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74 [고려/학문과사상]일연(一然) 일연(一然) ★ 일연(一然, 1206~1289) : 고려 후기의 승려로, 를 저술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 금속활자 제조 과정 2 금속활자 제조 과정 2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 [고려]금속 활자 금속 활자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31. [고려]금속 활자 금속 활자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31. [고려]담양 객사리 석당간 담양 객사리 석당간 고려시대, 보물 제 505호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객사리 소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7. [고려]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고려 시대, 국보 제 323호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 소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5. [고려]고려의 군사 조직 고려의 군사 조직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4. [고려/정치행정] 음서제 음서제 ★ 음서제(蔭敍制) : 고려 시대에 중신의 신분을 우대하여 친족 및 처족을 과거를 거치지 않고 관리로 임명하는 제도. 성종 때 송(宋)의 음보제(蔭補制)를 들여와 5품 이상의 관직에 있는 중신의 아들에게 관직을 제수하면서 시작되었다. 지배층의 관인 지배 체제를 굳건히 하게 되면서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을 하는 비율보다 음서로 인한 관직 진출이 더 많게 되었다. 음서제는 조선시대까지 유지되었으나, 그 범위는 크게 축소되고 제한도 있었다. 2019. 7. 24. [고려]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고려, 국보 제 124호 국립춘천박물관 소장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23. [고려전기/유물유적] 안동 태사묘 유물 안동 태사묘 유물 ★ 안동 태사묘(삼태사) 유물 중 화(靴 ; 목이 긴 신발), 과대(銙帶 ; 허리띠), 관(冠 ; 관료들이 쓰는 모자). 고려 관료의 복식을 유추해 볼 수 있는 유물이다. ★ 안동 태사묘(安東 太師廟) : 고려의 개국공신인 김선평, 권행, 장정필 3명의 태사(太師)의 위패를 모신 곳. 경상북도 안동시 북문동에 있으며 경상북도의 기념물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사당 및 건물은 6.25 전쟁 때 불타 현대에 복원하였으며, 백옥대, 금대, 오서대, 옥관자, 공민왕의 친필 교지 등의 유물이 보관되어 있다. 유물은 보물 제 451호로 지정되었다. 2019. 7. 20. [고려/건축] 만월대 만월대 ★ 만월대(滿月臺) : 고려의 법궁(法宮) 터로 개성시 송악동 송악산 남쪽 기슭에 있다. 원래 궁궐터를 뜻하지만 현대에는 궁궐 자체를 일컫기도 한다. 고려 태조 2년(919)에 창건되었으며, 이후 여러 번의 증축과 재건을 거쳤다. 거란의 침입, 이자겸의 난, 몽골의 침입, 여러번의 화재 등으로 파괴되고 소실되기도 하였다. 홍건적의 난으로 소실된 후 재건되지 않아, 폐궁되었다. 2008년 이후 남북이 공동으로 발굴 조사를 진행하였으나 남북 관계 경색으로 현재는 중단되었다. 조선민주주의공화국(북한) 국보 제122호. 유네스코 세계유산 개성역사유적지구로 지정. 2019. 7. 19. [고려전기/정치행정] 훈요십조(訓要十條) 훈요십조(訓要十條) ★ 훈요 십조(訓要十條) : 고려 태조(왕건)가 후손에게 남겼다는 열 가지 가르침. 신서십조(信書十條) 또는 십훈(十訓)이라고도 한다. 고려왕실의 헌장으로 태조의 신앙 · 사상 · 정책 · 규범 등을 보여준다. 두 부분으로 구성되었는데, 서론에 해당하는 신서(信書)와 10개조의 훈요이다. , 에 수록되어 있으며, 에서 인용한 것으로 추정한다. 2019. 7. 19. [고려]고려의 화폐 고려의 화폐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7. 18. [고려전기/경제] 해동통보 해동통보 ★ 해동통보(海東通寶) : 은화인 은병(銀甁)은 고액 화폐라 일상생활에 사용하기 불편하여 소액 거래를 위해 숙종 7년(1102) 주전도감(鑄錢都監)에서 만들어 보급하였다. 한국에서 처음 만들어진 엽전이다. 원형에 가운데에 사각형 구멍이 뚫려 있고, 앞면에는 해동통보라는 글이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아무것도 새겨져 있지 않다. 유통을 장려하기 위해 관료들의 녹봉으로 지급하였고, 음식점이나 상점에서 사용하도록 하였다. 2019. 7. 17. [고려전기/경제] 삼한통보 삼한통보 ★ 삼한통보(三韓通寶) : 숙종 7년(1102) 주전도감(鑄錢都監)에서 만들어진 동전. 모양은 둥글고 가운데 정사각형 구멍이 뚫렸으며 상하좌우에 각기 한 자씩 삼한통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었다. 통용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농민들은 여전히 미곡, 삼베 등을 화폐처럼 썼다. 결국 예종(재위 1105~1122)때에 통용이 중지되었다. 2019. 7. 17. 고려 말 반원개혁 고려 말 반원개혁 2016. 6. 8. 고려의 변화 고려의 변화 2016. 6. 7. 고려 후기 사대부 문화 고려 후기 사대부 문화 2016. 6. 6. 고려 후기의 문화 고려 후기의 문화 2016. 6. 5. [고려전중기/정치행정] 고려 통치 조직의 변화 고려 통치 조직의 변화 2016. 6. 4.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