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중건7 [개화기/흥선대원군집권기]원납전 원납전 ★ 원납전(願納錢) : 조선 말기 흥선대원군이 경복궁 중수를 위해 받아들인 기부금. 관리들은 재력에 따라 납부하게 하고, 많은 돈을 기부하는 상민에게 벼슬을 주기도 했으며, 여러 가지 명목으로 징수하였다. 징수 과정에서 많은 폐혜를 유발하여 이라 불기리도 했다. 1873년 폐지되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6. [개화기/흥선대원군집권기]당백전 당백전 ★ 당백전(當百錢) : 고종 3년(1866년)에 흥선 대원군 이하응이 부족한 국가 재원을 채우기 위해 주조한 화폐로, 법정 가치는 일반 상평통보의 100배에 해당하였으나, 실제 가치는 일반 상평통보의 5 ~ 6배 가치에 불과하였다. 경복궁을 중수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 주조에 들어가 그해 10월부터 사용하였다. 당시 화폐가치가 무려 20% 이상 떨어지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자 이듬해 주조를 중단했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7. 16. [조선/건축] 건춘문 건춘문 ★ 건춘문(建春門) : 경복궁의 동쪽에 있는 문. 주로 왕족, 척신, 상궁이 드나들었던 문으로 천장에는 청룡이 그려져 있다. 문 안에는 왕세자가 거처하던 춘궁(春宮)이 있었으며, 문 밖에는 왕실의 종친들을 교육하는 종학(宗學)이 있었다.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되었던 것을 고종 4년(1867) 경복궁을 중건하며 재건하였다. 2020. 1. 1. [조선/건축] 건춘문 천장 그림(청룡) 건춘문 천장 그림(청룡) ★ 건춘문(建春門) : 경복궁의 동쪽에 있는 문. 주로 왕족, 척신, 상궁이 드나들었던 문으로 천장에는 청룡이 그려져 있다. 문 안에는 왕세자가 거처하던 춘궁(春宮)이 있었으며, 문 밖에는 왕실의 종친들을 교육하는 종학(宗學)이 있었다. 임진왜란 때 방화로 소실되었던 것을 고종 4년(1867) 경복궁을 중건하며 재건하였다. 2020. 1. 1. [조선/건축] 광화문 광화문 복원이 완료된 광화문(2023년 이후) 월대 등이 복원되지 않은 광화문 ★ 광화문(光化門) :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 ‘임금의 큰 덕(德)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이다. 1395년에 세워졌다. 2층 누각인 광화문 앞의 양쪽에는 한 쌍의 해치 조각상이 있고 천장에는 주작이 그려져 있다.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탔을 때 함께 파괴었다. 고종 대에 경복궁이 중건될 때 재건되었으나(고종 5년, 1868), 6.25 전쟁으로 두 차례 소실되었다. 광복 이후 여러번 복원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23년 복원이 완료되었다. 2019. 12. 31. [조선/건축] 광화문 내부 천장 그림(주작) 광화문 내부 천장 그림(주작) ★ 광화문(光化門) : 경복궁의 남쪽에 있는 정문. ‘임금의 큰 덕(德)이 온 나라를 비춘다’는 의미이다. 1395년에 세워졌다. 2층 누각인 광화문 앞의 양쪽에는 한 쌍의 해치 조각상이 있고 천장에는 주작이 그려져 있다.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탔을 때 함께 파괴었다. 고종 대에 경복궁이 중건될 때 재건되었으나(고종 5년, 1868), 6.25 전쟁으로 두 차례 소실되었다. 광복 이후 여러번 복원공사가 진행되었으며, 2023년 복원이 완료되었다. 2019. 12. 31. [조선/건축] 경회루 경회루 ★ 경회루(慶會樓) : 경복궁 근정전 서북쪽 연못 안에 있는 누각. 연회를 열거나, 외국의 사신을 접견하던 곳이다. 임진왜란으로 불에 타 돌기둥만 남았으나, 고종 4년(1867)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경회루도 다시 지었다. 국보 제224호. 2019. 10. 2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