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항일운동36

[개화기/항일운동]국채 보상 운동 국채 보상 운동 ★ 국채 보상 운동(國債報償運動) : 일본 제국이 대한제국을 경제적으로 예속시키고자 제공한 차관 1300만원을 국민들이 갚고자 한 운동. 1907년 2월 경상북도 대구에 있는 국채보상운동기념공원를 중심으로 해서 서상돈, 김광제, 윤필오 등에 의해 처음 시작되어 전국으로 번져나갔다. 그러나 조선통감부가 베델이 모금액 중 2만원을 사적으로 투자했다가 원금을 받지 못했다는 괴소문을 퍼뜨리는 등 방해를 일삼으면서 운동은 소멸되고 말았다. 2023. 4. 30.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백범일지 백범일지 ★ 백범일지(白凡逸志) : 독립운동가인 백범 김구가 쓴 자서전. 친필본과 필사본 2종, 1947년에 공식적으로 출간된 국사원본(이광수 윤문)이 있다. 1994년 백범의 아들 김신이 친필 원본을 공개하였으며, 친필본은 보물 제 1245호로 지정되었다. 2021. 4. 4.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한국 광복군 한국 광복군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되었다.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한국 광복군 편제 한국 광복군 편제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하여되었다.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일에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3. 13.
[일제강점기/일제의탄압과만행]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서대문 형무소 역사관 ★ 서대문형무소(西大門刑務所) : 1907년(융희 원년) 대한제국을 점령한 한국통감부가 서울에 건설한 형무소. 수많은 의병과 독립운동가들이 이곳에서 투옥되어 옥고를 치르고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으며, 수감자가 3,000여명에 달하기도 하였다. 광복 후에도 구치소와 교도소로 이용되었는데, 군사독재 시절에는 민주화운동에 참여한 이들이 수감되기도 했다. 1987년 교도소가 경기도 의왕시로 이전하고 옥사(獄舍)와 건물을 보존하고 주변을 공원으로 조성하여 1992년 으로 개원하였으며, 이후 복원을 거쳐 사적으로 지정하고 1998년 으로 개관하였다. 사적 제 324호. 2021. 3. 11.
[일제강점기/독립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의 활동 대한민국 임시정부와 한국 광복군의 활동 ★ 대한민국 임시 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1919년 4월 11일 ~ 1948년 8월 15일) : 1919년 3월 1일 경성(서울)에서 선포된 3·1 독립선언에 기초하여 일본의 대한제국 침탈과 식민 통치를 부인하고 한반도 내외의 항일 독립운동을 주도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망명 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설립되었으며, 같은 해 9월 11일에는 각지의 임시 정부들을 통합하여 상하이에서 단일 정부를 수립하였다. 1919년 4월 11일 임시 헌법을 제정하여 국호는 '대한민국'으로 하고 정치 체제는 '민주공화국'으로 하였으며, 대통령제를 도입하고 입법·.. 2021. 3. 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 대한민국 임시의정원(大韓民國臨時議政院, 1919~1946)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의회이며 임시정부의 입법부의 역할을 맡았다. 임시의정원은 대한민국 임시헌법 상 한국 국민을 대표하는 단체로,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으로 구성된다. 의회 구성은 각 도별 대표와 비례대표가 있었고, 의정원의 구성형태는단원제 의회였다. 2021. 3. 2.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사격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사격 훈련 중인 한국 광복군 ★ 한국 광복군(韓國 光復軍) : 1940년 9월 17일 중국 충칭에서 조직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정규 국군. 한국독립당 당군(黨軍)과 기타 독립군 및 만주 독립군 등이 연합하여 1940년 9월 결성하여되었다.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각군의 통수권을 인수하여 통합하였다.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일본과 독이레 선전포고하고 영국군과 버마 전선에 투입되었으며, CIA의 전신인 OSS의 특별 훈련을 받기도 하였다. OSS와 함께 국내 진공작전을 준비하다가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였으며, 1946년 귀국하였다. 2021. 2. 27.
[일제강점기/독립운동]혁신공보 혁신공보 ★ 혁신공보(革新公報) : 일제강점기의 항일비밀결사조직 의 기관지 2021. 2. 27.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조명하 조명하 ★ 조명하(趙明河, 1905~1928) :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 공무원(읍서기)로 잠시 일하다가 일본에 유학하던 중 독립운동에 투신하기로 결심하였다. 상하이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가기 위해 타이완에 들렀다(1927). 일왕의 장인 일본 육군 대장 구니노미야 구니요시(久邇宮邦彦王)가 타이완에 방문했을 때 독을 바른 단검으로 찔렀으며(1928년 5월 14일), 구니요시는 이듬해 1월 독이 퍼져 사망하였다. 현장에서 체포되어 사형 선고를 받고, 그해 10월 10일 사형이 집행되어 순국하였다. 당시 24세였다. 1963년 대한민국 건국 공로훈장 독립장을 수여받았다. 2021. 2. 7.
