) ★ 대안리 1호분 : 북한의 남포직할시 대안구역의 대안구역 은덕동에 자리한 고구려 고분으로 용강대안리고분군(龍岡大安里古墳群)의 무덤 중 하나이다. 5세기 중엽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방이 2개인 굴식돌방무덤으로 방과 널길(통로)에 벽화가 그려져 있다. 앞방에는 수렵도, 행렬도가, 뒤쪽 방에는 주인공의 생활상, 베 짜는 여인등의 벽화가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7. 6.
[고구려/고분]강서대묘 널방 실측도 강서대묘 널방 실측도 ★ 강서대묘(江西大墓) : 북한의 남포특별시 강서구역에 있는 고구려의 벽화 고분으로 강서삼묘 중 가장 큰 벽화고분이다(기저 지름 약 51.6m, 높이 8.86m). 외방 구조의 굴식 돌방 무덤으로 모줄임천정이다. 널방에 벽에 사신도(청룡, 백호, 주작, 현무)가 그려져 있다. 축조 시기는 7세기로 추정한다. ★ 사신도(四神圖) :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함께 그린 그림으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 많이 나타난다. 무덤의 사방을 수호하는 영물(靈物)로서 많이 그렸으며, 도교(道敎)의 영향을 보여준다. 쌍영총의 창룡도(蒼龍圖)와 강서대묘의 사신도가 가장 우수하고 유명하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7. 1.
[고구려/고분]요동성도(遼東城圖) 요동성도(遼東城圖) ★ 요동성도(遼東城圖) : 요동성 내외의 지형·성벽·성문·도로 등을 그린 지도.고지도. 1953년 평안남도 순천군에서 발굴된 고구려 고분의 벽화 성도(城圖). 요동성 내외의 지형과 성의 구조, 도로 등을 드린 그림지도. 조선시대 성시도(城市圖)의 수법과 유사한 점이 많아, 4세기 경에 성시 그림지도가 있었음을 입증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25.
[삼국문화의일본전파/고구려]다카마쓰 고분벽화(여인 군상) 다카마쓰 고분벽화(여인 군상) ★ 다카마쓰 고분(高松塚古墳) : 일본 나라현 다카이치군 아스카촌에 위치한 고분으로 7세기 말~8세기 초에 축조되었다. 사신도(四神圖), 별자리, 남녀 군상 등의 벽화가 그려져 있으며, 고구려의 벽화와 비슷하여, 고구려의 영향을 받았거나 고구려인들이 그린 것으로 추정한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6. 15.
[백제]동하총(능산리1호분) 벽화 동하총(능산리1호분) 벽화 ★ 동하총(東下塚, 능산리 1호분) : 부여 왕릉원(능산리 고분군)의 고분 중 하나로 백제에서 보기 드문 벽화고분이다. 화강암과 편마암을 다듬어 축조한 굴식돌방무덤이며 널방 벽에는 사신도(四神圖)가 천정에는 인동과 연꽃 구름 등이 그려져 있다. 백제 사비시대(538~660)에 축조되었으며 고분군 서쪽에서는 백제 왕실 절로 추정되는 능산리 절터가 발견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4. 17.
[고구려/고분]연화화생도(장천 1호분) 연화화생도(장천 1호분) ★ 연화화생도 : 장천 1호분 벽화의 일부로 연꽃 속에 아기과 남녀의 얼굴이 그려져 있다. 연꽃 속에서 새로운 생명이 태어난다고 믿는 불교적 세계관이 반영된 그림이다. ★ 집안 장천 1호분(集安長川一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황백향 장천촌에 있으며,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흙무지돌방무덤(封土石室墓)으로 2개의 방(전실, 후실)과 연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방과 통로의 벽과 천장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생활 풍속과 장식 무늬이다. 사냥, 가무, 예불, 비천상, 사신도 등이 그려져 있으며, 후실 천정에는 해와 달, 별자리(북두칠성)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4.
[고구려/고분]천문도(장천 1호분) 천문도(장천 1호분) ★ 집안 장천 1호분(集安長川一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황백향 장천촌에 있으며,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흙무지돌방무덤(封土石室墓)으로 2개의 방(전실, 후실)과 연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방과 통로의 벽과 천장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생활 풍속과 장식 무늬이다. 사냥, 가무, 예불, 비천상, 사신도 등이 그려져 있으며, 후실 천정에는 해와 달, 별자리(북두칠성)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4.
[고구려/고분]예불도(장천 1호분) 예불도(장천 1호분) ★ 집안 장천 1호분(集安長川一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중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황백향 장천촌에 있으며, 5세기 후반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흙무지돌방무덤(封土石室墓)으로 2개의 방(전실, 후실)과 연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방과 통로의 벽과 천장에는 벽화가 그려져 있는데, 생활 풍속과 장식 무늬이다. 사냥, 가무, 예불, 비천상, 사신도 등이 그려져 있으며, 후실 천정에는 해와 달, 별자리(북두칠성)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4.
[고구려/고분]안악 3호분의 구조 안악 3호분의 구조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3.
[고구려/고분]무사들(안악 3호분) 무사들(안악 3호분)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2.
[고구려/고분]부엌(안악 3호분) 부엌(안악 3호분)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2.
[고구려/고분]춤(안악 3호분) 춤(안악 3호분)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2.
[고구려/고분]묘주 부인의 초상(안악 3호분) 묘주 부인의 초상(안악 3호분)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3. 21.
[고구려/고분]행렬도(안악 3호분) 행렬도(안악 3호분) 복원전(위), 디지털 복원 후(아래) ★ 안악 3호분(安岳 3號墳) : 삼국시대 고구려의 벽화고분.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있다. 357년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한다. 고분 입구에 7행 68자의 글이 있는데, 동진의 연호 ‘永和十三年(357)’과 ‘동수’라는 장군에 대한 기록이다. 동수를 무덤의 주인으로 여겼으나 지금은 고국원왕이 유력하다. 현무암과 석회암 판석으로 축조한 돌방무덤(石室墳)으로 널길, 연실, 앞방, 뒷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앞방 좌우에는 조그만 옆방(側室)이 달려있다. 천장은 모줄임천장이다. 벽화는 각 방과 널길벽, 회랑벽에 그려져 있으며, 무덤 주인 부부와 하인들, 부엌·우사·마구, 무악의장대의 행렬등, 다양한 그림이 그려져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 2019.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