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성역의궤7 [조선후기/건축] 화홍문(수원화성) 화홍문(수원화성) ★ 화홍문(수원화성) : 대천(大川)이 성으로 들어오는 입구에 북수문을 내고 그 위에 세운 누각. 북수문은 7칸짜리 홍예문으로 만들었다. 2024. 12. 9. [조선후기/건축] 포루(수원화성) 포루(수원화성) ★ 포루(수원화성) : 골출시킨 성벽의 내부에서 적을 공격하도록 한 군사 시설물. 각 층에 군사가 머물고 3층에서는 불랑기포를 쏠 수 있다. 2024. 12. 8. [조선후기/건축] 서남암문(수원화성) 서남암문(수원화성) ★ 서남암문(수원화성) : 적들을 알지 못하나 평상시에는 백성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다. ‘용도’라는 화양루의 매복로와 연결된다. 2024. 12. 7. [조선후기/건축] 봉돈(수원화성) 봉돈(수원화성) ★ 봉돈(수원화성) : 봉화 연기를 피우는 돈대. 보통 때는 남쪽의 한 굴뚝에서만, 위급할 때에는 다섯 굴뚝 모두에서 연기를 피웠다. 2024. 12. 5. [조선후기/문화] 화성성역의궤 화성성역의궤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 조선 후기 화성 성곽 축조에 관한 경위와 제도, 의식 등을 수록한 책이다. 조선 순조 1년(1801년) 9월에 발간되었다. 2020. 1. 9. [조선후기/문화] 낙성연도(落成宴圖) 낙성연도(落成宴圖) ★ 낙성연도(落成宴圖) : 수원 화성 낙성 잔치(정조 20년, 1796)의 기록화. 화성성역의궤>에 수록되어 있다. 2020. 1. 9. [조선/과학기술] 거중기 거중기 화성성역의궤에 실린 거중기 설계도 거중기 복원 모형 ★ 거중기(擧重器) : 수원 화성을 쌓을 때 사용된 복합 도르래. 정약용이 고안하였으며 화성성역의궤에 설계도가 실려 있다. 2019. 11.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