[일제강점기] 님 웨일스 님 웨일스 ★ 님 웨일스(Nym Wales, 1907~1997) : 본명은 헬렌 포스터 스노(Helen Foster Snow). 미국의 저널리스트로, 님 웨일스는 필명이다. 1930년대 중국 혁명가들을 취재하여 저서를 남겼으며, 옌안(延安)에서 한국인 독립운동가 김산을 취재하고 김산의 전기 을 저술하였다. 은 조직 보호를 위해 한동안 출판을 미뤄달라는 김산과의 약속을 지키기 1941년 미국에서 펴냈다. 2021. 2. 2.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윤희순 윤희순 ★ 윤희순(尹熙順, 1860~1935) : 한국의 독립운동가, 한국 최초의 여성 의병 지도자. 을미사변(1895) 이후 등 노래를 지어 항일의식을 불러일으켰고, 여성의 구국 활동을 촉구하였다. 1907년 일제가 고종황제를 폐위시키고 대한제국 군대를 해산하자 탄약제조소를 운영하고, 여성 의병을 모집하여 후방에서 의병 활동을 지원하였다. 1911년 가족과 함께 중국으로 망명하여 벼농사를 짓고 노학당(勞學堂)을 열어 항일운동가를 양성하였다. 일제의 탄압으로 노학당이 폐교되자 중국인들과 함께 을 만들고, 학교를 설립하여 항일교육을 하였다. 1935년 숨을 거두었다.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되었고, 2008년 9월 이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다. 2021. 1. 6.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상옥 의사의 의거를 보도한 신문 보도 김상옥 의사의 의거를 보도한 신문 보도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1. 1. 4.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김상옥 김상옥 ★ 김상옥(金相玉, 1890~1923) :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 3.1 운동 이후 항일 운동을 시작하였으며, 항일 단체인 을 결성하여 황동하고 를 발행하였다. 상하이로 망명한 뒤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2년 권총과 폭탄을 가지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23년 1월 12일 독립운동 탄압의 본산으로 악명이 높았던 종로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그 뒤, 피신 중에 사이토 총독 암살을 위해 서울역 주변을 배회하다 일본 경찰에 포위되어 싸우다가 총알이 떨어지자 자결하였다. 2021. 1. 3.
[일제강점기/독립운동]민족 유일당 운동 포스터 민족 유일당 운동 포스터 ★ 민족 유일당 운동(民族唯一黨運動) : 1920년대 후반에 전개된 좌우 세력을 망라한 민족 단일 정당 건설 운동. 넓은 의미로는 중국 관내에서 추진된 민족 유일당 운동과 만주의 3부 통합 운동, 국내의 신간회 결성 같은 민족 협동 전선 운동을 아우르며, 좁은 의미로는 중국 관내와 만주 지역에서 진행된 국외의 민족 유일당 운동을 지칭한다. 2020. 12. 21.
[일제강점기/시위운동]이광춘과 박기옥 이광춘과 박기옥 ★ 이광춘과 박기옥 : 1929년 당시 광주여자고등학교 여학생으로 나주역에서 일본인 중학생에서 희롱을 당하였다. 이 일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일운동이 발발하였다. ★ 광주 학생 항일 운동(광주 학생 독립 운동) : 1929년 11월 3일부터 광주 시내에서 일본 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자 일어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을 계기로 광주지역 학생의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11월 12일). 시위는 호남 일대로 확산되고 서울을 거쳐 11월 말 쯤에는 전국 각지로, 12월에는 간도(만주) 등지로 퍼져나갔다. 이 운동은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인 동맹휴학, 학생 항일 시위로 변모, 발전했다. 2020. 12. 20.
[일제강점기/독립운동가] 박준채 박준채 ★ 박준채(朴準埰, 1914~2001) : 한국의 독립운동가. 광주고등보통학교 2학년생이던 1929년 10월 30일 하교길에 나주역 입구에서 일본 중학생이 자신의 사촌 누이를 비롯한 한국인 여학생을 희롱하는 것을 보고 항의하였으나, 일본 학생은 조롱으로 응수하였다. 박준채를 격분하여 일본 학생을 때리자, 한일 학생들의 싸움으로 번졌다. 이 사건을 계기로 광주학생항인운동이 발발하였다. 시위에 적극적으로 참가하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다. 1990년 건국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받았다. 2020. 12. 20.
[일제강점기/시위운동]광주학생항일운동 기념탑 광주학생항일운동 기념탑 ★ 광주 학생 항일 운동(광주 학생 독립 운동) : 1929년 11월 3일부터 광주 시내에서 일본 학생이 한국 여학생을 희롱하자 일어난 한국 학생과 일본 학생 간 충돌을 계기로 광주지역 학생의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11월 12일). 시위는 호남 일대로 확산되고 서울을 거쳐 11월 말 쯤에는 전국 각지로, 12월에는 간도(만주) 등지로 퍼져나갔다. 이 운동은 1930년 5월까지 전국적인 동맹휴학, 학생 항일 시위로 변모, 발전했다. 2020. 12. 20.
[일제강점기/시위운동]6·10 만세 운동 6·10 만세 운동 ★ 6·10 만세 운동(六十萬歲運動) : 일제 강점기 한국에서 학생을 중심으로 하여 일어난 독립운동으로 3·1 운동을 잇는 전국적·전민중적인 항일운동이다. 순종의 인산일(因山日)에 상여가 지나갈 때 격문을 뿌리고 만세를 불러 시민들이 호응하여 대규모 시위로 확대되었으나, 조직 사이의 유대 결여 및 사회주의 게열의 사전 체포 등으로 일본 경찰에 제지당하여 실패하였지만, 시위는 전국으로 확산되었으며, 1927년 여러 사회 단체 결성과 광주학생항일운동(1929)에 영향을 주었다. 2020. 12. 16.
[일제강점기/사회운동]1920년대 사회 단체 현황 1920년대 사회 단체 현황 2020. 1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