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화5 [조선후기/문화와예술] 청풍계도(淸風溪圖) 청풍계도(淸風溪圖) 청풍계도, 견재 정선, 위(전체), 아래(부분)간송 미술관 소장 ★ 정선(鄭歚, 1676~1759)은 조선의 화가, 문신. 호 겸재(謙齋). 한국 산수화의 독자적인 특징을 살린 그림으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가가 되었다. 2020. 6. 23. [조선중기/문화와예술] 한강조주도(이정) 한강조주도 ★ 한강조주도(寒岡釣舟圖) : 12면 가운데 1점이다. 빠른 필치와 넓은 공간 구성으로 원숙한 솜씨와 세련된 화격을 보여준다. 종이에 수묵, 19.1×23.5㎝,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이정(李楨, 1578~1607) ; 조선 중기의 서화가. 어려서부터 그림에 재능으로 보여, 10세 때 이미 유명해졌고, 13세 때 장안사의 벽화를 그렸다. 과음으로 30세에 요절하였다. 작품으로는 , , , 등이 있으며, 글씨로 가 있다. 2020. 6. 12. [조선전기/문화와예술] 기영회도 기영회도 ★ 기영회도(耆英會圖) : 조선 시대 기영회(70세 이상의 2품이상 원로사대부로 구성된 모임)를 그린 풍속화. 하단에 참석자의 이름과 관직 등이 적혀 있다. 조선 중기(16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보물 제1328호. 2020. 6. 1. [조선전기/문화와예술] 김진 초상화 김진 초상화 조선 전기(1572년), 보물 221호경상북도 안동 의성 김씨 종가 소장 2020. 1. 15. [조선후기/문화와예술] 나루터(김홍도) 나루터(김홍도)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 수록 ★ 김홍도(金弘道, 1745~1806) : 조선 후기의 화가. 호는 단원(檀園). 정조 시대 때 문예부흥기의 대표적인 화가. 회화의 다양한 분야세어 독자적인 화풍을 구축하였으며, 특히 풍속화가 유명하다. ★ 김홍도 필 풍속도 화첩(金弘道 筆 風俗圖 畵帖) : 은 조선후기 화가 단원 김홍도의 대표적인 풍속화첩으로 25점을 수록한다. 당시 풍속에 대한 다양한 관심과 예리한 관찰이 돋보이는 작품들이 실려있다. 보물 제 527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2019. 11. 3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