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태평양전쟁13

[일제강점기/민족말살정책] 신사참배 강요 신사참배 강요 ★ 신사참배 강요(神社參拜強要) : 일제강점기에 한국 곳곳에 신사를 세운 뒤 한국인에게 참배하도록 강제한 정책. 처음에는 강요하지 않았으나, 1930년대 일본이 대륙 침략을 획책하면서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점차 강제적인 정책으로 변하였다. 2024. 5. 23.
[현대/태평양전쟁]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広島·長崎原爆投下,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 1945년, 태평양 전쟁 당시 승기를 잡은 미국이 일본 제국의 항복을 이끌어내기 위해 일본 제국의 도시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을 투하한 사건. 결과적으로는 일본 제국의 항복을 이끌어내어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을 앞당겼다. 저작권 문제가 있을 때는 삭제하겠습니다 2022. 8. 20.
[일제강점기/국제 ]미주리호에서 항복 서명하는 일본 대표 미주리호에서 항복 서명하는 일본 대표  ★ 일본의 항복 : 일본 제국이 1945년 8월 14일에 연합국에 통보하고, 8월 15일 낮 12시에 쇼와 일왕이 무조건적인 항복을 선언한 것. 9월 2일에는 일본의 도쿄만 요코하마에 정박 중이던 미국 전함 USS 미주리 (BB-63) 선상에서 일본 대표 시게미쓰 마모루 외무대신이 정식으로 나와서 항복 문서에 서명을 하였다. 일본의 무조건적인 항복으로 제2차 세계 대전은 완전 종결되었다. 2021. 4. 11.
[일제강점기/태평양전쟁]원폭이 떨어진 시간에 멈춘 시계 원폭이 떨어진 시간에 멈춘 시계 ★ 히로시마·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広島・長崎原子爆彈投下, Atomic bombings of Hiroshima and Nagasaki) :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1945년 미국은 일본의 히로시마(8월 6일), 나가사키(8월 9일)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다. 미국은 일본에 원자폭탄을 투하하기 전 6개월 동안 일본에 공습을 하엿고, 영국 ․ 중화민국과 함께 포츠담 선언에서 일본에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였으나, 일본이 항복하지 않자 원자폭탄을 투하하였다. 나가사키 원폭투하 6일 후 8월 15일 일본은 연합군에 무조건 항복을 선언하고, 9월 2일 항복 문서에 사인하면서 공식적으로 태평양 전쟁과 제2차 세계대전이 막을 내렸다. 일본의 항복으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의 일본 식민.. 2021. 4. 11.
[일제강점기/인적수탈] 일제의 강제 징용 피해자 자료 일제의 강제 징용 피해자 자료 강제징용 피해자 전우석씨의 사진과 사망진단서(1943년 사망)와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자료들 (사진출처 : 뉴시스) ★ 일제강점기의 강제 징용 :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인력 확보를 위해 많은 한국인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1938년 을 공포하고 실시하였다. 한국 노동자들의 직업 선택권을 빼앗고 일본의 필요에 따라 강제 노동을 시켰다. 한국 노동자들은 사할린 섬이나 동남아시아, 남양군도 등에서 탄광, 군사기지 및 철도 건설에 동원되어 임금도 제대로 받지 못한 채 과중한 노동에 시달렸다. 이들 중 많은 이들이 한국으로 돌아오지 못하였으며, 전후 전범으로 희생되기도 했다. 일본은 현재까지 일제의 강제징용을 부인하고 있다. 2021. 4. 3.
[일제강점기/민족말상정책]일본어 독본을 읽은 어린이들 일본어 독본을 읽은 어린이들 ★ 일제강점기 후반 일본이 실시한 민족말살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어와 한글을 금지하고 일본어 사용을 강요하였다. ★ 민족말살정책(民族抹殺政策) : 일본이 일제강점기 193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한민족의 정체성을 사라지게 하여 최후까지 전쟁협력을 얻기 위해 취한 정책. 와 등을 내세우며 , 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한국인의 정치 참여와 교육 확대 등은 외면하고 차별은 개선하지 않았다. 2021. 4. 3.
