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퇴계이황4

[조선전기/학문과사상] 퇴계 향약 약문 퇴계 향약 약문 ★ 퇴계향약약문(退溪鄕約 約文) : 퇴계 선생 문집 권 42에 수록된 향약에 대한 글. ★ 퇴계선생문집(退溪先生文集) : 조선 중기의 성리학자 퇴계 이황(1501~1570)의 글을 모아 편찬한 문집으로 선조 33년(1600)에 초판이 간행되었으며, 이후에도 여러 번 간행되었다. 초간본은 보물 제 1894호로 계명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다. 2020. 5. 28.
[조선전기/건축] 소수서원의 강학당 소수서원의 강학당 ★ 영주 소수서원(榮州 紹修書院) : 풍기 군수 주세붕(周世鵬)이 안향(安珦)을 제사하기 위해 사당을 세웠던 것이 시초로(중종 37, 1542), 한국 최초의 서원이자 최초의 사액서원이다. 본래 명칭은 백운동 서원(白雲洞 書院)이었으나 다. 이후 풍기 군수로 부임한 퇴계의 요청으로 명종 5(1550) 소수서원(紹修書院)이라 사액(賜額)을 받았다. 사적 제55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강학당 : 서원에서 학문으로 강론하던 장소. 성균관과 향교의 명륜당(明倫堂)에 해당한다. 2020. 2. 3.
[조선전기/학문과사상] 기대승의 시고(詩稿) 기대승의 시고(詩稿) ★ 기대승(奇大升, 1527~1572) :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성리학자. 퇴계 이황과의 사단칠정(四端七情) 및 이기(理氣) 논쟁을 통해 조선 성리학 수준의 제고에 기여했다. 2020. 1. 6.
[조선/건축] 안동 도산서원(安東 陶山書院) 안동 도산서원(安東 陶山書院)  ★ 안동 도산서원(安東 陶山書院) : 퇴계 이황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된 서원으로 이황 사망 4년 후(1574)에 설립되었다. 대한민국 사적 제 170호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2019.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