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사9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3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③ 문제풀이 ★ 성종의 업적(961~997, 재위 981~997) 성종은 유교 정치를 펼쳐 고려의 정치를 발전시켰다.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받아들여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삼았으며, 유학 교육을 장려하고 과거제를 정비하였다. 지방관을 파견하고 향리제도를 실시하여 지방 통제를 강화하였으며, 2성 6부제를 만들어 중왕 관제도 정비하였다. ① 고려 태조(왕건, 877~943, 재위 918~943)는 후손들을 위해 훈요 10조를 남겼다. ② 조선의 법전인 경국대전은 세조 때 편찬을 시작하여 성종 때대에 완성되었다(1460~1484). ④ 고려 광종(925~975, 재위 949~975)은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들이 불.. 2021. 2. 3.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2 한국사능력검정시험 문제풀이 - 31회 초급 12 (문제출처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 정답 : ② 문제풀이 ★ 원 간섭기(1270~1356) 고려는 40여 년에 걸친 항쟁을 끝내고 몽골(원나라)과 강화를 맺었다. 이후 고려는 철령 이북과 제주도 등의 땅을 빼앗겼으며, 몽골의 일본 원정에 물자를 지원하도록 강요받았다. 또한, 고려 국왕은 원의 공주와 결혼하여 원 황제의 부마가 되었고 왕실과 관직의 호칭도 격하되었으며, 원나라의 내정간섭을 받았다. 원은 일본 원정을 위해 설치했던 정동행성을 없애지 않고 다루가치를 파견하여 고려의 내정간섭을 계속하였다. 원나라는 고려의 처녀들을 공녀로 끌고 갔으며, 고려에 막대한 공물을 요구하여 고려의 경제는 피폐해지고 농민은 큰 고통을 받았다. 이 시기에 원나라의 지배층과 혼.. 2021. 2. 2. [고려/문화]철제 약연 철제 약연 고려시대(10세기) 충청남도 부여군 부소산 출토 국립부여박물관 소장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5. [고려/정치]정몽주(鄭夢周) 정몽주(鄭夢周) ★ 정몽주(鄭夢周, 1338~1392) : 고려 말의 문신, 외교관, 정치가, 교육자, 유학자. 고려의 충신. 조선 건국에 반대하다가 이방원에게 살해당하였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3. [고려]아집도 대련 아집도 대련 (雅集圖 對聯) ★ 아집도 대련(雅集圖 對聯) : 고려시대 문인관료들이 이상으로 삶은 생활상을 그린 그림. 고려 귀족의 생활상을 알 수 있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12. [고려]만월대 만월대 (滿月臺) 고려의 정궁터 국보 122호(북한) 개성시 송악동 소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9. [고려]고려 농민의 생활 고려 농민의 생활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9. 8. [고려]아집도 대련(부분) 아집도 대련(부분) ★ 아집도 대련(雅集圖 對聯) : 고려시대 문인관료들이 이상으로 삶은 생활상을 그린 그림. 고려 귀족의 생활상을 알 수 있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7. [고려]연등회 연등회 ★ 연등회(燃燈會) : 신라 진흥왕 때 시작된 불교 행사로 특히 고려 시대에 성행하여 국가적 행사로 자리잡았으며,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6. [고려]개성 성균관 명륜당 개성 성균관 명륜당 ★ 개성 성균관(開城 成均館) : 고려 초기인 992(고려 성종 11)년에 설립되었으나, 임진왜란 때 파괴되었다. 현재 건물은 17세기 초반(선조 대)에 복원하였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의 국보 제127호이며 개성시 방직동에 있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 2019. 8. 26. [고려]장양수 홍패(과거 합격 증서) 장양수 홍패 (과거 합격 증서) ★장양수 홍패(張良守 紅牌) : 고려시대. 국보 제181호. 고려 희종 1년(1205) 진사시 병과에 급제한 장양수에게 내린 과거 급제 증명서이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5. [고려]최충헌 가문의 불경과 경갑 최충헌 가문의 불경과 경갑 ★ 최충헌과 그의 아들 최우, 최항을 위해 만든 휴대용 불경과 경갑. 불경은 호신과 재난 예방을 기원하며 간행하였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4. [고려]고려 귀족의 장신구 고려 귀족의 장신구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4. [고려]송광사 노비 문서 송광사 노비 문서 ★ 송광사 노비문서 : 순천 송광사 고려 고문서(順天 松廣寺 高麗 古文書)에 포함되어 있는 고려시대 노비 문서. 수선사(송광사) 주지였던 원오국사가 충렬왕 7년(1281) 기록한 것이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3. [고려]고려 백성의 의무 고려 백성의 의무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3. [고려]여주 이씨 준호구 여주 이씨 준호구 ★ 여주 이씨 준호구(세보) : 1333년(충숙왕 복위 2년)에 작성된 호적으로 여성 호주의 존재를 보여준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23. [고려]무신정변 무신정변 (武臣政變) ★ 무신정변(武臣政變) : 고려 의종 24년(1170) 상장군 정중부와 이의방, 채원, 이고, 이의민 등의 휘하 장수들이 보현원(普賢院)에서 일으킨 쿠데타이다. 정변 이후 무신 1270년까지 무신정권이 이어졌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4. [고려]벽란도(상상도) 벽란도(상상도) ★ 벽란도(碧瀾渡) : 고려 시대에 외국의 사신과 상인들이 빈번하게 왕래하던 나루(渡)로, 예성강 하구에 위치한 고려의 국제 무역항이었다.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4. [고려]홍건적 홍건적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2. [고려]왜구 2 왜구 2 ※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8. 12.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