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대사215

[초기철기시대]야철지(울산) 야철지(울산) ★ 야철지(冶鐵址) : 철 생산과 관련된 작업장이 있던 유적. 제철유적.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9.
[연맹왕국]솟대 솟대 ★ 솟대 : 한국의 민속신앙에서 새해의 풍년을 기원하며 세우거나 마을 입구에 마을의 수호신의 상징으로 세운 긴 나무 장대. 긴 장대 끝에 나무로 만든 새 조각이 있다. 삼한 시대의 소도에서 유래한 것으로 유추한다. 지역에 따라 ‘소줏대’, ‘솔대’, ‘별신대’ ‘진또베기’ 등으로 불린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8.
[연맹왕국]새 모양 청동기 새 모양 청동기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8.
[연맹왕국]철 보습 철 보습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7.
[연맹왕국]철 낫 철 낫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7.
보습과 볏 사용(모형) 보습과 볏 사용(모형) ★ 보습 : 땅을 갈거나 뒤엎어 농사를 지을 때 사용된 도구. 농경이 시작된 신석기 시대에 발명되었다. 선사시대에는 돌로, 철기 시대 이후 쇠로 만들었다. 한국에서는 신석기시대 중기 이후에 나타나며 돌괭이를 발전시켜 만들었다. ★ 볏 : 땅을 갈아 흙덩이를 일으키는 데 쓰이는 농기구인 보습 위에 비스듬하게 덧대는 쇳조각.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6.
[연맹왕국]철제 보습과 볏 철제 보습과 볏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6.
[연맹왕국]철제 농기구와 무기 철제 농기구와 무기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5.
[연맹왕국]철제 농기구 철제 농기구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5.
[연맹왕국]철제 무기 철제 무기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5.
[고조선]미송리식 토기 미송리식 토기 ★ 미송리식 토기(美松里式土器) : 고조선 시대에 만들어진 민무늬 토기. 1959년에 평안북도 의주군 미송리에서 처음 발견되어 그 지역의 이름을 따 미송리식 토기라 부르게 되었다. 만주와 한반고 북부 지역에 주로 발견되며, 고조선의 영토를 판별하는 유물 중 하나이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3.
[고조선]미송리 청동 도끼 미송리 청동 도끼 ★ 미송리 청동 도끼 : 의주 미송리 유적(義州美松里遺蹟)에서 출토된 청동 도끼. 도끼는 날이 휘고 버선코처럼 넓어진 형태로 등에서 날까지의 길이가 4.5㎝이다. 미송리 유적은 신석기 시대부터 청동기 시대에 걸친 생활 유적으로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3.
[고조선]요령 강상 유적(강상무덤) 전경과 실측도 요령 강상 유적(강상무덤) 전경과 실측도 ★ 요령 강상 유적(遼寧崗上遺蹟) : 중국 요령성 대련시(大連市) 감정자구(甘井子區)에 있는 청동기시대 돌무지무덤(적석총) 등이 발굴된 무덤군으로, BC 8∼6세기 경의 고조선 지배층의 무덤이다. 동서 약 100m의 둥근 언덕에서 23기의 묘광과 144구 이상의 인골이 발견되었으며, 비파형동검을 비롯한 무기와 장신구, 토기, 석기, 뼈도구(골각기) 등이 발견되었다. 중심 묘광(7호묘)를 중심으로 여러 묘광이 둘러싸고 있어, 피장자 사이의 서열 관계가 있음을 유추한다. 저작권에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2.
[고조선]씨름무덤(각저총) 벽화의 곰과 호랑이 씨름무덤(각저총) 벽화의 곰과 호랑이 ★ 고구려의 씨름무덤(각저총) 벽화의 곰과 호랑이 5세기 중엽의 고구려 벽화 고분 씨름무덤(각저총)의 씨름도에도 단군 신화의 모티브를 담은 벽화가 그려져 있다. 많은 새가 앉은 큰 나무 아래에 곰과 호랑이의 형상이 서로 등을 지고 앉아 있는 그림이 있어 단군 신화의 주요 모티브를 담고 있다. 이 벽화가 단군 신화와 연관된다고 단정하기 어려우나, 이른 시기부터 단군 신화가 한반도와 주변 지역에 퍼져 있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1.
[고조선]고조선의 건국 신화 고조선의 건국 신화 ★ 고조선의 건국 신화(단군 신화) : 한민족 최초의 나라인 고조선의 건국에 대한 이야기. 의 기록이 가장 오래된 것이며, , , 등에의 문헌에 기록되어 있다. 신화적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역사적으로는 “고조선 사회가 선민 사상과 홍익 인간의 이념을 바탕으로 하여 국가를 건국하였고, 애니미즘과 토테미즘의 신앙을 가진 농경 사회이자, 제정일치(祭政一致)의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고 해석한다. (내용은 아래)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0.
삼국유사의 고조선 관련 기록 삼국유사의 고조선 관련 기록 ★ 삼국유사(三國遺事) : 고려의 승려인 일연(一然)이 고려 충렬왕 7년(1281) 편찬한 삼국 시대의 역사서. 삼국과 가락국(가야), 고조선 등 한민족이 세운 여러 고대 국가의 역사와 전설 등이 기록되어 있다. 한국 역사서 중 처음으로 고조선의 건국 신화와 역사를 기록하였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0.
[고조선]단군(상상도) 단군(상상도) ★ 단군(檀君, 壇君) : 단군왕검(檀君王儉)이라고도 한다. 한민족의 신화적인 시조이자 고조선의 창건자로 전해지는 전설적인 인물. 한국의 역사서 중 , , , 등에서 한민족의 시조로 전하고 있다. 현재 남북한 모두 단군을 한민족의 조상으로 인정한다. 역사학계에서는 단군을 실존인물인가 고조선의 통치자를 일컫는 칭호인가 등의 논재이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20.
독무덤(옹관묘) 독무덤(옹관묘) ★ 독무덤: 옹관묘(甕棺墓)라고도 한다. 청동기 시대에 큰 항아리 속에 시체를 넣어 만든 무덤으로 부장품으로 화살촉, 도끼 등이 발견된다. 토기 하나를 사용한 것을 단식옹관, 두 개를 붙여서 사용한 것을 합구(合口) 옹관이라 한다. 매장법으로는 옹관을 수직으로 세워놓은 수직관과 수평으로 관을 눕혀 놓은 수평장이 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9.
[선사&고대/청동기시대]다양한 석기들 다양한 석기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19. 1. 17.
[연맹왕국]군장국가와 연맹왕국 군장국가와 연맹왕국 ★군장국가(君長國家, chiefdom) : 혈연관계에 기반하는 전근대 비산업 사회의 정체. 군장국가는 부족사회보다는 더 복잡하고 본격 국가보다는 덜 복잡한 사회구조이다. 한국사에서는 처음으로 나타난 국가 형태이며, 연맹왕국(聯盟王國) 이전의 단계이다. ★연맹왕국(聯盟王國) : 한국의 고대 국가발전 과정 중의 하나로, 고조선 멸망 후 건국된 여러 나라의 공통된 통치형태. 부여, 가야, 초기 고구려, 백제, 신라 등이 이에 해당된다. 국가 내에 여러 부족이 있고, 그들의 영향력이 막강했으며 상대적으로 왕권이 약했다. 각 부족은 중앙을 제외한 자신의 영토를 다스릴 자치권이 있었다. 연맹왕국을 벗어나 중앙집권 체제를 이룩한 고구려, 백제, 신라가 중앙집권을 이루지 못한 연맹왕국을 정복하였다... 2019. 1.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