[일제강점기/무장독립투쟁] 한인국방경비대 한인국방경비대 ★ 한인국방경비대(韓人國防警備隊) : 1942년 2월 미국의 로스앤젤레스에서 조직된 한인 군사조직. 1941년 태평양전쟁이 일어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대일선전포고를 하자 미주 한인사회는 한국 광복을 지원하고 대일전선 참여하고 미군 후원 활동을 전개하였다. 재미한족연합위원회에서 한인국방군편성계획을 미육군사령부에 제출하여 허가를 얻어 1942년 한인국방경비대를 창설하였으며, 9월 한국광복군으로 정식 편입되어다. 1943년 미국 육군의 방침에 따라 군사조직으로의 권리를 상실하고 해산하였다. 2021. 3. 30.
[일제강점기/인적수탈] 일제강점기의 강제동원 일제강점기의 강제동원 ★ 일제강점기의 강제동원 : 일제가 침략전쟁을 벌이기 위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실행한 인적,물적 동원 및 자금 통제. 전면적인 강제동원은 중일전쟁(1937년) 이후 을 제정하며 시작되어, 을 공포하고 1944년부터는 징병제를 실시하였다. 강제 동원된 한국인은 광업, 토건 현장, 군수공장 등에 동원되어 일본인보다 낮은 임금과 이직 불가 등의 열악하고 불평등한 노동 착취에 시달렸다. 2021. 3. 6.
[일제강점기/민족말상정책] 황국신민서사를 외우는 한국 어린이들 황국신민서사를 외우는 한국 어린이들 ★ 황국신민서사(皇國臣民誓詞) : 일제강점기 후반 일본이 실시한 민족말상정책의 일환인 중 하나이다. 1937년에 만들어내 조선인들에게 외우게 한 맹세로 ‘일본과 일왕에 대한 충성 맹세’가 내용이다. 학교를 비롯한 관공서, 은행, 공장, 상점 등 모든 직장의 조회, 기타 회합 등에서 제창하도록 강제하였다. ★ 민족말살정책(民族抹殺政策) : 일본이 일제강점기 1930년대 후반부터 한국의 식민통치를 정당화하고 한민족의 정체성을 사라지게 하여 최후까지 전쟁협력을 얻기 위해 취한 정책. 와 등을 내세우며 , 등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한국인의 정치 참여와 교육 확대 등은 외면하고 차별은 개선하지 않았다. ★ 황국신민화 정책(皇國臣民化) : 일본이 1930년대 후반부터 실시한 의.. 2021. 2. 25.
[일제강점기/인적수탈] 강제 징병 강제 징병 ★ 일제강점기의 강제 징병 : 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중 인력 확보를 위해 많은 한국인을 강제로 동원하기 위해 1938년 을 제정하였고, 중일전쟁 이후 1938년부터 ‘지원병’이라는 명목으로 한국인을 입대시켰고, 태평양 전쟁이 발발하자 1944년 징병제를 실시하여 한국 청년들은 전쟁으로 내몰았다. 2021. 2. 22.
[일제강점기/경제수탈] 금속 공출 금속 공출 ★ 공출(供出) : 물자의 자유로운 유통을 막고 할당받은 물자를 의무적으로 정부에 판매 또는 헌납하도록 강제하는 제도. 일제는 1938년 ‘국가총동원법’을 공포하여 인적 ․ 물적 자원 수탈을 법제화하였고, 미곡(米穀)을 비롯한 식량과 금속류 등, 다양한 물자를 약탈하였다. 2021. 2. 22.
[일제강점기/국제] 태평양 전쟁 태평양 전쟁 ★ 태평양 전쟁(Pacific War) : 제2차 세계 대전의 전역 중 하나로 태평양과 동아시아에서 벌어진 전쟁. 아시아-태평양 전구와 남서 태평양 전구, 동남아시아 전역 등을 비롯한 태평양 일대의 넓은 지역과 중국, 그리고 만주 일대가 태평양 전쟁의 전역 범위에 해당한다. 아시아-태평양 전쟁(Asia–Pacific War, AP war)이라고도 부른다. 2017. 6. 21.
[일제강점기] 병참기지화 정책 병참기지화 정책 ★ 병참기지화 정책(兵站基地化政策) : 정식 명칭은 이다. 일제가 한반도를 침략 전쟁 수행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조달하는 병참 기지로 만들기 위해 실시한 일련의 정책으로 1930년대부터 일본이 패망할 때까지 이어졌다. 2017. 6. 16.