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일의병운동14

[개화기/항일의병운동]을미 의병 을미 의병 ★ 을미의병(乙未義兵) : 1895년에 명성황후 민씨가 일본에 의해 암살된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반발한 유생들이 임금을 위하여 힘쓰고 임금을 위한 의리를 주장한다는 근왕창의(勤王倡義)를 내걸고 친일 내각의 타도와 일본 세력을 몰아내기 위해 일으킨 항일 의병. 1896년 3월 이후 의병활동은 점차 누그러지고, 1896년 5월 24일 고종의 해산 칙유문(勅諭文) 발표로 을미의진은 대부분 해산했으나 경북 지역의 의병들은 서로 연합하여 8월까지 활동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2.
[개화기/항일의병운동]철도 파괴 의병의 처형 철도 파괴 의병의 처형 ★ 철도 파괴 의병의 처형 : 1904년 9월, 용산과 마포를 잇는 철도 공사를 방해한 혐의로 처형당하는 의병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개화기/항일의병운동]의병 처형(남한 대토벌) 의병 처형(남한 대토벌) ★ 남한 대토벌 작전(南韓大討伐作戰) : 일본 제국이 1909년 가을(9,10월) 약 2달에 걸쳐 대한제국 내 전라남도와 그 외곽지대에서 저항을 했던 항일의병들을 진압하기 위해 세운 토벌작전. 일제는 의병 뿐 아니라 양민 살해와 약탈 등을 일삼으며 수많은 민간인을 학살하였다. ※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0. 9. 1.
[근대/항일의병운동]채응언 채응언 ★ 채응언(蔡應彦, 1879~1915) : 한국의 의병장이자 일제강점기의 독립 운동가. 1907년부터 의병대에 들어가 항일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황해도를 중심으로 활동하여 큰 전과를 올렸다. 1915년 밀고로 일본군에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그의 체포 후 국내 의병운동의 명맥이 거의 끊겨 ‘최후의 의병장’으로 불린다.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2020. 8. 18.
[개화기/항일의병운동]신돌석 신돌석 ★ 신돌석(申乭石, 1878~1908) : 구한말의 의병장. 본명 신태호(申泰浩). 최초의 평민의병장으로 유명하다. 을미의병과 을사의병에 참여하였고, 13도 창의군에도 참여하였다. 1908년 암살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2020. 8. 18.
[근대/항일의병운동] 문석봉 문석봉 ★ 문석봉(文錫鳳, 1851~1896) : 개항기 경복궁 오위장, 공주부 진잠 등을 역임한 의병장. 갑오개혁(1894) 이후 변복령과 단발령 등 제도 개편에 반대하고 항일의병을 일으켰으며, 을미사변 직후에도 의병을 일으켰다. 2020. 7. 28.
[근대/항일의병운동] 을미의병 을미의병 ★ 을미의병(乙未義兵) : 1895년에 명성황후 민씨가 일본에 의해 암살된 을미사변과 단발령에 반발한 유생들이 임금을 위하여 힘쓰고 임금을 위한 의리를 주장한다는 근왕창의(勤王倡義)를 내걸고 친일 내각의 타도와 일본 세력을 몰아내기 위해 일으킨 항일 의병. 1896년 3월 이후 의병활동은 점차 누그러지고, 1896년 5월 24일 고종의 해산 칙유문(勅諭文) 발표로 을미의진은 대부분 해산했으나 경북 지역의 의병들은 서로 연합하여 8월까지 활동하였다. 2020. 7. 27.
[근대/정변및사건] 단발령 칙령 단발령 칙령 ★ 단발령(斷髮令) :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1895)에 공포한 을미개혁안 중 하나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 유학자들의 격렬한 반발로 1897년(건양 2년) 일단 철회되었으나, 1900년(광무 4년) 이후 다시 부활하여 전국적으로 단행되었다. 2020. 7. 27.
[근대/정변및사건] 단발령 단발령 ★ 단발령(斷髮令) : 김홍집 내각이 고종 32년(1895)에 공포한 을미개혁안 중 하나로 성년 남자의 상투를 자르고 서양식 머리를 하라는 내용의 고종의 칙령. 유학자들의 격렬한 반발로 1897년(건양 2년) 일단 철회되었으나, 1900년(광무 4년) 이후 다시 부활하여 전국적으로 단행되었다. 2020. 7. 26.
[근대/위정척사운동] 최익현 최익현 ★ 최익현(崔益鉉, 1834~1907) :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정치인, 독립운동가. 위정척사운동의 대표적 인물로 개항과 개화에 반대하였다. 을사늑약(1905) 체결에 반대하며 항일의병운동을 하였으며, 일본에 체포되어 대마도(쓰시마)에서 사망하였다. 2020. 7. 18.
[근대/위정척사운동] 이항로 이항로 ★ 이항로(李恒老, 1792~1868)는 조선의 유학자이자 문신. 관직에 나가지 않고 후진을 양성하였다. 최익현의 스승이다. 위정척사를 주장한 재야 유학자의 대표적 인물이다. 2020. 7. 18.
[개화기/의병]의병장의 직업 의병장의 직업 ★ 항일의병운동(抗日義兵運動) : 일본 제국에 항거하는 의병 운동. 동학농민운동에서 시작하여 일본의 국권 침탈에 반대하여 을사의병(乙巳義兵), 정미의병(丁未義兵)으로 이어졌고 경술국치(庚戌國恥, 1910년 8월 29일) 이후 항일무장독립운동 세력의 근간이 되었다. 2017. 5. 24.
[개화기/의병]항일의병운동 항일의병운동 ★ 항일의병운동(抗日義兵運動) : 일본 제국에 항거하는 의병 운동. 동학농민운동에서 시작하여 일본의 국권 침탈에 반대하여 을사의병(乙巳義兵), 정미의병(丁未義兵)으로 이어졌고 경술국치(庚戌國恥, 1910년 8월 29일) 이후 항일무장독립운동 세력의 근간이 되었다. 2017. 5. 23.
[근대/사상과학문]위정척사운동 위정척사운동 ★ 위정척사운동(衛正斥邪運動) : 조선 후기에 일어난 사회운동. 성리학과 정도(正道)인 성리학적 질서를 수호하고(위정), 성리학 이외의 모든 종교와 사상을 사학(邪學)으로 보아서 배격하는(척사) 운동. 보수 유생을 중심으로 처음에는 개항과 외국과의 통상을 반대하다가, 뒤에는 항일 의병 운동으로 바뀌었다. 외세의 침략을 막으려는 반외세 자주 운동이었지만, 전통 사회 체제를 고수하려 하여 시대의 흐름에서 뒤떨어지는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2017. 5.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